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7 19:48:03

가자시 포위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536349><colcolor=#FFF> 개요 반응 (이스라엘 지지 · 유럽의 이스라엘 지지 · 팔레스타인 지지 · 중립 및 지지 미표명) · 경과 ·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시위
주요 전투 레임 전투 · 스데롯 전투 · 지킴 전투 · 수파 전투 · 하지 타워 공습 · 가자시 포위전 · 알시파 병원 포위전 · 자발리아 전투 · 칸 유니스 전투 · 라파흐 공세 · 자발리아 포위전
전쟁 범죄 레임 음악축제 학살 · 베에리 학살 · 크파르 아자 학살 · 니르 오즈 학살 · 나할 오즈 학살 · 알샤티 난민촌 공습
기타 사건 알아흘리 아랍 병원 폭발 사건 · 에런 부슈널 분신 사건 · 이스마일 하니예 암살 사건
}}}}}}}}}

가자시[1] 포위전
Siege of Gaza City
קרב שדרות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일부
<nopad> 파일:01.11. 기준 북부 가자 전선 지도.jpg
기간
2023년 11월 2일 ~ 2024년 1월 6일
장소
팔레스타인 가자
교전국 및 교전 세력
하마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스라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7]]}}} {{{#!if 출력 == null
이스라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7]]}}}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7]]}}}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이스라엘
지휘관
야히야 신와르
모하메드 데이프
불명
병력
이즈 앗딘 알카삼 여단 이스라엘군
피해
불명 불명
결과
이스라엘의 승리
가자 점령

1. 개요2. 전개3. 전투 목록4. 결과

1. 개요


2023년 11월 2일부터 2024년 1월 6일까지 이스라엘군이 진행한 가자 지구 가자 주 가자에 대한 포위전.

2. 전개

파일:2023 10 29 전선.png
<rowcolor=#fff> 10.29.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10월 29일, 이스라엘군이 가자 지구에 진입했다.
*이스라엘군이 해안을 따라 3킬로미터 쯤 진격했다고 한다.

파일:2023 10 30 전선.png
<rowcolor=#fff> 10.30.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 이스라엘군은 가자에 진입했다. 또한 가자지구의 주요 고속도로 살라 알딘 도로에 도달해 도로를 봉쇄했다.

파일:2023 11 01 전선.png
<rowcolor=#fff> 10.3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파일:2023 11 02 전선.png
<rowcolor=#fff> 11.0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파일:2023 11 01 가자지구.jpg
<rowcolor=#fff> 11.01. 기준 가자지구 전선 지도

파일:2023 11 02 전선(2).png
<rowcolor=#fff> 11.02.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파일:2023 11 02 위성 전선.jpg
<rowcolor=#fff> 11.02.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위성 전선 지도

파일:2023 11 05 전선.png
<rowcolor=#fff> 11.05.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파일:2023 11 06 전선.png
<rowcolor=#fff> 11.06.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파일:2023 11 09 전선.png
<rowcolor=#fff> 11.09.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파일:2023 11 11 전선.png
<rowcolor=#fff> 11.1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오전 전선 지도
파일:2023 11 11 전선 -2.png
<rowcolor=#fff> 11.1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오후 전선 지도

파일:2023.11.15.이스라엘하마스지도.jpg
<rowcolor=#fff> 11.15.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오전 전선 지도

파일:11.17.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jpg
<rowcolor=#fff> 11.17.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파일:11.22.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jpg
<rowcolor=#fff> 11.22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2023년 11월 24일, 이스라엘군과 하마스사이에서 교전이 일시 중단되었다.

12월 1일, 하마스가 휴전협정을 위반하고 이스라엘에 까삼 로켓을 발사함에 따라 다시 교전이 재개됐다.
파일:12.02.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jpg
<rowcolor=#fff> 12.02.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파일:12.06.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jpg
<rowcolor=#fff> 12.06.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지도

파일:12.1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북부 가자 지도.jpg
<rowcolor=#fff> 12.1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북부 가자 지도

파일:12.22.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북부 가자 지도.jpg
<rowcolor=#fff> 12.22.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북부 가자 전선 지도

파일:12.26.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북부 가자 지도.jpg
<rowcolor=#fff> 12.26.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북부 가자 지도

파일:12.3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북부 가자 지도.jpg
<rowcolor=#fff> 12.31. 기준 이스라엘 하마스 전선 북부 가자 지도
파일:01.11. 기준 북부 가자 전선 지도.jpg
<rowcolor=#fff> 01.11. 기준 이스라엘-하마스 전선 북부 가자 지도

3. 전투 목록

4. 결과

2023년 11월부터 시작된 가자 포위전은 2024년 초가 되자 이스라엘군이 가자를 완전히 점령하면서 마무리되었다.#

게다가 11월부터 시작된 전투가 1월 1일 대략 60일간 시가전이 진행되었고 성과를 어느 정도 올렸지만 민간인 사망자 수가 높아지면서 이스라엘은 미국을 비롯해 서방에게 '저강도 정밀타격'으로 전환하라며 촉구 및 경고를 받았다. 게다가 전쟁 발발 이후 4개월간 진행, 이스라엘 경제 산업에 지체가 되면서 이스라엘은 서방의 거세지는 압박에 일단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줄 겸 장기전을 대비해 휴식시킬 5개 여단을 철수, 예비군 일부를 소집해제를 시켜 경제활동에 복귀시켰고 저강도 정밀타격을 선언했다.[5]
[1] 가자 주, 가자 지구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2] 이스라엘의 승리[3] 이스라엘의 승리[4] 이스라엘의 승리[5] 단, 친러/반미/반유대주의를 보이는 음모론자와 일부 사람들은 "이스라엘이 메르카바 전차를 다수 잃었고 병력 손실이 컸다. 이스라엘이 5개 여단을 철수시킨 것은 이스라엘이 졌다는 증거"라며 네이버나 다음 뉴스 댓글에 도배하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