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2 22:30:38

강양택

강양택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강양택의 수상 및 영예
{{{#!folding [ 펼치기 · 접기 ]
KBL 챔피언결정전 우승 반지
2024
(수석코치)

}}} ||
강양택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서울 SK 나이츠|{{{#!wiki style="margin: -15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nt-weight: 700"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ddd
<rowcolor=#ffffff,#ffffff> 초대 2대 3대
4대
안준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1998)
최인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2003)
이상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2005)
김태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2006)
감독 대행
강양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7)
<rowcolor=#ffffff,#ffffff> 5대 6대 7대
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09)
감독 대행
김지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신선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2011)
감독 대행
문경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2012)
문경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2021)
<rowcolor=#ffffff,#ffffff> 8대 파일:서울 SK 나이츠 워드마크.svg
전희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
}}}}}}}}}}}}}}} ||
강양택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fcc33 [[서울 삼성 썬더스|수원 삼성 썬더스]] 등번호 9번}}}
팀 창단 강양택
(1997~2000)
주희정
(2000~2005)
}}} ||
}}} ||
대한민국의 농구인
<bgcolor=#ffffff,#191919> 파일:강양택 2024-25.png
강양택[1]
姜亮宅
출생 1968년 3월 5일 ([age(1968-03-05)]세)
전라북도 전주시
(現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신장 190cm|체중 91kg
직업 농구 선수 (포워드 / 은퇴)
농구 코치
학력 전주초등학교 (졸업)
전주남중학교 (졸업)
전주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학사)
실업 입단 1990년 삼성전자 농구단
현역 시절 등번호 9
소속 선수 삼성전자 농구단 (1990~1997)
수원 삼성 썬더스 (1997~2000)
감독 서울 SK 나이츠 (2006~2007 / 대행)
코치 UCLA (2001~2002)
명지대학교 농구부 (2002~2003)
서울 SK 나이츠 (2003~2009 / 수석코치)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2005, 2009~2010)
창원 LG 세이커스 (2011~2017 / 수석코치)
전주-부산 KCC 이지스 (2019~2025 / 수석코치)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2025 / 어드바이저)
행정 한국농구연맹 (2018~2019 / 기술위원)

1. 개요2. 선수 시절3. 시즌별 성적4. 지도자 생활5. 야인 시절6. 여담
6.1. 감독 부임 떡밥썰
7. 관련 문서


1. 개요

대한민국의 농구인.

수원 삼성 썬더스의 선수 출신.

서울 SK 나이츠-前 창원 LG 세이커스- 前 전주-부산 KCC 이지스의 수석코치.

한국프로농구 출범 원년부터 현재까지 선수를 거쳐 지도자까지 롱런한 농구인 중 하나였다.

2. 선수 시절

실업팀 삼성전자 입단 후 대선배 김현준, 김진, 강을준과 함께했고 KBL이 출범된 이후 동갑인 서동철을 포함해서 후배인 문경은김승기와 같이 뛰었고 안덕수김희선과 현역 시절 막판을 함께했다.

여담으로 80년대 농구대잔치 올스타전 덩크대회에 출전하기도 했다.

3. 시즌별 성적

역대 성적
시즌 소속팀 경기수 2점슛 3점슛 자유투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스틸 블록슛
1997 삼성 20 49/77
(63.64%)
7/28
(25.00%)
21/29
(72.41%)
140 31 10 16 5
1997-98 31 32/61
(52.46%)
13/31
(41.94%)
13/14
(92.86%)
116 32 8 8 3
1998-99 25 25/42
(59.52%)
14/30
(46.67%)
8/9
(88.89%)
100 32 6 4 0
1999-00 3 0/1
(0.00%)
0/3
(0.00%)
0 0 0 1 0
KBL 통산
(4시즌)
79 109/181
(58.56%)
34/92
(36.96%)
42/52
(80.77%)
356 95 24 29 8

4. 지도자 생활

UCLA 객원해설과 명지대학교 농구부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2003-2004 시즌 서울 SK 나이츠에서 이상윤 감독과 김태환 감독을 보좌한 코치로 SK의 암흑기를 같이 했음에도 불구하고 꾿꾿히 자리를 지켰다. 2006-2007 시즌 중에는 김태환 감독의 경질로 인해 감독대행을 맡기도 했으며 지도력을 인정받았지만, 감독보다 코치 스타일이 더 나았다.

파일:강양택 SK 코치.jpg

2006-2007 수석코치 겸 감독대행 시절에는 2007 KBL 드래프트에서 1순위로 행운의 주인공이 된다. 선발한 선수는 당시 포인트 가드가 약한 팀 사정상 매직키드 김태술을 지명하면서 팀 전력을 보강하게 된다.

파일:김진 SK 감독 취임식.jpg

이후 놀라운 일이 벌어지게 되었는데 실업 삼성전자 시절 대선배로 대구 동양-오리온스의 명장으로 활약하던 김진 감독이 SK 나이츠 감독으로 부임하면서도 자리를 지키게 되었다. 동양의 명장이었던 김진 감독은 그에게 실업 시절 인연이 있지만 팀의 연속성을 위해 수석코치직을 유지했고 동양 오리온스 시절 수석코치였던 김지홍 코치는 SK에서는 서브코치로 부담을 덜게 했다.

SK 수석코치직을 7년동안 맡으면서 전희철, 조상현, 문경은, 방성윤, 김민수 등을 지도하기도 했다.

이미 외국인을 잘 선발하는 김진 감독을 포함해서 전임 사령탑들인 이상윤 감독과 김태환 감독을 수석코치로서 직접 보좌하면서 인연이 있는 모리스 맥혼 코치 덕에 2007-2008 시즌 팀의 6년만이자 본인의 첫 6강 플레이오프를 올리는 참모가 되었다.

하지만, 2008-2009 시즌 SK의 6강 플레이오프 탈락과 함께 정들었던 SK 나이츠의 수석코치직에서 7년 만에 물러나게 되었고 같이 호흡을 맞추었던 김지홍 코치가 동양 시절 이후 수석코치를 다시 맡았고 자신의 대학과 실업 그리고 프로에서 오랜 인연의 사제지간으로 1년전 은퇴한 전희철은 코치를 맡게 된다.

SK 나이츠 수석코치직에서 물러난 이후 2009년에는 허재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의 코치를 맡기도 했다.

그러나, 2009-2010 시즌 도중 성적부진으로 인해 김진 감독과 김지홍 코치마저 자진사퇴를 하게 된다. 결국 김진의 참모들은 모두 팀을 떠나게 되었다. 후임으로 현대전자-현대 다이넷/걸리버스 출신인 신선우 감독과 이지승 수석코치가 선임되었다. [2]

이후 자신의 지도자를 도와준 삼성전자 시절부터 인연이 된 대선배인 김진 감독과 함께 NBA LA 레이커스 연수를 같이 다녀오기도 했다.

파일:강양택 LG 코치.jpg

2011-2012 시즌을 앞두고 강을준 감독의 재계약 결렬로 인해 김진 감독과 함께 창원 LG 세이커스의 수석코치로 복귀하게 된다. 2011-2012 시즌 플레이오프 탈락의 아픔에 이어 2012-2013 시즌 리빌딩을 거쳐 2013-2014 시즌 LG의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을 함께 이끌었다. LG 수석코치 재임 기간 중에 두드러지지는 않았지만 김영환에게 대학과 상무 시절에 없었던 3점슛을 장착하게 하면서 12-13 시즌 3점슛 왕에 오를 수 있도록 만들어주었고 김진 감독과 함께 슈팅을 잘 가르쳤으며 귀화 출신 최고 슈터였던 문태종과도 2년을 함께했으며 영건들인 가드 김시래와 국가대표 센터 김종규를 지도했다.

참고로, 김종규의 대학 시절 스승인 최부영 경희대 감독은 가드 위주의 농구 스타일을 구사하여 센터와는 상극이다. 공격은 김민구와 두경민에게 주로 맡기고 김종규에는 속공 트레일러, 리바운드 셔틀, 스크린 등 궃은 일만 시키고 공격 스킬은 제대로 가르치지 않아 입단해서 강양택 코치와 조교는 크리스 메시 포스트업, 미드-레인지 점퍼, 하이-로 게임 등을 익히며 센터로서의 기본기를 다시 다졌다.[3] 2015-2016 시즌에는 김진 감독이 퇴장당할 때 감독대행 출신이었는지 승패는 아쉬웠지만 LG 팬들도 그의 지도력을 인정했다.[4]

2016-2017 시즌 성적부진으로 인해 김진 감독이 구단으로부터 또 한번의 재계약 연장 제의를 받지 못할 때 정재훈 서브 코치와 함께 팀을 떠나게 되었다.

3년뒤 2019-2020 시즌을 앞두고 자신의 고향팀인 전주 KCC 이지스의 수석코치로 실업 시절 대선배인 전창진 감독의 부름을 받고 3년 만에 KBL에 돌아오게 된다.

전창진 감독은 kt 소닉붐 감독 퇴임 전후에 나왔던 불미스런 사건사고로 인해 KGC 인삼공사 감독으로 이적을 했으나 단 1게임도 지휘를 하지 못했고 KBL에서 영구제명을 당하면서 우여곡절 끝에 4년 만에 KBL 감독으로 돌아오면서 감각에서 큰 어려움을 겪었는데 강양택에게 고마워했다.

KCC에서도 자신의 지도경험을 잘 녹이면서 좋은 지도력을 다시 보여주게 된다.

고등 출신 MIP 겸 정규리그 MVP인 포워드로 한국농구의 미래인 전임 감독으로 구단의 프랜차이즈 스타이자 영구결번의 레전드인 추승균 감독 시절 키워냈던 송교창 선수의 성장을 이끌었고 ACE인 이정현 선수의 부담을 덜게 하더니 LG 시절에도 지도했던 정창영 선수의 회춘을 잘 이끌면서 2020-2021 KBL 정규리그 우승을 이끌면서 능력있는 참모로 농구계에 또 알리게 되었다. 구단과 전 감독과 3년 재계약을 하게 된다. 2022-2023 시즌 한국농구의 슈퍼스타 중 하나로 허재의 아들 중 장남인 허웅 선수를 지도하게 되었다.

2023-2024 시즌 팀이 전주에서 부산으로 연고이전을 겪으면서 새로운 도전에 나서게 되었다. 팀의 연고이전 이후 역대 첫 정규리그 5위의 KBL 플레이오프 우승을 통해 또 훌륭한 참모로 알리게 되었다.

그러나, 전창진 감독은 2021-2022 시즌 정규리그 9위와 2022-2023 시즌 정규리그 6위의 성적부진에 이어 2023-2024 시즌에도 정규리그 5위로 부진하며 2023-2024 시즌 중 사퇴를 밝혔으나 구단의 만료에 이어 기적의 플레이오프 우승과 함께 계약기간 만료였던 2024-2025 시즌까지 팀을 맡게 되었다. 2024-2025 시즌 개막전인 kt전에서 전창진 감독의 테크니컬 파울 퇴장으로 인해 개막전에 감독대행 역할을 맡았다. 하지만, 구단과의 재계약 기간 만료였던 2024-2025 시즌에도 정규리그 9위의 부진과 함께 계약만료로 팀을 떠나게 되었다.

KCC에서 퇴단한 이후 은사인 안준호 농구대표팀 감독과 서동철 농구대표팀 코치를 도울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어드바이저로 활약하게 되었다. 기간은 2025 FIBA 아시아컵까지다. 2025 FIBA 아시아컵에서 안준호호의 전력 분석을 통해 죽음의 조를 2승 1패로 통과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또한 대표팀 스태프가 부족했다 보니 직접 선수들과 패스를 통해 훈련도 도왔다고 한다.

5. 야인 시절

2008-2009 시즌을 끝으로 7년간 정들었던 SK를 떠난 이후 공교롭게도 2009-2010 시즌 도중에 서울 SK의 성적 부진으로 감독직에서 물러난 선배이자 친구인 김진 감독과 함께 연수기간 중 NBA의 최고 인기이자 최고 명문인 LA 레이커스 훈련을 참관하면서 미국 현지에서 NBA를 관람하기도 했으며 내기도 했다.

2016-2017 시즌 성적부진으로 인해 계약만료로 감독직에서 물러난 김진과 함께 LG 세이커스를 떠난 뒤에는 아마추어를 포함해서 한국농구의 유망주들에게 지도를 하면서 바쁜 비시즌을 보내기도 했다.

2019-2020 시즌 KCC 수석코치로 부임하기 전에도 농구 유망주들에게 재능기부를 하는 등 농구발전에 큰 공헌을 한 지도자 중 하나다.

6. 여담

6.1. 감독 부임 떡밥썰

아직까지 KBL에서 만년 코치로 불리는 강양택 코치가 만약 프로팀의 정식 감독이 된다면 과연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과거 SK 나이츠에서 감독대행을 맡아 팀을 7위로 이끌며 나름대로 준수한 성적을 냈지만, 끝내 정식 감독으로 선임되지는 못하고 다시 코치직으로 돌아가야 했다.

SK 시절에는 이상윤 감독과 김태환 감독을 거쳐, 오랜 인연인 김진 감독을 수석코치로서 오랫동안 보좌했다. 이후 김진 감독과 함께 LG 세이커스로 자리를 옮겨 수석코치로 활동했고, 전창진 감독이 KCC 이지스를 맡으며 큰 공백을 메울 때에도 그의 곁에서 수석코치로 팀을 함께 이끌며 산전수전을 다 겪었다.

올해 나이가 50대 중반을 넘어섰음에도 여전히 만년 코치로 남아 있다는 점은 팬들 사이에서도 의아하다는 반응이 많다. 이제는 감독직을 맡아야 할 때가 아니냐는 시선도 분명히 존재한다. 실제로 현재는 강양택 코치보다 한참 어린 후배 지도자들도 감독 자리에 올라 팀을 지휘하고 있다.

특히 2024-25 시즌에는 1980년대생 감독이 2명이나 등장하면서 KBL에도 세대교체 바람이 본격적으로 불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강양택 코치가 정식 감독으로 기회를 얻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는 것이 현실이다.

심지어 수석코치 자리조차도 이제는 1980년대생인 최승태 코치가 맡고 있을 정도로 세대교체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니, 한 시대를 풍미했던 장수 수석코치였던 입지가 예전 같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7. 관련 문서


[1] 옛날 신문에서는 강량택으로 잘못 표기한 적도 있다.[2] 사실 수석코치의 임무는 감독이 보지 못하는 감을 잘 알려주어야 하는데 강양택 코치의 장점은 매치업이 헷갈리는 경우가 있는데 포워드 라인의 매치업을 잘 체크했으며 이 부분으로 인해 김진 감독이 신뢰를 많이 했다.[3] 실제로 LG 시절 함께했던 제자들에게 김 감독과 함께 신뢰를 많이 받은 편이다.[4] 다만 성장을 크게 하지 못했으나 슈팅 가드 최승욱과 센터 박인태는 감사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