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c0c0c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nopad> 조선 군무아문대신 (1894~1895) | ||||||
| 초대 이규원 | 제2대 조희연 | |||||
| <nopad> 조선 군부대신 (1895~1897) | ||||||
| 초대 조희연 | 제2대 신기선 | 제3대 안경수 | 제4대 조희연 | 제5대 이도재 | ||
| 제6대 조희연 | 제7대 이윤용 | 제8대 민영환 | 제9대 이종건 | |||
| <nopad> 대한제국 군부대신 (1897~1910) | ||||||
| 초대 이종건 | 제2대 민영기 | 제3대 심상훈 | 제4대 민영환 | 제5대 심상훈 | ||
| 제6대 민병석 | 제7대 윤웅렬 | 제8대 민병석 | 제9대 민영철 | 제10대 신기선 | ||
| 제11대 이근택 | 제12대 이봉의 | 제13대 윤웅렬 | 제14대 민영철 | 제15대 이용익 | ||
| 제16대 윤웅렬 | 제17대 민영기 | 제18대 이윤용 | 제19대 이종건 | 제20대 권중현 | ||
| 제21대 이용익 | 제22대 심상훈 | 제23대 권중현 | 제24대 이근택 | 제25대 권중현 | ||
| 제26대 이병무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
| 제26대 이병무 | ||||||
| }}}}}}}}}}}} | ||||||
| <colbgcolor=#29176e> 대한제국 군부대신 大韓帝國 軍部大臣 Prime Minister of the Empire of Korea | |
| | |
| <colcolor=#ffd700> 초대 | 이규원 |
| 말대 | 이병무 |
| 시행 | 1894년 8월 15일[1] |
| 폐지 | 1909년 |
1. 개요
군부대신(軍部大臣)은 대한제국 시기의 고위 관직으로, 군부(軍部)의 최고 책임자이자 대한제국의 군사 업무를 총괄하던 직책이다.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이후 기존의 병조(兵曹)를 폐지하고 군무아문(軍務衙門)을 신설하였고, 1895년(고종 32) 군무아문을 군부로 고쳤다. 대한제국이 근대적 군사 체제를 수립하려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군부대신은 황제를 보좌하여 군사 정책을 수립하고 군 조직, 병력 동원, 군사 훈련, 무기 도입 및 군사 예산 등 군사 전반을 지휘·감독하였다. 일종의 근대적 국방부 장관에 해당하는 자리로, 대한제국의 자주적인 국방 체계를 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1905년 을사늑약 체결과 1907년 대한제국 군대 해산 이후에는 실질적인 군사 주권을 상실하면서 군부대신의 권한도 크게 약화되었으며, 1910년 한일병합과 함께 제도 자체가 소멸되었다.
2. 상세
군부대신은 1895년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병조가 폐지되면서 새로 설립된 **군부(軍部)**의 수장이었다. 군부는 일본의 육군성과 유사한 조직체계로 편성되었으며, 군부대신은 군사 행정을 전문적으로 관장하기 위해 설치된 관직이다.군부 아래에는 참모본부, 군사학교, 병기창, 진위대 등 각종 부서와 군 조직이 편성되었으며, 군부대신은 이들 전체에 대한 인사권과 지휘권을 보유하고 있었다.
초기에는 군제 개편과 군대 근대화를 주도하였으나, 이후 일본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실질적인 권한은 점차 축소되었다.
3. 권한 및 역할
군부대신의 주요 권한 및 역할은 다음과 같다:군사 정책 수립 및 집행: 국방 정책, 군제 개혁, 병력 운용 등 군사 전반의 정책을 기획 및 실행.
군 지휘 및 감독: 황제의 명을 받아 각 부대의 편성, 이동, 훈련을 감독.
군사 인사 및 조직 관리: 장교 임명, 진급, 군 조직 편제 결정 등 군 인사 업무 수행.
군사 재정 및 물자 관리: 병비 예산, 군수품 조달 및 무기 수입 등 군 재정 및 군수 관리.
군사 외교 및 무기 도입: 러시아, 독일, 일본 등 외국과의 무기 교역, 군사고문 초빙 업무 주관.
황제 보좌: 황제의 군사적 참모 역할 수행, 황제에게 군 관련 업무 보고 및 건의.
[1] 음력 1894년 7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