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5:20:53

길퍼드(선거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373151><tablebgcolor=#373151>
파일:영국 의회 흰색 아이콘.svg
길퍼드
Guildford
}}}
<colbgcolor=#373151><colcolor=#ffffff> 유권자 수 71,367 (2023)
평균연령 47.2세
선거구
창설연도
1868년[1]
1885년[2]
상위 국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상위 카운티 서리주
의원 (MP)
조이 프랭클린
1. 개요2. 상세3. 역대 서민원 의원4. 역대 선거 결과

1. 개요

영국 런던 남서부의 근교지역인 서리주에 위치한 선거구. 현역 의원은 자민당 소속의 초선의원인 조이 프랭클린.

2. 상세

전형적인 런던 근교인 서리주의 선거구 답게, 소득/교육 수준이 높고, 경제적으론 보수적, 사회문화적으론 리버럴한 성향을 띈다. 2016년 브렉시트 국민투표에서는 59%가 잔류에 표를 던졌을 만큼 국제주의적이고 친EU적 성향이 강하다. 소선거구제 전환이후로 2번[3]을 제외하면 모두 보수당이 승리해온 텃밭이었다. 다만 2019년 영국 총선을 기점으로 브렉시트때문에 친EU성향의 자유민주당의 득표율이 급상승하였으며, 2024년 총선에서는 보수당 정부의 지지율 하락으로 인해 자유민주당이 13년만에 승리하였다.

3. 역대 서민원 의원

파일:영국 서민원 로고.svg 길퍼드 역대 서민원 의원
<rowcolor=#006e46> 연도 선거 의원 명 소속 정당 의원 선수
1868 제22회 영국 총선 길퍼드 온슬로우 (Guildford Onslow)
3
1874 제23회 영국 총선 덴질 온슬로 (Denzil Onslow)
3
1880 제24회 영국 총선 2
1885 제25회 영국 총선 세인트 존 브로드릭 (St John Brodrick) 1
1886 제26회 영국 총선 2
1892 제27회 영국 총선 3
1895 제28회 영국 총선 4
1900 제29회 영국 총선 5
1900 1900년 길퍼드 재보궐선거[4] 6[무투표당선]
1906 제30회 영국 총선 헨리 코완(Henry Cowan)
1
1910.1 제31회 영국 총선 에드거 혼(Edgar Horne)[6]
1
1910.12 제32회 영국 총선 2
1918 제33회 영국 총선
연합주의자
3
1922 제34회 영국 총선 헨리 버킹엄 (Henry Buckingham) 1
1923 제35회 영국 총선 2
1924 제36회 영국 총선 3
1929 제37회 영국 총선 4
1931 1931년 길퍼드 재보궐선거 찰스 리스 (Charles Rhys)
1[무투표당선]
1931 제38회 영국 총선 2
1935 제39회 영국 총선 존 자비스 (John Jarvis) 1
1945 제40회 영국 총선 2
1950 제41회 영국 총선 리처드 누겐트 (Richard Nugent) 1
1951 제42회 영국 총선 2
1955 제43회 영국 총선 3
1959 제44회 영국 총선 4
1964 제45회 영국 총선 5
1966 제46회 영국 총선 데이비드 하웰 (David Howell) 1
1970 제47회 영국 총선 2
1974.2 제48회 영국 총선 3
1974.10 제49회 영국 총선 4
1979 제51회 영국 총선 5
1983 제52회 영국 총선 6
1987 제53회 영국 총선 7
1992 제54회 영국 총선 8
1997 제52회 영국 총선 닉 세인트 오빈 (Nick St Aubyn) 1
2001 제53회 영국 총선 수 도티 (Sue Doughty)
1
2005 제54회 영국 총선 앤 밀턴 (Anne Milton)
1
2010 제55회 영국 총선 2
2015 제56회 영국 총선 3
2017 제57회 영국 총선 4
2019 제58회 영국 총선 안젤라 리처드슨 (Angela Richardson) 1
2024 제59회 영국 총선 조이 프랭클린 (Zöe Franklin)
1

4. 역대 선거 결과

4.1. 제58회 영국 총선

<rowcolor=#fff> 길퍼드
길퍼드[8]
후보 득표수 비고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보수당(영국) 흰색 아이콘.svg 안젤라 리처드슨
Angela Richardson
26,317 1위

44.9% 당선
파일:영국 자민당 로고.png 조이 프랭클린
Zöe Franklin[9]
22,980 2위

39.2% 낙선
파일:노동당(영국) 흰색 아이콘.svg 앤 루즈
Anne Rouse
4,515 3위

7.7% 낙선
Ind 앤 밀턴
Anne Milton[현역]
4,356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7.4% 낙선
PP 존 모리스
John Morris
483 5위
평화당
[11]
0.8% 낙선
유권자 수 77,729 투표율
75.5%
총 투표수 58,651
현역 의원 앤 밀턴은 보리스 존슨의 당대표 경선 승리 이후로 장관직을 내려놓고 노딜 브렉시트에 반대하면서 보리스 존슨에 의해서 당원권이 정지되어 무소속 신분이 되었으며, 무소속인 상태로 총선에 출마한다. 보수당에서는 같은 해 지선에서 웨이블리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안젤라 리처드슨이 공천을 받았으며, 자유민주당에서는 2017년 총선에서 밀턴에게 패배했던 지방의원 출신 조이 프랭클린을 공천하였다. 길퍼드의 59%가 잔류를 투표한 만큼, 친eu성향의 자유민주당이 14년만에 지역구 탈환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되었다.
그러나 친EU 표심이 자민당과 노동당, 현역의원에게 3분할되면서 보수당이 지역구 사수에 성공하였다.특히, 자민당 입장에서는 노동당 후보만 불출마하였어도 승리할 수 있었다. 현역의원 밀턴은 4선이라는 타이틀에 무색하게 7.4%의 저조한 득표율로 낙선하였다.

4.2. 제59회 영국 총선

<rowcolor=#fff> 길퍼드
길퍼드[12]
후보 득표수 비고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영국 자민당 로고.png 조이 프랭클린
Zöe Franklin
22,937 1위

47.5% 당선
파일:보수당(영국) 흰색 아이콘.svg 안젤라 리처드슨
Angela Richardson[현역]
14,508 2위

30.0% 낙선
파일:개혁 영국 로고 하얀색 글자.png 데니스 사운더스
Dennis Saunders
4,395 3위

9.1% 낙선
파일:노동당(영국) 흰색 아이콘.svg 사라 길린슨
Sarah Gillinson
3,931 4위

8.1% 낙선
파일:녹색당(잉글랜드 웨일스) 흰색 아이콘.svg 샘 피터스
Sam Peters
2,268 5위

4.7% 낙선
PP 존 모리스
John Morris
255 6위
평화당
0.5% 낙선
유권자 수 70,734 투표율
68%
총 투표수 48,294
2019년 총선의 리턴매치가 성사되었다. 보수당의 현역의원 안젤라 리처드슨과 자민당의 조이 프랭클린이 다시 맞붙는다.
다만 2019년 총선에서도 격차가 5.7%P로 적은 편이었으며, 야권 분열로 보수당이 어부지리승을 거뒀으며, 지방선거에서는 자민당이 지속적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면서 이번 총선에서는 자민당의 승리가 준확실시 되는 분위기였다.결국 자민당의 조이 프랭클린이 47.5%를 득표하면서 3번째 도전 끝에 원내 입성에 성공하였다.

[1] 소선거구제 전환 년도[2] 현재 형태의 선거구 창설연도[3] 1906년과 2001년 총선[4] 1801년부터 1920년대까지 의원이 장관으로 임명되었을때 열리는 재보궐으로, 형식적인 선거로서 단독입후보로 치뤄졌다.[무투표당선] [6] 1918년 당시 보수당-자유당 연립정부 지지후보[무투표당선] [8] Burpham, Christchurch, Friary and St Nicolas, Holy Trinity, Merrow, Onslow, Pilgrims, Shalford, Stoke, Stoughton, Westborough, and Worplesdon, and the Borough of Waverley wards of Alfold, Blackheath and Wonersh, Cranleigh East, Cranleigh Rural and Ellens Green, Cranleigh West, Ewhurst, and Shamley Green and Cranleigh North[9] 잔류 연합단일화 후보[현역] [11] 서리주 기반의 평화주의,친환경주의 정당[12] 버펌, 크라이스트처치, 클랜든&홀슬리, 에핑엄, 프라이어리&세인트 니콜라스, 홀리 트리니티, 러브레이스, 멀로, 온슬로, 센드, 스토크, 스터프턴, 웨스트버러, 워플스던[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