檄 격문 격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木, 1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7획 | ||||
미배정 | 1급 | ||||||
- | |||||||
일본어 음독 | ケキ, ゲキ | ||||||
일본어 훈독 | ふれぶみ | ||||||
- | |||||||
표준 중국어 | xí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檄은 '격문 격'이라는 한자로, '격문'을 뜻한다.격문(檄文)이란 본디 한문 문장으로, 산문에 속하는 글의 일종이다. 주로 정치적인 사안을 두고, 상대를 비난하고 자기 편을 끌어오기 위한 의도로 쓰인 글이었다. 과거 간독을 쓰던 시절에는 격문을 작성하기 위해서 두 자(약 60cm)짜리 목간을 사용했다고 한다. 전(轉)해서, 현재는 어떤 일을 여러 사람에게 알리어 부추기는 글을 통틀어 격문이라고도 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격문 |
음 | 격 | |
중국어 | 표준어 | xí |
광동어 | hat6 | |
민동어 | kĭk | |
민남어 | he̍k | |
일본어 | 음독 | ケキ, ゲキ |
훈독 | ふれぶみ | |
베트남어 | hịch |
유니코드에는 U+6A84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DHSK(木竹尸大)로, 주음부호로는 ㄒㄧˊ으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木(나무 목)과 음을 나타내는 敫(노래할 교)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창작물
- 토황소격(討黃巢檄)
- 檄(GEKI)
- 檄(BEMANI 시리즈):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4. 이체자
- 𣜥[⿱敫木](U+23725)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激(격할 격)
- 䁶(깜짝이지않을 격)
- 燩(말릴 격)
- 譤(속일 격)
- 獥(이리새끼 격)
- 繳/𥐊[⿰矢敫](주살 격, 동일 교)
- 撽(칠 격)[1]
- 儌(갈 교)
- 䥞(그릇손잡이 교)
- 皦(깨끗하고흰모양 교)
- 𣎣[⿰月敫](달밝을 교)[2]
- 躈(말굽 교, 말엉덩이뼈 규)
- 墽(메마른땅 교/요)
- 曒(밝을 교)
- 噭(부르짖을 교, 격할 격)
- 嬓(사람이름 교)
- 礉(올망졸망할 교, 핵실할 핵)
- 璬(패옥 교)
- 𢅎[⿰巾敫](행전 교)
- 徼(구할 요, 변방 교)
- 憿(요행 요, 빠를 격)
- 𧝳[⿰衤敫](깃심 혁)
- 𥢹[⿰禾敫](온전할 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