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3-12 12:27:35

금관총 유리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A2D5B><tablebgcolor=#4A2D5B>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금관총
金冠塚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4A2D5B,#2d2f34><colcolor=#fbe673,#f9d537> 피장자 <colbgcolor=#fff,#1f2023>이사지왕
출토 유물
[ 펼치기 · 접기 ]
금관총 관모 ·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 금관총 금귀걸이 · 금관총 금동신발 · 금관총 금반지 · 금관총 금제수식 · 금관총 금제 허리띠 · 금관총 금팔찌 · 금관총 유리잔 · 금관총 이모가이 말띠꾸미개 · 금관총 청동 자루솥 · 금관총 환두대도
}}}}}}}}} ||


파일:금관총 유리잔1.jpg
사진 출처 : 금관총의 재구성 - 국립중앙박물관 <금관총과 이사지왕>

1. 개요2. 내용

1. 개요

일제강점기인 1921년에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의 이사지왕의 무덤인 금관총에서 출토된 고신라시대 유리잔 1점.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

파일:금관총 유리잔2.jpg
서봉총 유리잔(좌),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우)과 함께 전시된 모습. 사진 출처 : 국립경주박물관 :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1)

1921년 금관총에서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등의 여러 황금 유물들과 함께 발견된 고대 한국의 유리잔으로, 유물의 제작 연대는 확실치 않지만 대략 5세기 경(서기 400년대)으로 추정되고 있다.

당시 금관총에서는 순금제귀걸이, 금제와 은제 팔찌, 반지 등과 각종 구슬, 금제와 은제의 허리띠, 금동제신발 등의 각종 장신구를 비롯하여, 도검, 갑옷(甲胄), 창신(槍身), 쇠화살촉(鐵鏃), 쇠도끼(鐵斧) 등의 무기류와 말안장금구, 말방울, 말띠장식, 교구, 혁대금구 등의 말갖춤류(馬具類), 신라토기, 목칠기, 유리용기, 쇠솥(鐵釜), 금속제용기, 조개제품 등 많은 유물들이 부장되어 있었는데, 곡옥(曲玉)을 포함한 각종 구슬류만도 무려 3만 점이 넘었으며, 다른 유물까지 합쳐 약 4만점이 넘는 신라시대 화려한 문화재들이 쏟아져 나왔다.한국 미의 재발견 - 고분미술 : 금관총

금관총 유리잔은 마치 현대와인잔처럼 아래쪽에 손으로 잔을 집을 수 있게 고안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전체적인 형태는 대한민국 국보로 지정된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과 비슷한 로만글라스의 형태를 하고 있어, 당시 신라가 지중해 연안 국가 또는 페르시아 지역과 교류하며 수입한 제품으로 추정하고 있다.

파일:금관총 유리잔3.jpg
사진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 금관총과 이사지왕전, [중앙박물관 특별전] 금관총(金冠塚)과 이사지왕(尒斯智王)

파일:금관총 유리잔4.jpg

지금으로부터 1,600여년 전에 신라인들이 사용하던 유리잔으로, 경주 월성 안계리 유리잔, 경주 월성로 유리잔, 경주 월지 유리잔, 금령총 유리잔, 서봉총 유리잔, 천마총 유리잔, 황남대총 남분 유리잔,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황남대총 북분 커트장식 유리잔,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등과 함께 당시 신라의 유리공예품 대중화 및 해외 교류 활동에 대하여 연구해 볼 수 있는 자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