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09:46:57

군남댐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999> 파일:댐 일러스트.png한강 수계의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 font-size:0.9em; letter-spacing: -0.4px; word-break: keep-all"
한강 임진강 군남댐 | 황강댐(북한)
한탄강 한탄강댐
팔당댐 북한강 청평댐 | 의암댐 춘천댐 | 화천댐 | 평화의 댐 | 임남댐(북한)
소양강 소양강댐
남한강 섬강 원주천 원주천댐
대관대천 계천 횡성댐
충주댐 | 광동댐 | 괴산댐
한강 · 금강 · 영산강 및 섬진강 · 낙동강
}}}}}}}}} ||
<colbgcolor=#29ACFF><colcolor=#fff> 군남댐
郡南댐|Gunnam Dam
파일:군남댐.jpg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착공 2007년 10월
완공 2010년 6월 30일
관리기관 한국수자원공사 군남댐 관리단
유형 홍수 예방, 비상용수 확보
하천 임진강
주소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 선곡리

1. 개요

1. 개요

임진강 남한 최전방에 위치한 댐이다. 홍수조절용으로 지어진 단일 목적 댐이긴 하지만, 농번기에는 군남댐의 물을 담수함으로서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

북한 황강댐이 무단방류나 수공을 시도하면 최전선에서 방어할 수 있는 댐이지만, 남한 군남댐은 상류에 있는 북한 황강댐에 비해 5분의 1 수준밖에 되지 않아 북한이 만수위에서 통보 없이 무단 방류하면 임진강 하류의 어구가 손실되는 등 피해가 불가피하다. 군남댐의 규모를 높이면 북한 지역이 수몰되므로 북한을 자극하지 않고자 노무현정권에서 현재의 규모로 제한하였다는 주장이 있다.# 물론 북한 황강댐의 위협을 막을 수준으로 댐 규모를 높이면 북한 뿐 아니라 남한 지역도 댐 주변 많은 지역이 침수된다.

대한민국은 북한 측에 방류시 통보를 요청했지만 실제 통보는 잘 되지 않아 임진강 하류 어민들은 장마철엔 항상 공포에 떤다. 군남댐 준공 전인 2009년엔 무단방류 때문에 6명이 사망하는 인명피해도 일어났다.#

황강댐 방류시 물이 군남댐까지 도착하려면 6~9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사전통보만 하면 대비하는 데 문제가 없으나, 사전통보를 하지 않을 경우 군사분계선 지점에 설치된 횡성수위국(필승교)에서 확인하여야 한다. 이러면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은 약 30여 분밖에 없으므로 그대로 당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2020년 8월 3일, 중부지방 폭우에 따라 황강댐 수문을 개방해 무단방류를 한 것으로 추정되나 이를 대한민국에 알리지 않았다. 관련 기사

2022년 6월 말, 폭우로 인해 북한이 합의를 어기고 황강댐 무단 방류를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군남댐도 수문을 개방해 방류를 시작했다. #1 #2 #3 #4 이후 2022년 8월 8일에도 폭우로 인해 수문을 전부 개방해 방류를 시작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