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ffffff,#666><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666>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2023년 10월부터 2024년 9월 30일까지 가장 많이 플레이된 트랙을 프로듀싱한 DJ | ||||
2024년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존 서밋 | 데이비드 게타 | 디미트리 베가스 | 티에스토 | 휴겔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마우 P | 스티브 안젤로 | 올리버 헬덴스 | 라이크 마이크 | 오드 몹 | |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아민 반 뷰렌 | 스크릴렉스 | 아니마 | 피셔 | 매딕스 | |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맥스 스타일러 | 디플로 | 제임스 허 | 마크 나이트 | 빈티지 컬처 | |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제임스 하이프 | CASSIMM | 크리스 레이크 | 레이튼 지오르다니 | 하드웰 | |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크러시 | 캐멀팻 | 아트베트 | 메두자 | 마틴 이킨 | |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엘리 브라운 | 돈 디아블로 | Wh0 | 주세페 오타비아니 | 세바스티안 인그로소 | |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토니 로메라 | 피에로 피루파 | 크라이더 | 로우 스테파 | Argy | |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챕터 & 버스 | 모르텐 | 피클 | 제네시 | BLR | |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마르코 리스 | 웨스트엔드 | OFFAIAH | 배스젝커스 | KREAM | |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덥독즈 | 프레드 어게인 | 마트로다 | 마르텐 회르거 | 산 파초 | |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가브리 폰테 | 그린 벨벳 | 딜런 프랜시스 | Danny Avila | 니키 로메로 | |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고르곤 시티 | 비스시츠 | 앨런 와츠 | 투자모 | 티미 트럼펫 | |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Andruss | 돔 돌라 | 데이비드 포브스 | Alex M.O.R.P.H. | 새미 비르지 | |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아담 베이어 | 크리스 로렌조 | 알록 | 굿보이즈 | 아크레이즈 | |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마쉬 | 조엘 코리 | 케빈 드 브라이스 | 스티브 아오키 | CID | |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W&W | Massano | 카시안 | 악스웰 | 스카이테크 | |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R3HAB | 아프로잭 | 스페이스 92 | OMNOM | Mairee | |
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플라스틱 펑크 | 트루스 x 라이즈 | 톰 엔지 | 토마스 뉴슨 | 실버 판다 | |
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스페이스 모션 | 리오르단 | 로만 메서 | 미스 모니크 | Chase & Status | |
101위 | |||||
D.O.D | |||||
※ 출처 |
<colbgcolor=#000><colcolor=#ffffff>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tablebordercolor=#000> | 가브리 폰테 Gabry Ponte | }}} | ||
본명 | 가브리엘레 폰테[1] Gabriele Ponte | ||||
출생 | 1973년 4월 20일 ([age(1973-04-20)]세) | ||||
이탈리아 토리노 | |||||
국적 |
| ||||
신체 | 175cm, 72kg | ||||
직업 | DJ, 프로듀서, 작곡가 | ||||
활동 | 1993년 ~ 현재 | ||||
장르 | 유로댄스, 일렉트로 하우스, 하드 댄스 | ||||
소속 | Spinnin' Records, Armada Music, Smash The House | ||||
링크 |
1. 소개
이탈리아의 DJ, 프로듀서.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DJ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2. 활동
2.1. Eiffel 65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이탈리아의 DJ 트리오 Eiffel 65의 멤버로 활동했었다. 그는 히트곡 Blue (Da Ba Dee)를 작곡하며 이름을 알리게 된다. 하지만 2005년 개인 활동을 선언하며 팀을 탈퇴한다.2.2. 개인 활동
2019년 LUM!X와 Monster을, 2020년 Thunder을 발매했다. 두 곡이 연달아 히트를 터뜨리며 그의 인기는 더 높아지게 된다. 2022년 R3HAB, 티미 트럼펫과 발매한 Call Me, 2024년 나티 나타샤, 션 폴과 콜라보한 Born To Love Ya도 인기를 얻었다.2.3.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여
◀ 이전 대회 참가자 | 다음 대회 참가자 ▶ 미정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참가 예정국 | ||||||||
레드 서배스천 | 로라 손 | 시살 | |||||||
Strobe Lights | La Poupée Monte Le Son | Hallucination | |||||||
KAJ | 미리아나 콘테 | 마르코 보시냐크 | NAPA | ||||||
Bara Bada Bastu | SERVING | Poison Cake | Deslocado | ||||||
JJ | 프린츠 | 유발 라파엘 | 카타르시스 | 슈코드라 엘레크트로니케 | |||||
Wasted Love | Mila | New Day Will Rise | Tavo Akys | Zjerm | |||||
에리카 비크만 | 마마가마 | 마리암 솅겔리아 | 니나 지지치 | ||||||
ICH KOMME | Run With U | Freedom | Dobrodošli | ||||||
카일 알레산드로 | 테오 에반 | 지페르블라트 | |||||||
Lighter | Shh | Bird of Pray | |||||||
Go-Jo | 클라우드 | ADONXS | 파르그 | 토미 캐시 | |||||
Milkshake Man | C'est La Vie | Kiss Kiss Goodbye | SURVIVOR | Espresso Macchiato | |||||
| |||||||||
클라우디아 | VÆB | EMMY | 타우투메이타스 | 유스티나 스테츠코프스카 | |||||
Asteromáta | RÓA | Laika Party | Bur man laimi | GAJA | |||||
가브리 폰테 | 클레멘 | ||||||||
Tutta L'Italia | How Much Time Do We Have Left | ||||||||
결승 진출국 | |||||||||
멜로디 | 루초 코르시 | 조에 메 | 리멤버 먼데이 | 루안 | |||||
Esa diva | Volevo essere un duro | Voyage | What The Hell Just Happened? | maman | |||||
아버 & 티나 | |||||||||
Baller | |||||||||
세미파이널 1 | |||||||||
세미파이널 2 | |||||||||
실격 |
2025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보컬리스트 Andrea Bonomo와 함께 산마리노 대표로 참여하게 된다. 곡은 Tutta l'Italia로, 이탈리아 차트에서 15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유로비전에서 산마리노가 4년만에 파이널 진출에 성공하였다. 이는 처음 참가한 2008년 이후로 4번째 진출이다.
3. 싱글
3.1. 2012년
- Beat on My Drum (feat. Pitbull)
3.2. 2014년
- Buonanotte giorno
3.3. 2016년
- Che Ne Sanno I 2000 (feat. Danti)
3.4. 2019년
3.5. 2020년
- The Passnger (La La La) (with LUM!X & MOKABY & D.T.E)
3.6. 2021년
- The Feeling (with Henri PFR)
3.7. 2022년
- Call Me (with R3HAB and Timmy Trumpet)
- We Could Be Together (with LUM!X and Daddy DJ)
3.8. 2024년
Crusade, Mockingbird, Tarantella, Viento, Born To Love Ya 등 여러 곡들이 히트를 쳤다.- Crusade - Club Edit[2]
- Tarantella (with KEL)
- Convivium (with T78)
- Mockingbird (with Tiësto, Dimitri Vegas & Like Mike)
- Psychotek (with Le Shuuk)
- Viento (with Vicco)
- He's A Pirate (Save Me) (with Steve Aoki & KEL)
- Born To Love Ya[3] (with Sean Paul & Natti Natasha)
- Now We Are Free (with Blasterjaxx & 1 World)
- Ghost
3.9. 2025년
- Samba Elétrico (with CERES)
- Tutta L'Italia
- Exot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