幅 폭 폭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巾,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フク | ||||||
일본어 훈독 | はば | ||||||
- | |||||||
표준 중국어 | fú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幅은 '폭 폭'이라는 한자로, '폭', '너비'를 뜻한다. '두건 복\'이라고도 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폭 |
음 | 폭 | |
중국어 | 표준어 | fú |
광동어 | fuk1 | |
객가어 | puk | |
민북어 | hŭ | |
민동어 | hók | |
민남어 | hok[文] / pak[白] | |
오어 | foq (T4) | |
일본어 | 음독 | フク |
훈독 | はば, の | |
베트남어 | bức |
유니코드에는 U+5E4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LBMRW(中月一口田)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巾(수건 건)과 소리를 나타내는 畐(복 복)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1.1. 폭
3.1.2. 복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𨺤[⿰⻖畐](갈라질 벽)
- 𦔆[⿰耒畐](담을 벽)
- 湢(목욕간 벽)
- 鰏(물고기이름 벽/픽)
- 𩜰[⿰𩙿畐](물릴 벽)
- 稫(벼배게날 벽)
- 䮠(짐승이름 벽)
- 𤗚[⿰片畐](쪼갤 벽/퍅)
- 揊(칠 벽, 철거할 철)
- 堛(흙덩이 벽)
- 𩋨[⿰革畐](가죽띠 복)
- 諨(갖출 복)
- 䵗(떡잎딸 복)
- 踾(모을 복)
- 輻(바퀴살 복/폭)
- 蝠(박쥐 복)
- 福(복 복)
- 楅(뿔막이 복/벽)
- 鍢(솥 복)[3]
- 㽬(버금 부)[4]
- 褔(옷한벌 부)
- 䋹(피륙의넓이 폭)
- 腷(답답할 픽)
- 愊(답답할 핍/픽, 정성 벽)
- 煏/𥻅[⿰米畐](말릴 핍/픽)
- 偪(핍박할 핍)[5]
- 𧹭[⿰赤畐](적갈색 혁)
- 𠸢[⿰口畐]
- 𫯫[⿰大畐]
- 𫱆[⿰女畐]
- 𭓏[⿰子畐]
- 𭛷[⿰彳畐]
- 𫬸[⿰喜畐]
- 𱮊[⿰犭畐]
- 𰢅[⿰⺩畐]
- 𥔁[⿰石畐]
- 𦑞[⿰羽畐]
- 𦩡[⿰舟畐]
- 𫂨[⿰等畐]
- 𪕲[⿰鼠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