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12:52

김영기(1905)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지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구자옥
제2대
이해익
제3대
김영기
제4대
이익흥
제5대
최헌길
제6대
최문경
제7대
윤원선
제8대
신광균
제9대
박창원
제10대
이흥배
제11대
박태원
제12대
남봉진
제13대
김태경
제14대
손수익
제15대
조병규
제16대
손재식
제17대
김주남
제18대
염보현
제19대
김태호
제20대
이해구
제21대
김용래
제22대
임사빈
제23대
이재창
제24대
심재홍
제25대
윤세달
제26대
임경호
제27대
김용선
제28대
이해재
제29대
이인제
제30대
임창열
제31대
손학규
제32·33대
김문수
제34대
남경필
제35대
이재명
제36대
김동연
파일:민선8기 경기도 도정슬로건 가로.png
경기도지사 권한대행일제강점기 및 미군정 경기도지사 }}}}}}}}}

제3대 경기도지사
김영기
金英基 | Kim Young-ki
파일:김영기 지사.jpg
<colbgcolor=#164194><colcolor=#FFFFFF> 출생 1905년 1월 8일[1]
경기도 죽산군 남면 두촌리
(現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두교리 동막마을)
사망 1989년 5월 1일 (향년 84세)
서울특별시 성동구[2] 화양동 건국대학교병원
본관 경주 김씨[3]
재임기간 제3대 경기도지사
1952년 9월 12일 ~ 1953년 11월 22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64194><colcolor=#ffffff> 학력 죽산보통학교 (졸업)
중동중학교 (졸업)
보성전문학교 (중퇴)
니혼대학 전문부 (법률과 / 중퇴)
의원 선수 1
의원 대수 1
경력 조선일보 기자
한국독립당 안성군 위원장
한국독립당 중앙당 집행위원
제헌 국회의원
제3대 경기도지사
}}}}}}}}}
1. 개요2. 생애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정치인이다.

2. 생애

1905년 경기도 죽산군 남면 두촌리(현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두교리 동막마을)에서 태어났다.# 4년제 죽산보통학교를 2년만에 졸업하였으며, 1924년 중동중학교 속성과를 졸업하고# 보성전문학교에 입학했으나 중퇴하였다. 이후 일본에 유학하여 니혼대학 전문부 법률과에 입학했으나 2학년 재학 중이던 1926년 중퇴하였다.

같은 해 귀국하여 시대일보사 죽산지국장을 시작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일제강점기 후기 조선일보 기자로 4년여간 근무하였으며, 조선일보 취체역을 지내기도 했다. 그러다가 한국독립당에서 안성군 위원장, 중앙당 집행위원 등을 지냈으며, 신간회에 가입하여 지하운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로 경기도 안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48년 6월 29일 국회에서 징계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았다. 같은해 9월 30일 징계위원회의 위원장으로서 이문원 의원에게 국회의원 자격 7일 정지라는 징계내용을 발표했다.[4] 그려면서 "이문원 의원은 타 의원들의 사과 요구에 응하지 않았으며, 안건의 가부를 붙일때 멋대로 국회를 나가여 국회의 혼란을 주었다." 라고 의원징계 사유를 밝혔다.

이후 1948년 12일 10일 '곽상훈 의원에 대한 징계동의안'에 대한 심사결과를 발표하였다. 결과적으로 곽상훈 의원에게 징계를 줄만한 정도가 되지 못한다고 생각되어 징계를 주지 않았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불출마하였다.

1952년 9월부터 1953년 11월까지 경기도지사를 역임하였다.[5] 1959년 자유당에 입당했다. 1969년 국민훈장 문화장을 수여받았다.

이후 정계를 은퇴하고 제헌동지회에서 제헌 국회의원들과 교류를 이어갔다. 1982년 제8차 개헌에 대해 "골격은 좋으나 부칙이 좋지않다."고 논평했으며 1984년 소석여적이라는 문집을 지필했다.

3. 둘러보기

파일:구 경기도 휘장(백색).png 경기도 제헌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3px;"
인천 갑 인천 을 개성 고양 갑 고양 을
곽상훈조봉암이성득서성달최국현
신익희김덕열이진수서정희이재형
부천 김포 강화 파주 장단
이유선정준윤재근김웅권조중현
개풍 연백 갑 연백 을 가평 양평
신광균김경배신현모홍익표류래완
여주 이천 용인 안성 평택
원용한 송창식 민경식 김영기최석화
수원 갑 옹진 갑 옹진 을
홍길선김웅진오택관김인식
}}}
서울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87bd><tablebgcolor=#0087bd>
파일:대한국민당 글자.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87bd><tablebgcolor=#0087bd>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윤치영 이인 윤재욱 조봉암 서성달
김덕열 이재형 이유선 김웅권 김경배
류래완 송창식 김영기 김웅진 오택관
이종순 박기운 홍순옥 박우경 연병호
이의상 류홍렬 조종승 송진백 진헌식
김명동 남궁현 이종근 윤병구 김용재
윤석구 배헌 김영동 백형남 류준상
강선명 황병규 조옥현 오석주 차경모
송봉해 이성우 김장열 박준 정우일
정도영 장병만 육홍균 허영호 최범술
강기문 최창섭 양병직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음력 1904년 12월 3일[2] 현 서울시 광진구[3] 계림군파 22세 기(基) 종(鍾) 탁(鐸) 항렬. 장남 김진형은 23세 진(鎭) 항렬.#[4] 여담으로 이문원의 징계 건의안은 9월 25일 징계위원회로 회부되었다.[5] 당시의 도정방침은 '행정의 민주화, 도의앙양, 생산의 극대화, 성실봉공(行政의 民主化, 道義昻揚, 生産의 極大化, 誠實奉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