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color=#fff> | |
사명 | 간체자: 东莞市信怀德电子商务有限公司 정자: 東莞市信懷德電子商務有限公司 한국 독음: 동관시신회덕전자상무유한공사 |
설립일 | 2015년 9월 14일 |
본사 | 중국 둥관시 |
브랜드 | XHDATA, RADIWOW, SIHUADON[1] |
사이트 | #1(영문), #2(영문) |
[clearfix]
1. 개요
2015년 9월 14일에 설립된 중국 광둥성 둥관시 난청구 소재의 라디오 제조사. 영문 사명이자 브랜드인 XHDATA는 중문 사명 '信怀德'의 병음 표기인 Xìn Huái Dé와 DATA의 합성어인 것으로 추측된다.2. 제품
2.1. D-808
XHDATA를 대표하는 플래그십 기종. LW/MW/SW(150~29999kHz 커버, 450~520kHz 누락), FM(64/87.5~108MHz) 및 에어 밴드(118~137MHz) 수신이 가능하며 SSB 모드와 ATS 기능을 지원한다. DSP 수신기로서 Silicon Labs 사의 Si4735 수신칩이 사용되었다. 중파, 특히 단파 대역에서 우수한 감도와 선택도를 자랑하는 기종. 하지만 버튼 조작 시 잡음 발생 문제, 앰프부 노이즈 발생 문제 등 QC 편차로 인한 불량률이 좀 있다는 단점이 있다. 2023년경 내부 회로의 리뉴얼이 이루어졌는데 중파 및 단파 수신 성능이 이전보다 하락해 버린 바람에 사실상 원가절감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QC가 안정된 모양인지 불량률이 줄어들었다. # 비슷한 시기 충전 단자 모양에 차이가 생겨 이를 통한 구분법이 상당한 효험을 보이고 있으나 100% 검증된 것은 아니라 어느 정도 위험은 감수해야 한다. 로드 안테나의 길이는 65cm이며 내장 페라이트 바 안테나의 길이는 10cm이다. 특이하게도 TECSUN PL-380처럼 온도 표시 기능을 지원한다. 구매 시 본체와 18650 충전지, 수납용 파우치, USB Type-B micro 혹은 Type-C 어댑터, 외장 안테나 라인, 사용 설명서가 기본 구성품으로 제공된다. 전원으로는 18650 충전지 혹은 DC 5V 규격의 어댑터를 사용하는데, 단자 변경 이전 제품은 USB Type-B micro 어댑터를, 이후 제품은 USB Type-C 어댑터를 사용한다. 충전지의 경우 자체 충전 기능을 지원하며, 완충까지는 약 10시간이 소요된다.
2.2. D-219
2022년 말에 출시된 DSP 다이얼 방식의 단파라디오. DEGEN의 DE321와 여러모로 비슷하다. 수신칩은 Silicon Labs의 Si4825. 하지만 TUNE 표시등과 FM 스테레오는 미지원. 가격은 1만 원대 초반이지만 성능 측면에서 가성비를 뽐내는 기종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상술했듯 튠 램프[2]가 없다는 게 가장 큰 단점. 사출성형 품질은 무난한 편이며 케이스는 좀 두께가 있어서 탄탄함이 느껴지는 편이다. 다이얼은 부드러우면서도 헐겁지 않다. 스피커 음량은 짱짱한 편이며 화이트 노이즈가 조금 있으며 가변저항기(볼륨) 음량 변화폭이 다소 가파른 편이다. 수신 감도 측면에서는 TECSUN PL-310ET와 비교하면 살짝 모자라거나 거의 대등한 수준이다. 단파 성능은 DEGEN DE321보다 훨씬 나은 수준이다. 다만 RF부 다이내믹 레인지 특성이 별로 안 좋아서 그런지 단파 대역의 FM 잡신호 유입 및 단파 신호의 오버로드, 이미지 현상이 다소 있으며 대도시 지역 산에 올라가면 그게 더 심해진다. 내부 잡음이 낮은 수준이고[3] 중파DX용으로도 써먹을 만한 수준이다.[4] 사실 중파 성능 자체는 다이얼식 DSP 기종 중에서는 상급이다. 그러나 전해 커패시터가 1개뿐이라서 그런지 신호등, 지하철에서 발산되는 전자파에는 다소 취약한 편이다. FM의 경우 지하철 같은 특정 환경에서는 타 기종과 달리 실제 체감 성능이 저감되는 편이다. 전원으로는 AA 전지 2정 혹은 DC 5V 어댑터(외경 3.5mm, 내경 1.35mm)를 사용한다.
2.3. D-328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지원 대역 및 주파수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d3d3d3>FM1/FM2 | 64-108 MHz | |
AM/MW | 520-1620 kHz | ||
SW | 4750-22000 kHz | }}}}}}}}} |
2.4. D-368
2.5. D-109
2023년 초에 출시된 단파라디오. Retekess 사 단파라디오처럼 MP3 재생 기능이 있고 블루투스 스피커 기능도 가지고 있다. 전원으로는 18650 리튬 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며 DC 어댑터(USB Type-C, DC 5V)로 충전된다. 사용된 수신칩은 Silicon Labs 사의 si4734.[5]
2.5.1. D-109WB
2023년 말에 파생 버전이 출시되었다. 미국의 NOAA Radio를 청취 가능하다는 차이점이 있다.
2.6. D-608
2023년 말에 출시된 비상용 자가발전 라디오. D-109WB처럼 미국의 NOAA Radio를 청취 가능하다.
생긴 것만 보면 대놓고 볼트가 보이고 우락부락한 인상이라서 무겁고 클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PL-380, 330 등과 엇비슷한 컴팩트 사이즈이다. 상술되어 있는 D-109와 비슷하게 많은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데, 자가발전 라디오와 핸드 크랭크와 솔라 충전, 라이트 기능이 탑재되어 있고, 별도의 micro SD 카드를 통해 MP3 플레이어 기능도 지원하며,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연동이 가능하여 라디오로 스피커 출력 및 라디오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 기능 역시 지원한다. 3.5mm 이어폰 단자 및 USB-C로 들어가는 충전 단자와 USB-A로 출력이 나가는 단자가 있다. 배터리는 구매 시 충전지가 내장되어 있으며 용량은 3000mAh이다.
FM 수신 감도는 PL-380, 330에 비해 근소하게 부족하지만[6] 절대적으로 보면 우수한 편이고, 단파 수신은 더 나은 편[7]이며, 중파 수신은 비슷한 수준이다.[8] 소리는 PL-380, 330 등에 비해 저역이 강조되지만 음이 상대적으로 뭉쳐서 들리기 때문에 실제론 PL-330 등이 더 깔끔한 소리를 들려준다.
종합적으로 수신 감도가 좋으면서 생존에 필요한 여러 잡다한 기능까지 포함하고 있어 일상생활과 위급 시 사용 모두 커버할 수 있는 생존용 라디오로 인기가 많다.
2.7. D-901
2.8. D-902
3. 관련 문서
[1] 斯华东·斯華東, 사화동[2] 다만 파나소닉의 다이얼 DSP 기종의 사례처럼 그 LED가 페이딩 시 딸각거리는 잡음의 원흉인 것을 보면(그 부속을 제거하면 해당 문제가 사라짐) 이게 완전한 단점이라고만 볼 수 없는 측면이 있긴 하다.[3] 중파는 PL-310ET보다도 내부 잡음이 적다.[4] 다이얼 방식의 DSP 수신기 고유의, AFC 기능으로 인한 인접 주파수 분리도 문제는 어쩔 수 없다.[5] Tecsun PL-310ET, PL-380과 같은 수신칩이 들어가있다.[6] 내장 안테나 길이가 8cm가량으로 PL-380 등에 비해 약간 짧기도 하고 아예 접고 했을 때에도 잡음이 약간 더 섞이는 느낌이므로 FM 성능은 텍선 사의 라디오보다 근소하게 부족하다.[7] 감도나 선택도 등은 비슷하지만 ATS(ETM) 기능을 돌렸을 때 가청주파수가 더 많이 잡힌다. 물론 이건 소프트웨어 차이로 인한 부분 역시 배제할 수 없다.[8] ATS 기능을 지원하여 주파수 자동 스캔 및 저장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