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공과대학에 다니는 여학생.2. 상세
전체 공학도 평균으로는 15~20% 정도로 나타나지만, 기계공학과나 전기전자공학과, 토목공학과 등 일부 학과는 0~10%대의 비율을 보인다. 이렇게 설비와 관련된 공대 학과는 극단적인 남초 현상이 나타나는 편이므로, 공대녀는 그런 특수한 환경에 있는 소수의 존재로서 부각되고 밈이 되었다.단, 모든 공대에 여학생이 소수인 것은 아니다. 멀티미디어 분야처럼 디자인이 중요한 곳이나 도시공학과처럼 사회학과 관련이 큰 곳은 여학생의 비율이 제법 높기도 하다. 건축과 같은 경우 설계를 지망하고 들어오는 여학생들이 꽤 많기 때문에, 설계학부에서는 여학생과 남학생의 비율이 1:2에서 1:1까지도 갈 수 있고, 환경공학과는 여학생 비율이 높은데, 많으면 60% 정도가 여학생인 경우도 있다. 이는 환경과의 진로는 현장직 외에도 실험직, 연구직, 설계직 등 내근직 진로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환경공학과에서 남자는 주로 폐수처리장이나 측정 부분의 현장직 또는 환경관련 공사 현장 소장이나 시공자, 기술자 등을 자주 한다. 반면 환경과 출신 여자들은 대체로 실험, 보고서 작성 쪽으로 많이 나간다.
대개 공과대학 커리큘럼을 따라가는 것부터 시작해[1] 진로가 대부분 현장직이란 것[2] 등 평균적인 여자의 체력으로 평균적인 남자들과 경쟁하기 힘들다는 점이 꼽힌다.
3. 기타
이른바 공대 여신 혹은 공대 아름이라고 해서 특유의 희귀성에 힘입어서 학교의 아이돌이나 학교의 여왕 식으로 무조건 인기 있을 거라고 생각되기 쉽지만 광고 속 공대 아름이나 우스갯소리로 이야기되는 공대 여신은 미녀가 아닌 한 생기기 매우 힘든 것이다. 하지만 보통만 되어도 어느 정도 남자를 선택해서 만날 입장에 있다.남녀 공학인 고교를 졸업했더라도 여성들은 힘들다고 기피하는 '공과생'이기 때문에 공업고등학교는 단성학교가 많고, 기계공학과처럼 여학생을 거의 볼 수 없다. 예외도 존재하는데 외대부고나 인천하늘고 등 전국단위 모집 자사고들의 경우 기본적으로 여초 집단이다.[3] 이과반이라고 해도 남녀가 거의 동수이거나 여자가 더 많은 경우도 존재한다. 다만 예외는 이들뿐이다. 상산고등학교는 남녀 성비가 2:1 가량이고 자사고가 아닌 영재학교/과학고등학교는 성비가 5:1 정도는 비교적 나은 편(...)이며, 10:1 이상도 자주 볼 수 있다.
북한의 김책공업종합대학에 다니는 여학생들은 주변에서는 으레 공대 아주마이로 불리는데 수업이 워낙 어렵다 보니 공부에 매달리느라 화장은 커녕 제대로 씻고 다닐 시간도 없어서 거의 초췌한 몰골로 돌아다니기 때문이라고 한다.
4. 여자대학교 공과대학
단, 여학생만 있는 공대도 있다. 1996년 신설된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은 세계 최초의 여자 공대이다. 숙명여자대학교에도 2016년부터 공대가 생겼다. 성신여자대학교도 2017년 단과대학 차원에서 공대를 개설했다.("지식서비스 공과대학")5. 유명인 공대녀 출신 인물
5.1. 실존 인물
- 고소현 - 이화여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권은희 -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
- 김가을 - 한양대학교 산업공학과
- 김진애 -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리사 수 - MIT 전기공학 학사/석사/박사
- 박근혜 -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 박소진 - 영남대학교 기계공학과 중퇴
- 반윤희 - 강릉대학교 정보전자공학부
- 양금희 -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
- 우메이마 파티흐 -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윤설화 - 건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윤소희 -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
- 이소연 - 카이스트 기계공학 학사/석사, UC 버클리 MBA
- 이은재 - 조선대학교 전자공학과
- 임현주 -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 진기주 - 중앙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진도령 - 남경항천대학 항공우주공학과
- 최정문 -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 한정애 -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
5.2. 가상 인물
- 공대생 너무만화 - 강지우, 한수연
- 뷰티풀 군바리 - 문소중(컴퓨터공학과), 남혜서
- 공대에는 아름이가 없다 - 하니
- 게임회사 여직원들 - 아름
- 보그맘 - 이미소
- 칰타툰 - 아싸녀
- 아스코 마치 ~아스카 공업고교 이야기~ - 요시노 나오(다케이 에미 역)
- 지금부터 쇼타임 - 강아름
- 헤어지면 죽음 - 임세아
[1] 실험 같은 건 물론이고, 시험 준비뿐만 아니라 당일 시험 그 자체로도 밤을 새는 경우도 많다. 아주대 건설 시스템 공학과(토목공학과) 토질역학 72시간 시험[2] 토목공학과는 건설현장, 화공과는 화학 플랜트, 기계공학과나 조선공학과는 자동차 공장이나 조선소 등 사무직조차 현장 방문이 잦은 직종이 많다.[3] 중학교 내신으로 학생들을 선발하기 때문에 내신관리를 상대적으로 더 철저히 하는 여학생들이 많이 합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