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5-24 04:02:29

공진뢰


1. 개요2. 설명3. 능력4. 작품 내 등장5. 기타6. 관련 항목

1. 개요

空盡雷

무협소설 《무림천추》, 《실혼전기》, 《광오천하》, 《북궁남가》, 《광마》에 등장하는 무공.

일람무의 진소백이 창시한 무공으로 첫 등장은 무림천추. 무공 중에서 굳이 분류하자면, 소리가 울린다는 걸 보고 착안해서 탄생한 무공이기에 음공 분류 안에 넣을 수 있다. 무공의 의미는 허공조차 없애버리는 벼락. 무공을 익힌 무인으로는 엽평적군양, 장미대신승, 혁련광이 있다.

2. 설명

일람무의 진소백이 동굴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소리가 울리는 걸 보고 산 전체를 대금처럼 사용하여 변방이세에서 전해지는 산을 울리게 한 남자의 전설을 재현하고 산을 울리게 한 원리를 무공에 적용함으로써 탄생했다. 창안한 진소백 본인은 이 무공을 전력으로 쓰기에는 여러모로 문제가 많아서 대신 사제인 엽평에게 이 무공을 전수해줬다. 광마에서 말하길, 공진뢰는 그 자체로 울림이지만, 다른 울림과는 다르게 자신의 힘을 자신이 다시 사용하면서 연이어지는 흔들림이라고 한다.

사실 무공의 원리 자체는 그렇게 어려운 게 아니다. 다만, 이 원리를 생각해내도 익히기가 더럽게 어렵고, 익히다가 삐끗하면 죽는다는 것 정도. 그리고 고생해서 익혀도 잘못 사용하면 익힌 보람도 없이 골로 간다는 것 말고는 시도하는 것 자체는 쉽다. 공진뢰의 구결이 사라진 이유도 익힐 수가 없어서가 아니라 익혀도 딱히 보람도 없고, 위험성이 너무 큰 나머지 사장된 거다. 혁련광만 봐도 전신을 두들겨 패서 몸을 단단하게 만들고 보호해주는 내외공을 3개나 익히고, 절벽에서 수십 번 굴러떨어지면서 몸을 강화한 걸로도 모자라서 정신을 집중하고 고통을 견디면서 사용하는 수준이니 웬만한 각오가 아니면 사용할 수 없을 만큼 까다로운 무공이다.

3. 능력

몸 전체를 울림통으로 사용하여 진기를 마치 소리처럼 울리게 하여 공력을 몇 배 이상 증폭시키는 원리로 작중 묘사에 따르면 진동 그 자체를 사용한다. '내공 증폭'이라는 점에서 짙은 사기성을 보이는 무공이지만, 혈맥이 웬만큼 튼튼하지 않으면 익힐 수 없기에 이를 자유자재로 사용한 엽평의 경우는 대단히 희귀한 예. 공진뢰를 보통 익히려면 가공할 내공을 가진 자가 그 내공을 없애는 수밖에 없으므로 내공을 늘리려면 오히려 내공이 없어야 한다는 모순 때문에 내공 증폭이라는 사기성에도 사장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내공을 증폭해주지만, 진기를 몸에서 울리게 하여 여러 번 뿜어내기에 오히려 내공이 늘어났음에도 소모가 더 극심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적군양도 공진뢰를 얻을 때 여러 번 쓸 공력을 한꺼번에 쓴다고 표현했다.

무림천추엽평은 어렸을 때부터 절맥을 치유하느라 먹은 영약의 공력이 전신에 흩어져 혈맥이 강화돼서 사용할 수 있었고, 적군양은 본래 엄청난 내공을 가지고 있다가 소실하여서 공진뢰를 사용하면 증폭이라기보다는 본래 가지고 있던 내공을 되돌리는 것에 더 가까워 이걸 익힐 수 있었다. 그래서 작중에서 나오지는 않지만, 아마 이쪽도 공진뢰를 무리하게 사용하면 혈맥이 터져 죽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도 내공 증폭이라는 사기적인 효과가 있어 일단 익힐 수만 있다면 최강이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니다. 일단 최소 10배 이상 증폭이 가능한 걸로 보이는 데, 1갑자의 공력을 가진 고수가 공진뢰를 사용하면 10갑자의 내력을 가진 고수가 된다는 소리. 게다가, 실혼전기에서 적군양이 공진뢰에 어느정도 익숙해지자 10배 넘게 증폭시켰고, 후반부에서는 20배나 증폭시킨 것을 보면, 숙련도가 높아지면 증폭시킬 수 있는 한도 또한 늘릴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엽평은 공진뢰로 혈마수라결을 무찔렀고, 적군양은 고작 10년 치의 공력을 바탕으로 실혼전기 내에서 의기맹의 고수로 활약했다. 혁련광은 두 눈과 두 다리, 오른손을 잃고 왼쪽 팔만 남은 몸으로 뇌정마교의 마졸을 상대로 상당히 괜찮은 성과를 보여줬다.

4. 작품 내 등장

4.1. 무림천추에서

무림천추에서 주인공인 진소백매일도를 구하고, 태상의 손에서 변방이세를 구하기 위해 산 전체를 울리게 했던 전설을 재현할 때 사용한 원리를 무공에 적용하여 탄생했다.

본래 엽평은 전설적인 힘을 자랑하는 혈마수라결에 대항할 만큼 강한 고수가 아니었지만, 이 공진뢰를 익힌 것 하나로 12성까지 혈마수라결을 끌어올린 좌고학을 무찌를 수 있었다.

4.2. 실혼전기에서

실혼전기에서 곽한의 도움으로 10년 내공을 되살리고 사라진 구결을 재현한 제갈혜의 도움으로 공진뢰를 익혔다. 익히는 방법은 참으로 쉬워서 거종 안에 사람을 넣은 다음에 장력으로 거종을 치는 거. 치는 사람은 같은 힘으로 거종을 치지만, 치면 칠수록 거종의 울림이 더 커지기에 108번 치기 전에 깨달음을 얻지 못하면 죽는다. 복불복 적군양도 익힐 때 내장이 산산조각이 나서 죽기 일보 직전에야 거종에 가하는 힘은 똑같은 데 그 힘이 점점 증폭된다는 걸 눈치챈 덕에 간신히 그 요결을 깨달았다. 적군양은 이것과 폭잠단을 이용해서 전성기의 힘을 발휘했었고 그걸로 조심홍도 바르고 또 다른 자신을 무찌르는 데도 성공했다.

4.3. 광오천하에서

광오천하에서는 희대의 사기 캐릭터장미대신승이 익힌 무공으로 등장하며 적군양의 제일마공인 번천대뢰장과 함께 최강의 절기라고 한다. 어째서인지 적군양이 익힌 이후로 구결이 남아 있던 걸 장미대신승이 얻어서 사용하는 데, 본래 사용자인 엽평적군양이 초라해 보일 정도로 잘 활용한다. 공진뢰를 사용하면 고금에서 보기 드문 내력의 고수 초화평과도 동수를 이룰 정도고, 번천대뢰장 한 번 쓰니 주변 100미터가 초토화되었다. 근데 실혼전기 보면 이거 혼자서 익히는 거 불가능하지 않나?

4.4. 북궁남가에서

검군이 황천법문에서 유래된 무궁연옥의 진법과 여의류를 이용하여 재현하겠다는 말을 한다. 그리고 정말로 진법 내에서 가해지는 힘을 역으로 늘려서 되돌려준다는 무궁연옥의 진법과 남의 힘을 자신의 것처럼 사용하는 여의류의 능력이 이용하여 공진뢰를 후반부에서 재현하는 데에 성공하여 이를 혁련광에게 전수해줬다. 구결을 전수받은 혁련광은 까마득한 절벽에서 떨어져도 끄떡없이 몸을 보호해주는 철신갑, 철혈진기와 제검세가의 혼철신강까지 더하고, 절벽에서 수십 번 구르면서 피나게 수련한 끝에 공진뢰를 다룰 수 있게 되었다. 이 덕에 본래라면 전투에 나갈 수 없어야 정상일 정도로 상태가 심각했던 혁련광이 뇌정마교를 상대로 웃기면서도 처절한 전투를 벌일 수 있었다.

4.5. 광마에서

광마에서는 악거태가 안효봉하후벽을 이기겠다는 이유로 실전된 공진뢰를 재현했다. 계산도 철저하게 하고, 혈맥을 보호할 영약도 복용하고, 원리도 철저하게 분석했지만, 잘하다가 내공을 더 얻겠다는 과욕을 부린 탓에 몸속에서 힘이 울리자마자 악거태의 혈맥과 단전을 앗아갔다. 공진뢰를 익히는 게 얼마나 어려운 건지 보여준 좋은 예다.

이 시점에서는 고금제일마 적군양을 무명 협객이 이 공진뢰를 이용해서 죽였다고 전해지며 무림천추의 엽평 역시 공진뢰를 이용하여 자신보다 몇 배의 내공을 지닌 마두를 마침내 격퇴했다고 한다. 혈왕현세가 협사라니 왜곡 쩝니다

5. 기타

왠지 모르게 혈마수라결과는 악연인 무공. 공진뢰의 소유자들은 엽평도 그렇고, 적군양도 그렇고, 장미대신승혁련광혈마수라결과 엮인 적이 있다. 그리고 적군양엽평의 후손을 몰살시킨 놈이라는 점에서 정말 아이러니하다.

6. 관련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