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02:07:45

갑술환국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시대의 환국
갑인환국 경신환국 기사환국
갑술환국 신축환국 정미환국


甲戌換局

1. 개요2. 시작은 남인의 국문3. 인현왕후 복위4. 신사의 옥(무고의 옥, 1701년)5. 갑술환국 이후의 상황

1. 개요

숙종 20년(갑술년) 1694년 갑술환국과 숙종 27년(신사년) 1701년 신사옥사남인이 정치적으로 대거 실각, 완벽하게 일소된 사건으로 기사환국이 일어난지 5년만에 남인은 다시 쫓겨나게 되었다. 서인의 입장에서는 갑술대출척(甲戌大黜陟), 남인의 입장에서는 '갑술사화(甲戌士禍)' 라고도 한다. 갑술환국 역시 기사환국과 마찬가지로 보복성 숙청의 경향이 짙었다.

2. 시작은 남인의 국문

발단은 음력 3월 23일, 우의정 민암과 공조판서이자 판의금부사였던 유명현은 노론소론이 함께 민심을 불안케 하는 풍문을 퍼뜨리고 뭔가를 꾸미고 있다는 서인 함이완의 밀고를 받으면서 일어났다. 숙종은 이들을 모두 체포하여 의금부에서 엄히 조사하고, 특별히 엄중한 형벌을 쓰라고 명하였다.

3월 25일 우윤 겸 포도대장이자 중전 장씨의 오라비 장희재소론과 왕래한 것을 사죄했으나 숙종은 되려 위로 했으며 뇌물 수수 혐의도 다음날 국문에서 부정되었다. 그리고 노론의 김춘택과 소론의 한중혁, 그리고 지방의 거부 출신 무인 이시도와 이시회, 최격, 강만태 등이 줄줄이 끌려왔다. 이 과정에서 이시도가 “한중혁 부자가 남인을 제거할 목적으로 남인의 삼대장[1]들이 종실 의원군을 왕으로 세우려했다는 무고를 하려고 했다.”라고 증언했으며, 이 과정에서 또 동평군이 엮였다. 심지어 효종의 딸이자 숙종의 고모들인 숙안공주·숙명공주·숙휘공주에 숙종의 여동생인 명안 공주의 유가족까지 얽혀들어갔다. 여기까지는 그야말로 서인 전원의 사망 플래그. 민암을 위시한 남인들은 세 공주 등도 엄히 다스려야한다고 상소했다.

그러나 3월 29일 유생 서인 노론 김인탁남 민암과 장희재, 이의징, 목창명이 역모를 꾀한다고 역고변을 한다. 숙종은 처음에는 고변이 허황되다며 믿지 않는 모양을 보이며 4명의 관리들을 위로했으나 4월 1일 국문에서 갑자기 모든 것이 뒤집힌다. 숙종이 비망기(毖忘記)에 적기를
겨우 하루가 지나니 금부의 당상(堂上)이 방자하게 청대(請對)[2]하여 옥사(獄事)를 확대하여, 예전에 갇혀서 추고(推考)받던 자가 이제는 도리어 옥사를 국문(鞫問)하게 되고, 예전에 죄를 정하던 자가 이제는 도리어 극형을 받게 되었다. 하루 이틀에 차꼬·칼(계구)·용수를 쓴 수인(囚人)이 금오(金吾: 의금부)에 넘치게 하고, 서로 고하고 끌어대면 문득 면질을 청하고, 면질이 겨우 끝나면 거의 죄다 처형을 청하니, 이렇게 하여 마지않으면 그 전후에 끌어댄 자도 장차 차례로 죄로 얽어맬 것이다. 그렇게 되면 공주의 집과 한편 사람은 고문과 귀양가는 죄를 면할 자가 드물 것이다. 임금을 우롱하고 진신(搢紳: 벼슬아치)을 함부로 죽이는 정상(政上)이 매우 통탄스러우니 참국(參鞫: 옥사를 주도)한 대신(大臣) 이하는 모두 관작(官爵)을 삭탈(削奪)하여 문외(門外: 수도 밖으로)로 출송(黜送: 쫓아냄)하고, 민암과 금부 당상(錦富堂上)은 모두 절도(絶島: 섬)에 안치(安置)하라.

그야말로 대반전이었다. 이로서 대신 전원과 삼사가 모두가 남인에서 서인[3]으로 교체되었고 이때 김춘택과 한중혁의 추국에 참여한 신하들인 영의정 권대운, 좌의정 목내선, 우의정 민암, 유명현, 유명천, 오시복, 이의징, 목창명, 이현일, 장희재 등 남인들을 먼 지방으로 유배보냈다. 다음날 숙종은 “폐인(廢人: 인현왕후)을 언급하는 자(신구하는 자)와 왕세자의 신위(身位)에 위협이 되는 발언을 하는 자는 무조건 대역죄(大逆罪)를 묻겠다”라고 말했다.

3. 인현왕후 복위

그 당일 마저도 장희재가 죄를 청했으나 편하게 정사에 임하라며 위로하던 숙종은, 4월 11일 장희재를 직권 남용으로 삭탈 관직하고 문외출송(文外黜送)하더니 동시에 폐비 민씨의 서궁을 당장 옮기고 호위를 붙이며 늠료도 내려주기를 명하는 등, 복위를 확정짓는 명을 내린다. 다음날 폐비 민씨는 복위되고 왕비가 둘일 수 없다는 이유로 장씨는 다시 후궁의 지위인 희빈으로 격하된다.[4]

그러나 소론들은 극히 반대하였다. 그들이 원한건 인현왕후의 복위가 아닌 별궁으로 모셔 편안한 여생을 보내는 정도의 예우였던 것이다. 병조판서 서문중과 이조참판 박태상 등을 위시한 소론 중신들은 ‘9년·6년과, 아들이 있고 아들이 없는 것은 어느 것이 중하고 어느 것이 경한가?’라며 왕비로 보낸 기간이 더 길더라도 아들이 있는 왕후 장씨가 되는 것이 옳고, 민씨의 복위는 불가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사직소가 쏟아지면서 숙종의 계획이 어그러질 찰나, 음력 4월 17일 서인 소론의 영수 남구만의 중재[5]로 결국 복위로 결론이 났다. 6월 1일을 기해 인현왕후는 다시 복위한다.

환국을 통해 삼정승과 판서를 비롯한 대신들과 삼사에 있는 대간들을 남인에서 소론과 노론에서 교체한 다음에 갑술환국이 일어난 해에 조사기는 복주(伏誅)가 되었고 민암이 사사되었으며, 이듬해인 1695년에는 이의징이 사사되고 목창명이 복주되었다. 1680년에 경신환국 때 죽은 허적, 윤휴, 오시수, 이원정, 오정창은 관직이 추탈당했으며, 반대로 1689년에 기사환국때 죽거나 유배가서 유배지에서 사망한 송시열, 김수항, 김수흥, 민정중, 김만중 등은 관직이 회복되었다.

그러나 남구만은 인현왕후의 복위는 기쁘지만 희빈 장씨의 강호는 슬프다고 했고, 장희재를 끝까지 보호하는 등 노론과 끝까지 대립했다. 이렇듯 소론은 끝까지 장희빈을 격하하지 않고 복권하려고 노력했는데, 다음 네 사례가 대표적이다.

한편 김인이 고변을 해서 지명한 남인 출신들인 민암, 이의징, 조사기, 목창명을 처벌하고 인현황후를 복위시키는데 성공하지만 인현왕후의 복위를 주도했던 사람들을 사면시키면 죄와 법의 형평성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숙종은 이들도 역시 죄인 대우를 받으며 처벌했다. 1694년에 이시도가 고변했던 함이완과 김인이 옥중에서 죽자 뒤를 이어 처형을 당했고, 강만태도 역시 국문장에서 거짓말로 일삼다가 결국에는 처형되었다. 김춘택, 한중혁, 이시회, 최격은 3년 뒤인 1697년에 다시 한번 국문을 받았고 이때 한중혁, 이시회, 최격 모두 처형을 당하게 된다. 김춘택은 살아남지만 이후에도 유배생활을 겪는 등 굴곡진 인생을 살았다.

숙종은 죄와 법의 형평성에 따라 남인과 서인 죄인들을 공평하게 처벌했지만 노론의 생각은 '차라리 장희재를 죽이지' 라고 했다. 그래서 이러한 노론의 반발이 있으면서 결국 이런 아슬아슬한 정국은 7년 뒤, 인현왕후가 사망하면서 깨지게 된다. 인현왕후가 사망한 상황에서 장씨의 복위를 막기 위해 영조의 친모 숙빈 최씨와 노론이 나서게 된다.

4. 신사의 옥(무고의 옥, 1701년)

희빈 장씨가 취선당에서 인현왕후를 저주했다고 알려진 사건이다.[7] 또한 5년 전인 1696년에 남인들이 서인들을 몰락시키기 위해 일부러 희빈 장씨의 친정 아버지 장형의 묘역을 일부러 파헤치고 비석을 훼손하고는 저주하는 물건들을 무덤에 묻은 후 병조 판서 신여철의 짓이었다고 무고를 하려고 했다.

남인 잔당들의 계획대로 다 잘 되어갔는데, 장희재네 집 종인 업동이 고하기 하루 전 "내일 묘소에 갈건데 틀림없이 무슨 일이 있을 것이다." 라고 떠들어댔던 거와 이 신여철에게 죄를 뒤집어 씌우려는 계획은 업동이 신여철네 종 응선에게 술을 먹여 취하게 한 후 응선의 호패를 훔치게 해서 업동이 이를 제출하는 것이었다. 만일 응선이 신여철이 시켜서 그랬다고 한다면 계획대로 였겠지만 응선은 극구 부인하다 죽었기에 실패했다.[8] 응선이 부인하며 옥중에서 죽자, 오히려 남인 여럿이 목이 잘리는 물의를 빚게 되었다.[9]

이 사건이 지난지 5년 뒤인 1701년에 숙종은 희빈 장씨에게 사사를 명하고, 귀양간 장희재와 동평군은 기어이 처형했다. 이것을 무고의 옥이라 하는데, 무고의 옥은 신사옥사, 신사환국, 신사대출척이라고도 하나 무고의 옥은 정치적인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고, 남인들은 일찌감지 7년 전인 갑술환국으로 인해 남인 세력은 청남과 탁남을 가리지 않고 처벌되어서, 완벽하게 일소되어 재기불능이 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숙종은 희빈 장씨나 장희재, 동평군 처벌 외엔 정치적인 사건으로 확대하지 않았다.

5. 갑술환국 이후의 상황

한편 갑술환국으로 정권을 잡은 소론 세력은 박세채의 문하생들이 이탈했고, 점차 노론 세력의 강력한 견제를 받았다. 그러나 노론들이 소론을 옥사나 같은 방법으로 정치적인 사건을 통해 숙청하려 시도하지 않게 숙종이 막았다. 그래서 갑술환국이 일어난 1694년부터 병신처분이 일어난 1716년까지 소론과 노론 세력이 숙종의 견제로 인해 정치적인 사건을 만들어서 권력 투쟁을 벌이지 못했으며, 그 동안에는 소론과 노론들이 정승, 판서를 나누어 차지해야 했다. 그러나 숙종은 세자(경종)의 능력 부재와 그의 어머니 희빈 장씨를 사사시킨 그것 때문에 별로 좋아하지 않았고 숙빈 최씨의 자식인 연잉군(영조)과 명빈 박씨의 자식인 연령군을 총애했다. 그리고 여러 사건들이 일어나면서 노론이 점차 정승, 판서를 계속 차지해갔다.

그래서 이렇게 소론과 노론의 권력 균점이 이루어지고 있었던 15년 뒤인 1716년 숙종은 병신처분으로 노론 정국이 들어섰다. 이후에 숙종은 세자 문제를 적극적으로 거론하며 1717년에 노론과의 정유독대로 통해 공유의식을 형성한 뒤에 세자에게 대리청정을 시행한 다음에 노론은 세자에게 큰 대형사고가 나면 바로 폐세자시킬 계책을 준비하려고 했다. 하지만 세자는 대형 사고를 치지 않았고 폐세자시키려던 노론은 오히려 불안해졌으며, 1720년 숙종이 승하하고 세자가 경종으로 즉위하면서 실패로 돌아갔다.

그러자 노론은 연잉군과 친하면서 연잉군을 정국에서 주도적인 위치로 점하려 했고, 이에 소론이 반발하면서 경종을 호위했다. 그래서 경종이 즉위한 1720년부터 1727년에 영조정미환국을 행하고 1728년에 일어난 이인좌의 난을 진압하며 1729년 기유처분을 통해 본격적으로 탕평책이 시행될 때까지 노론과 소론은 당쟁을 이어갔다.[10]


[1] 훈련대장 이의징, 수어사(수어영), 금위영 - 병조판서.[2] 신하가 왕을 만나뵙기를 청하는 것. 반대로 왕이 신하를 불러들여 만나는 것은 인견(引見)이라 한다.[3] 특히 소론으로 교체되었다.[4] 노론 측의 민진원의 <단암만록>에 따르면 숙빈 최씨가 한밤 중에 숙종의 처소로 나아가 장희재가 자신을 독살하려 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눈물로 호소한 것이 성공했다고 한다.[5] '이미 왕명은 내려졌고, 자식이 어미를 쫓아내라 마라 할 수 없다'[6] 서인가문은 혈연이 엮여있었다는 걸 상기하자.[7] 이는 영조의 친모 숙빈 최씨의 밀고다.[8] 그나마도 조사 책임자 남구만, 유상운이 장희빈에게 폐가 갈까봐 최대한 숨겨줬는데 대간이 난리가 나서 결국 사건이 커졌다.[9] 주모자인 이홍발 등 일곱명이 복주되었고 업동은 유배를 갔지만 이후 다시 조사받고 죽는다.[10] 중간에 1721년~22년에 일어난 신임사화와 1725년에 을사처분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