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16:59:58

경기평생교육학습관

파일:경기도교육청_휘장_White.svg
경기도교육청 산하 공공도서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경기평생교육학습관 경기중앙교육도서관 경기광주교육도서관 경기여주가남교육도서관
경기포천교육도서관 경기김포교육도서관 경기과천교육도서관 경기성남교육도서관
경기화성교육도서관 경기의정부교육도서관 }}}
경기도의 공공도서관 목록 둘러보기


경기평생교육학습관
京畿平生敎育學習館
Gyeonggi Lifelong Education Learning Center
 
파일:경기평생교육학습관로고.png
표어 먼 길을 함께 가는 아름다운 동행
구분 경기도교육청 공공도서관
관장 윤재철
개관일 2008년 5월 30일 경기평생교육학습관 ([age(2008-05-30)]주년)
자료 도서 654,297권 [기준]
비도서 17,313점 [기준]
연속간행물
소재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중로 55 (권선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external/group.sunjin.co.kr/g01.jpg
오른쪽 아래에 작게 보이는 길이 남수원중학교이며, 왼쪽 길을 따라 올라가면 권선고등학교가 나온다.
1. 개요2. 시설3. 특징4. 운영 시간5. 기타 정보6. 교통

[clearfix]

1. 개요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2동에 위치한 경기도교육청 산하의 공립(도립) 도서관 겸 학습관. 흔히 평교라고 부른다.

2. 시설

2008년 5월 30일에 개관하였고, 장서 수는 약 71만 권이다. 장서 수로 치면 타 도서관을 압도하지만, 빌릴 수 있는 도서가 10분의 1도 채 안 될 정도로 이용에 제약을 받는다. 가령 A라는 장서가 10권 있으면 그 중 9권이 보존서고에 있을 정도로, 열람이나 대출에 제약을 많이 받는다. 하지만 보존서고 열람과정이 비교적 간단한 편이라, 정말 필요하다면 열람할 수는 있다. 단 보존2서고의 도서는 영구보존용이라 대출이 불가하다.

수원시에서 제일 큰 도서관으로, 총 5층(지하 포함 7층)으로 지어졌다. 참고로 2번째로 큰 도서관은 팔달구 신풍동에 있는 선경도서관이다.

주차장이 매우 협소하여 2008년 개관 직후부터 쭉 주차 문제를 겪고 있다. 일반주차공간 60대에서 지하주차장의 직원 주차와 지상주차장의 불법 장기주차 등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은 거의 없는 수준.

3. 특징

안산시안산중앙도서관처럼 수원시의 도서관 중에서는 시설이 최신이고, 주변에 학교가 많은지라[4] 열람실이 작지 않다. 그럼에도 주말 오후에는 대기표를 끊고 3~5시간(…) 가량 기다려야 하는 일이 벌어진다. 특히 시험기간만 되면 중고등학생은 물론이고 대학생들까지 몰려 열람실 자리 차지하는 게 정말 전쟁이다. 오전 11시에만 가도 대기자가 300명대(!!!)인데다가 3시간 정도나 기다려야 한다. 자리가 적은 것도 아닌데 이 꼴이 자주 일어난다. 대체 어디서 이렇게 몰려오는 건가 여기서 공부하는 학생들의 대다수는 바로 옆의 남수원중학교권선고등학교, 화홍중학교, 화홍고등학교, 심지어는 멀리 곡반중학교에서도 온다. 하지만 이들의 대부분은 공부보다는 놀러오거나 공부하는 척 하는 학생들이다. 진짜 공부하러 오는 사람들은 대학생이나 성인, 또는 자격증 공부하는 사람들 뿐(…)

봉사활동을 하러 오는 학생들도 상당히 많다. 주말에는 학생들이 직원보다 많을 정도(…)

5층의 식당은 가성비가 좋다는 평을 받았으나 코로나19가 유행한 2020년 이후로 더 이상 운영하지 않으며, 특정 시간대에만 개방되며 각자 음식을 가져와서 먹는 곳으로만 사용된다. 밥을 먹으려면 앞에 있는 세븐일레븐에서 먹거나, 좀 걸어가면 여러 분식집, 중국집 등이 있으니 취향껏 골라서 먹자.

파일:external/i.uncyclopedia.kr/%EB%8F%84%EC%84%9C%EA%B4%80%EC%B4%88%EB%94%A9.jpg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출처:백괴사전

여담으로 도서관치고는 정보검색용 컴퓨터가 지나치게 많다. 그래서인지 여기가 도서관인지 PC방인지 구별이 안 갈 정도 참고로 PC에선 네이버 카페 채팅을 쓸 수 없다., 그리고 도서관의 질은 좋지만 대부분 공부보다는 공부하는 척 하는 학생들이 많아 분위기가 썩 좋지 않다.

4. 운영 시간

실별 요일 시간
열람실 평일 07:00 ~ 22:00
토/일요일 07:00 ~ 22:00
어문학실 /간행물실 평일 09:00 ~ 20:00
토/일요일 09:00 ~ 17:00
멀티미디어실 평일 09:00 ~ 18:00
토/일요일 09:00 ~ 17:00
인문 /사회 /자연과학실 평일 09:00 ~ 20:00
토/일요일 09:00 ~ 17:00
어린이실 평일 09:00 ~ 18:00
토/일요일 09:00 ~ 17:00
대출 권수 2주일 5권
정기 휴관일 매주 월요일, 관공서 휴일
임시 휴관일 관장이 자료의 정리, 보수공사, 장서점검 및 기타의 사유로 휴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날

2023년 11월 27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1개월 가량 휴관 후, 2024년 4월 1일부터 2024년 7월 22일까지 4개월 가량 다시 휴관하였다. 공지

5. 기타 정보

그 외에도 여러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운영 중이니 관심이 있으면 신청해보자.

여담으로 팔달구 우만동[5]에 위치한 수원평생학습관과 헷갈리는 사람들이 간혹 있다. 수원평생학습관은 시립이며 도서관이 없고, 경기평생학습관은 도립이며, 대부분의 기능이 도서관이다.

6. 교통

버스로는 19번, 83-1번, 88번, 92번, 3007번, 7001번, 8800번을 타고 평생교육학습관, 남수원중학교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아니면 99-2번, 4000번을 타고 권선자이, E편한세상/농수산물사거리 정류장에 내려서 걸어오거나 5번, 5-2번, 7-1번, 7-2번, 13-5번, 64번, 80번, 82-1번, 112번, 310번, 900번, 3002번을 타고 선일초등학교 정류장에 내려서 10분 정도 걸어와도 된다.

분당선 매탄권선역이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도보로 약 20분 정도로 그닥 가깝지는 않다. 연계되는 버스가 없으므로 굳이 분당선을 이용하고 싶다면, 92번을 탑승해서 수원시청역에서 하차하면 된다. 물론 20분 정도 운동삼아 살살 걸어갈 수 있는 사람은 매탄권선역을 이용해도 괜찮다.


[기준] 2024년[기준] 2024년[3] 본래는 북카페였지만 휴게실 내지 열람실로 전략하였다가, 코로나19가 유행한 2020년 이후로 무기한 폐쇄된 상태.[4] 영통구 매탄동에서도 레이드온다.[5]연무중학교 자리에 위치한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