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9 09:59:56

고정배차제

시내버스의 운영제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운임 지불
단일요금제(농어촌버스) · 거리비례제 · 구간요금제 · 환승할인제 · 요금 무료화 · 현금 승차 불가
운영 방식
민영제 · 준공영제 · 공영제
차량 공급
차량총량제 · 고정배차제 · 지원운행 · 공동 배차 · 3분요리 · 차돌리기 · 돌려막기 }}}}}}}}}

1. 개요2. 장점3. 단점

1. 개요

버스 노선마다 전용 차량이 배차되어 고정으로 운행하는 제도. 주로 대도시 시내버스나 수요가 많은 노선에서 시행한다.

2. 장점

LED로만 표기하면 경유지가 휙휙 지나가기 때문에 노선 중간이 목적지인 승객은 알아보기가 힘든데 고정배차제는 차량 옆면에도 노선번호와 경로가 부착되어 있어 손님들이 노선경로를 더 쉽게 알 수 있다. 버스 기사가 한 노선만 외우면 되기에 편하고 초보 운전기사도 노선 이탈이 거의 없다.

3. 단점

버스를 다른 노선으로 이동시킬때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 고정배차제를 시행하는 대부분의 지자체는 어차피 매일 같은 노선만 운행하니 차량에 노선번호를 써놓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하루에 몇회 운행하지 않은 노선이 대부분인 농어촌버스는 이 방식이 적합하지 않다. 하루 3번 운행하는 노선에까지 전용 차량을 1대씩 배차하면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고정배차제를 시행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는 시스템상 다른 노선에 지원운행을 나가는 것도 불가능해서 출퇴근시간대에만 운행하는 서울동행버스나 심야버스도 별도 차량을 쓰는 비효율적인 운행을 하고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