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무협소설 《의천도룡기》에 나오는 무공. 검법이나 권법이 아니며 일종의 내공을 쓰는 요령이자 체술에 가깝다. 건곤대나이신공이라고도 부르며, 작중 구양신공과 함께 무림의 양대 신공으로 통하고 있다. 페르시아에서 전래된 서역 최고의 무공으로, 명교가 자랑하는 호교신공이다.요약하자면 힘의 방향을 바꾸거나 힘이 작용하는 근본과 흐름을 알고 응용하는 것.
《바람의 나라》에서 나오는 전사 기술 이름이기도 하다.
2. 설명
하늘과 땅을 크게 잡아 옮긴다는 뜻으로, 《천룡팔부》에 나오는 모용세가의 가전무공 두전성이와 비슷한 효과에 좀 더 다능한 무공이다. 장무기가 구양신공 다음에 익힌 무공으로, 궁지에 몰릴 때마다 사용하여 전세를 역전시키는 등 맹활약하였다. 의천도룡기 하면 바로 떠오르는 가장 대표적인 무공이라 할 수 있으며, 사실상 장무기의 필살무공이자 그의 아이덴티티라고 할 수 있다.장무기는 건곤대나이를 익힌 시점에서 강호에 적수가 없게 되었으며,[1] 사실상 무공의 완성을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장삼봉의 태극권과 태극검을 통해 무학이 더 깊어지고, 성화령 신공까지 배우기는 하지만 이것은 장무기가 가진 힘을 좀 더 잘 발휘하게 하는 부분적인 발전 정도에 해당한다.
명교의 역대 교주들에게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는 호교신공(護敎神功). 근본 원리 자체는 구양신공이나 구음신공과 달리 그렇게까지 오묘한 것은 아니고, 우선 자신의 신체가 가진 모든 잠재력을 격발시킨 다음 그것으로 적이 공격하는 힘줄기를 끌어당기거나 다른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주요 원리로 삼는다. 즉 무당파에서도 가르치는 사량발천근과 유사한 수법이지만, 건곤대나이는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힘을 끌어내기 때문에 굉장히 심후한 내공을 쌓아야만 제대로 익힐 수 있다. 더욱이 그 속에 감춰진 응용법은 실로 기상천외하여 예측불허하다. 요컨대 장무기는 구양신공 수련과 건곤일기대를 통해 엄청난 내공을 축적했고 건곤대나이 연성을 통해 그런 내공과 신체의 잠재성을 전부 개방시켰다 할 수 있다.
직접 공격을 가하는 초식이나 심후힌한 내공을 쌓게 하는 내가심법이 아니라, 이미 심후한 내공이 쌓인 고수가 자신이 가진 신체의 잠재성을 남김없이 발휘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체술이기 때문에 공력이 부족한 채로 수련하면 성과가 더딜 뿐만 아니라, 자칫하면 주화입마로 목숨을 잃을 수 있을 정도로 위험하다. 이렇기 때문에 심법의 요결문에는 각 단계마다 오성이 높은 자는 7년, 낮은 자는 14년을 연마해야 하며 그 이상 오래해도 진전이 없을 경우 중단하라고 써 있었다. 선대 교주들도 이를 수십년을 연마해도 3-5단계 정도만 겨우 익힐 수 있었지만, 교주 체면상 억지로 계속 수련하기도 했다.
하지만 장무기는 자질이 높고 영민하였고, 의술에 정통했을 뿐 아니라 설부득의 포대 속에서 구양신공을 완성했기 때문에 보기드문 내공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단시간 내에 건곤대나이 심법을 익힐 수 있었다.[2] 사실 건곤대나이 심법을 완전히 익힌 사람은 작중, 아니 명교 역사를 통틀어도 장무기밖에 없다. 왜냐하면, 건곤대나이 신공을 만든 사람 조차 내공이 부족하여 7단계 심법은 머릿 속으로 상상하여 구상한 것을 적어 놓은 것 뿐이었기 때문이다.
창안자 조차도 7단계는 본인이 실제로 해보고 터득한 것을 적은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사실 7단계에는 잘못된 부분들이 존재하였는데[3], 장무기는 이를 건너 뛰고 익혔고 그의 성정이 탐욕스럽지않아 그것으로 만족할 뿐 다행히 이 부분들을 억지로 익히려 하지 않았다. 만약 이 부분들까지 억지로 익히려 들었다면 장무기는 주화입마했을 것이다.
사실 건곤대나이 심법은 원래 페르시아 명교에서도 교주가 대대로 전수받고 있었지만, 자질이 부족한 교주가 이어지다보니 많이 실전되어 1, 2단계 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그래서 다이치스를 보내 중원 명교에서 건곤대나이를 훔치려 했던 것이다. 그런데 금화파파는 은엽선생과 사랑에 빠져 광명정을 떠나게 되고, 대신 자신의 딸인 소소를 보내 건곤대나이 심법을 훔치게 한다.[4] 나중에는 장무기가 페르시아 명교의 새로운 교주가 되는 소소에게 건곤대나이를 보내기도 한다. 이 보답으로 소소가 중원 명교가 잃어버린 나머지 여섯 개의 성화령을 보낸다.
작중 건곤대나이가 폄하되는 부분도 있는데, 장무기가 광명정에서 고수 네 명의 정, 반 양의검법과 싸울 때 서역의 건곤대나이와 중원의 역경[5]을 비교한다. 해당 부분에서 역경에서 비롯된 중원의 무공이 서역의 건곤대나이 무공보다 더 뛰어나지만[6], 정파 고수 네명의 깨우침이 2, 3성에 불과해 이기지 못하는 것이지 만약 극치에 도달했으면 장무기가 벌써 죽었을 것이라는 묘사가 있다. 장무기가 파훼할 방법을 찾지 못하고 패색이 짙은 상황이긴 했지만 주지약이 음향오행과 팔괘의 변화를 일러주어 장무기가 깨닫게 되어 겨우 이기게 된다. 4 대 1의 싸움이라 사실 따지고 보면 애초에 동등하거나 정당한 싸움이 아니기는 했다. 그것을 제외하면, 장무기가 건곤대나이를 익힌 이후 무공으로 누군가와 일대일로 정당하게 겨루어 패한 적은 없다.
3. 효용
건곤대나이의 효용은 실로 강력한데, 잠재력을 남김없이 끌어다 쓰고, 힘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다는 점으로 건곤대나이의 강점을 요약할 수 있다. 이렇게만 쓰면 구체적으로 어떤 뜻인지 알기 어렵지만, 의천도룡기 작중에서 장무기가 선보인 활약상의 내막을 보면 대략 건곤대나이의 윤곽을 짐작할 수 있다.- 힘을 운용하는 근본적인 이치를 터특했기 때문에 처음 보는 무공의 요지를 쉽게 깨달을 뿐만 아니라[7] 그 무공을 실제로 써보는 과정에서도 오랫동안 수련한 것처럼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의천도룡기에는 이에 대한 묘사가 여러차례 나온다. 장무기가 비도에서 나온 후 은천정과 송원교가 초수를 겨루는 것을 보고 더 잘할 수 있는데 왜 못하는가에 대해 의아해 한다든가[8], 공성의 용조수를 처음 봤는데도 핵심을 깨닫고 수십년 수련한 공성보다 더 능숙하게 사용한다든가, 사손이 억지로 외우게 했던 칠상권의 요결을 수련한 적도 없이 처음으로 운용하여 공동오로 앞에서 사용했는데 마치 수십년 수련한 고수처럼 나무의 근맥을 상하게 했다든가, 장삼봉이 창안만 하고 사용된 적 없는 태극권을 장무기가 배워 세상에서 처음으로 결투에 사용했는데도 남작미 초식을 평생 수련한 것처럼 펼쳐 보인다든지 하는 묘사가 나온다. 어떤 점에서는 천룡팔부에 나오는 소무상공이 연상되지만, 건곤대나이는 무공을 복사하는 용도가 아니라 힘을 쓰는 근본적인 방법을 알려주기 때문에 쉽게 새로운 무공을 익히고 능숙하게 사용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적의 공격 방향을 틀어서 공격자나 3자에게 향하게 한다. 날아오는 화살의 방향조차 되돌린다. 장무기가 칼에 찔려 내공을 쓸 수 없는 상황에서도 송청서의 공격을 본인에게 되돌려 자신의 얼굴을 때리고 자신의 혈도를 찍게 만들었다. 또, 화산이로와 곤륜파 고수 두 명이 협공해올 때는 각 고수들이 서로를 공격하게 만들기도 했다.
- 적의 내력에 맞았을 때 힘의 방향을 바꾸어 다시 상대에게 방출한다. 양소가 위일소와 한쪽에서 서로의 장을 맞붙고, 다른 쪽에서는 오산인과 맞대었을 때, 위일소의 한빙면장을 받아 오산인에게 보내고 오산인의 내력을 받아 위일소에게 보내서 자신은 아무런 타격을 입지 않았다.
- 수십 미터 높이에서 뛰어내린 사람을 옆으로 밀어내어 무사히 착지시킨다. 만안사 목탑에서 육대문파 고수들을 구출할 때. 힘의 방향을 바꾼다는 요지가 잘 발휘된 경우에 해당한다.
- 거대한 바위를 움직인다. 광명정 아래 비도의 입구는 거대한 바위문으로 되어 있는데, 건곤대나이 신공을 익히지 않은 사람은 뛰어난 내공을 가진 고수들이라 해도 그 무거운 바위를 조금이라도 움직이게 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양정천의 유서나 장무기가 명교도들을 비도에서 데리고 나올 때 등의 부분에서 바위 관련 묘사가 나온다.
- 강권이 순식간에 유권으로 바뀐다.
이밖에도 무지하게 많다.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초식 위주의 무공이 아니라, 말 그대로 인간의 힘을 극한으로 끌어내는 체술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4. 수련 단계
페르시아 명교에서 명교로 전래된 호교신공으로 7단계까지 있지만, 제8대 종(鐘) 교주가 5단계를 완성한 그날 주화입마로 세상을 떠났고, 그 이후로 4단계까지도 완성한 사람이 없었다. 광명좌사자 양소도 십여 년을 수행하여 고작 2단계까지 익혔을 뿐이고, 명교의 기재였던 33대 교주 양정천도 4단계를 완성한 순간 성곤이 자신의 부인과 간통했음을 알아차리고 주화입마에 걸려 목숨을 잃고 말았다. 장무기가 얻기 전까지는 5단계 이상을 익힌 사람이 없었다.1단계는 오성이 뛰어난 자는 7년, 버금가는 자는 14년을 수행해야 완성할 수 있다. 2단계는 오성이 뛰어난 자는 7년, 버금가는 자는 14년을 수행해야 완성할 수 있다. 21년이 지나도 진전이 없는 자는 3단계로 넘어가면 주화입마에 걸리니 수행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이걸 우연히 얻은 장무기는 완전히 연성한 구양신공이 있었기 때문에 불과 몇 시간만에 죄다 익혀버린다. 명교 교주 양정천의 신임을 받았던 양소도 2단계까지 익히기 위해 무려 10년이 걸렸다.
수행 중에는 얼굴이 푸르게 되면서 체온이 내려가거나, 시뻘겋게 되면서 체온이 올라가는 등의 현상이 있다.
사실 수련이 어려운 이유는 공력을 운용하는 방법이 복잡하고 미묘한 것도 있지만, 순전히 내력이 결핍되어 심법과 조화시키지 못하는 것이 더 큰 원인이다. 내력이 부족한 사람이 억지로 통제하려 하면 자멸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사실 내공만 많으면 5단계까지는 5시간 정도면 배울 수 있다.
따라서 이게 공개되면 수많은 고수가 한 단계 상승할지도 모른다. 구양신공 덕분에 내공이 높던 장무기는 건곤대나이를 속성으로 배우더니 광명정에 쳐들어온 정파인들을 혼자 막아냈으니까. 다만 장무기는 내공이 천하제일이기 이전에 '천하제일 의원'이기도 하다. 작중에서도 접곡의선 호청우가 20세 이전에 화타에 비견될 만한 의술을 가지게 될 재능이라 평가했으며, 건곤대나이를 익힐 때에도 어려운 부분은 의리(醫理)와 비교하면서 익혔다. 그러니까 애초에 머리도 따라줘야 되는 것이다.
장삼봉 같은 사기캐를 제외하면 당금 제일 고수라 불렸던 전대 명교 교주 양정천도 겨우(?) 4단계에서 주화입마에 걸린 것을 보면, 무림에서 제대로 연성이 가능한 이는 극히 드물 것으로 여겨진다. 기연으로 구양신공을 익혀 엄청난 내공을 갖게 된 장무기 같은 경우를 제외하면, 명교 내에서 섣부르게 이 무공을 익히다가 죽고나 폐인이 되는 사례가 이전부터 많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권보는 있으나, 제대로 익힐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는 공동파가 자랑하는 절기 칠상권과 위치가 비슷하다.
5. 7단계의 함정
사실 건곤대나이 심법을 창안한 고인조차도 구양신공 정도로 심후한 내력을 갖고 있지는 않아서, 본인이 도달한 것은 6단계까지에 불과했다. 7단계는 자신의 지혜를 바탕으로 상상해서 적어둔 것으로 특히 중반부 이후의 내용 중 열아홉 구절은 완전히 잘못된 구절이었다. 장무기는 7단계를 수련하는 도중에 갑자기 혈기가 용솟음치고 심장이 격하게 뛰자 멈추고 다시 처음부터 수련하는데, 여전히 같은 증세가 나타나자 해당 구절을 건너 뛰고 나머지 부분을 이어 수련하게 된다. 이런 식으로 열 아홉 구절을 건너뛰고 7단계를 끝까지 수련하게 된다.만약 장무기가 욕심을 내서 막힌 부분을 끝까지 수행하려 했다면 아무리 내공이 심후한 장무기라도 주화입마에 걸리거나 경맥이 끊어져 폐인이 되었을 터였다. 하지만 장무기는 욕심이 없는 천성인데다, 명교와 관련이 없는 자신[9]이 어쩔 수 없는 상황에 내몰려 빌려 익혔기 때문에[10] 이 정도 익힌 것만으로도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사실 해당 구절이 잘못된 것임을 감안하면 장무기는 건곤대나이 심법을 전부 익혔다고도 할 수 있다.
6. 타 작품및 미디어에 등장한 건곤대나이
- 원래는 김용보다 한 세대 전의 무협소설가 이수민 (李壽民, 1902-1961, 필명 환주루주(還珠樓主))의 1930년 작품 '촉산검협전(蜀山劍俠傳)'[11]에 나온 법술 전도건곤오행나이대법(顚倒乾坤五行挪移大法)을 따온 것이다. 여기서는 적의 힘 뿐만 아니라 주변의 지형, 산천, 초목까지 뒤바꿀 수 있는 법술이다. 이수민은 이른바 기환선협파(奇幻仙俠波) 무협소설 작가로, 작중 등장하는 검객들은 신선에 가까운 존재들이라 검술과 도술, 법술의 경계가 모호한데, 이는 서유기나 봉신연의처럼 무술과 도술이 섞여 있는 세계관을 이었다고 볼 수 있다. 기환선협파는 이수민 이후 명맥이 희미해졌다가 21세기 들어서 무협 TV 시리즈 등으로 재유행 중이다.
- MMORPG 바람의 나라에서 전사의 필살기로 나온다. 초창기에는 반탄공(일정 확률로 데미지를 반사)의 효과였지만 유저들이 사냥에 불편함을 느껴 패치 후 그냥 참격이 되었다. 마력소모가 없어서 도사의 지원만 있다면 자유자재로 쓸수있는 유용기.
- 소림농구에서는 더 먼치킨스럽게 변해 분자활동까지 제어한다고...
- 무한도전 오호츠크 해 특집에서 길이 사자성어 건곤일척의 답을 "건곤대나이?"라고 오답을 하여 큰웃음을 주기도 하였다. 그리고는 뒤늦게 아 맞다 그건 소림사에 나오는 무공이지...라고 말해 무협팬들에게도 웃음을 줬다.[12]
- 가끔 절대쌍교의 이화접옥신공과 혼동되는 묘사로 나와, 적의 공격을 죄다 받아치기도 한다.
- 천마선에서는 동방 요도의 술법으로 나온다. 위력은 문자 그대로 사기. 위와 아래, 음과 양을 아예 뒤바꾸는데, 말하자면 모든 성질을 정반대로 바꾼다고 볼 수 있다. 일령은 이 건곤대나이를 이용해 골든서클을 괴멸로 몰아넣었다. 무려 서양 최대의 세력을!
- 종횡무진에서는 마교주의 독문무공으로 나온다. 주인공인 선주혁을 압박하거나 천마비강의 공격을 받아 넘기는데 사용했다.
- 로유진 작가의 탐식의 재림에서 주인공 설지후가 사용했다. 주로 반격에 사용했다.
- 무협지 안으로 들어와버렸다에서도 등장. 마교의 교주 천마만이 익힐 수 있는 비술인데 음양마 이호선이 몰래 익혔고 그의 제자이자 주인공 장선우에게도 전수했다. 이호선은 이걸로 천마의 불사성을 일부 비틀어 팔 하나를 영구히 날려버렸다.
7. 관련 항목
[1] 장삼봉 정도가 장무기와 대적할 수 있는 유일한 무림인으로 묘사된다. 최후의 적인 도자 항렬 소림 신승도 셋이 한꺼번에 덤비지 않으면 장무기와 대적할 수 없었다. 페르시아 명교의 풍운삼사도 장무기를 고전시키긴 했지만 중원 무림의 인물이 아니며 무공의 깊이보다는 초식의 기괴함 때문이라 참작의 여지는 있다.[2] 심법을 수련하며 이것이 왜 7년이나 걸린다는 것인지 의아해 할 정도[3] 소설에는 19구절이나 된다고 묘사된다.[4] 왜냐면 금화파파(다이치스)는 페르시아 명교의 성녀였기 때문에 순결을 지켜야 했고, 자신이 처녀가 아님을 알게 되면 죽임을 당하기 때문에 건곤대나이 심법을 바쳐 목숨을 구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소를 보내 훔치게 한 것.[5] 양의검법과 반양의도법은 역경의 음양오행과 팔괘의 변화에 기반을 둔 검법(도법)이다.[6] 김용의 소설에서는 중화중심적 시각이 종종 드러나는 부분이 있다.[7] 이건 장무기가 애초에 영민하고 의리에도 정통하기 때문에 덕을 본 점도 있긴 하다.[8] 이는 장무기가 힘을 쓰는 방법을 터득해 다른 무인들과 근본적으로 다른 움직임을 할 수있기 때문에, 왜 그걸 못하는지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예를 들어, 전교 1등이나 예체능 천재가 초보자를 보고 왜 자신처럼 못하는지 이해를 못하는 상황 같은 것[9] 어머니가 명교도(천응교도)이긴 하지만, 장삼봉의 명으로 명교에는 절대 가입하지 않겠다고 했으므로 명교와의 관계를 따지자면 외부인이었다.[10] 처음에는 익히지 않으려 했는데 비도에 갇혀 다 죽게된 상황이니 익혀보라는 소소의 권고에 어쩔 수 없이 배우게 된다.[11] 국내에도 번역되어 나온 적이 있고, 서극 감독이 1983년, 2001년 두 번에 걸쳐 영화화해서 국내에도 친숙한 작품이다.[12] 건곤대나이는 소림이 아니라 명교의 무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