囊 주머니 낭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口, 1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22획 | ||||
미배정 | |||||||
{{{#!wiki style="margin:-2px" | |||||||
일본어 음독 | ドウ, ノウ | ||||||
일본어 훈독 | ふくろ | ||||||
- | |||||||
표준 중국어 | nāng, ná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 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囊은 '주머니 낭'이라는 한자로, '주머니', '주머니에 넣다', '불알', '자루'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6C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BRRV(十月口口女)로 입력한다.뜻을 나타내는 橐(전대 탁)과 음을 나타내는 襄(도울 양)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갑골문이나 옛 전서에서는 橐에 襄이 아닌 貝(조개 패)가 한두 개 들어가는 회의자로 나온다. 예서에서 이미 글자가 많이 뭉개져서 원형이 잘 보이지 않는 탓인지 강희자전에선 부수를 글자의 일부분 중 口(입 구)로 택했다. 설문해자에선 襄의 생략형으로서 𤕦(다스릴 녕)만이 㯻(묶을 혼)의 생략형과 결합한 글자로 보았는데, 실제로는 襄을 이루는 衣가 함께 부건으로 들어간 형태도 존재한다.[1]
설문해자에 수록된 소전체를 거의 그대로 해서로 바꾸면 다음 자형이 된다.
𣡦
획수가 22획이나 되는데도 간체자에서는 바뀌지 않았다. 신자체에서는 바뀌었다.
1급 한자 치고는 실생활 사용례가 꽤 많은 편이다.
3. 용례
3.1. 단어
- 경낭(傾囊)
- 공낭(空囊)
- 극낭(極囊)
- 기낭(氣囊)
- 난낭(卵囊)
- 낭심(囊心)
- 낭종(囊腫)
- 낭탁(囊橐)
- 낭포(囊胞)
- 녹낭(鹿囊)
- 담낭(膽囊)
- 모낭(毛囊)
- 반낭(頒囊)
- 배낭(背囊)
- 배낭(胚囊)
- 부낭(浮囊)
- 빙낭(氷囊)
- 수낭(水囊/繡囊)
- 약낭(藥囊)
- 오낭(五囊)
- 음낭(陰囊)
- 자낭(子囊)
- 지낭(智囊)
- 청낭서(靑囊書)
- 침낭(寢囊/針囊)
- 토낭(土囊)
- 피낭(被囊)
- 필낭(筆囊)
- 해낭(亥囊/奚囊)
- 행낭(行囊)
- 향낭(香囊)
- 협낭(夾囊/頰囊)
3.2. 고사성어/숙어
- 금낭가구(錦囊佳句)
- 낭두(囊頭)
- 낭사배수(囊沙背水)
- 낭중물(囊中物)
- 낭중지추(囊中之錐)
- 낭중취물(囊中取物)
- 낭형(囊螢)
- 반낭(飯囊)
- 설권낭축(舌卷囊縮)
- 우목낭상(寓目囊箱)
- 주낭반대(酒囊飯袋)
- 청낭비결(靑囊祕訣)
- 추낭(錐囊)
- 추처낭중(錐處囊中)
- 탐낭겁협(探囊劫篋)
- 탐낭취물(探囊取物)
3.3. 인명
3.4. 지명
3.5. 기타
3.6. 일본어
낭포 (嚢胞)、음낭 (陰嚢) 등 의학용어를 필두로 가끔 사용되며 대부분 음(のう)으로 읽는다. 일본인들도 직접 쓰기는 어려워하며 독음을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3.6.1. 훈독
ふくろ.ふくろ로 읽고 '주머니'라는 뜻의 단어로 쓸 수 있지만 이는 비상용독음이다. 주머니를 뜻하는 ふくろ는 袋(자루 대)로 쓰는 경우가 거의 100%라고 봐도 된다.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https://ctext.org/dictionary.pl?if=gb&char=%E5%9B%8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