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WWE RAW|WWE RAW]]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1. 개요
1993년 WWE RAW 출범후 부터 현재까지 사용된 테마곡에 대한 문서2. 1993 ~ 1996
Jim Johnston - "MONDAY NIGHT RAW" (1993~1997)
WWF 골든 제너레이션 시절 WWE RAW의 시작을 알린 테마곡
짐 존스턴 (WWE MUSIC GROUP에 2017년까지 있었던 지금까지 알고 있는 수많은 레슬링의 명곡을 제작하신 분)이 작곡했다.
3. 1993 ~ 1995
im Johnston - "RAW" (1993~1995)
그렇게 많이 알려지진 않았지만 RAW의 2번째 곡
4. 1995 ~ 1996
Jim Johnston - "I Like It Raw" (1995)
WWF 뉴 제너레이션 시절 1995년에 사용된 짐 존스턴이 작곡했다.
5. 1997
Marilyn Manson - "The Beautiful People" (1997)
2주만 나오다 사라진 곡[1]
6. 1997 ~ 1999
7. 1999 ~ 2002
WWF SUPERSTARS & SlamJam - "Thron In Your Eye" (1997~2002)
전설의 WWF 애티튜드 에라 시절 RAW IS WAR( → RAW로 다시 변경)의 테마곡 Thron In Your Eye
8. 2002 ~ 2006
The Union Underground - "Across the Nation" (2002~2006)
평행사변형으로 세트 디자인이 바뀐 시절 더 락, 스티브 오스틴이 은퇴한 애티튜드 에라가 끝나고 시작된 Ruthless Aggression 시대 - PG 에라 RAW의 테마곡 Across the Nation. 한국에서도 가장 유명한 테마곡이다.
9. 2006 ~ 2009
Papa Roach - "To be loved" (2006~2009)
본격적으로 2006년 후반기가 되면서 RAW의 로고가 바뀌면서 동시에 새로 바뀌었던 테마곡.
10. 2009 ~ 2012
Nickleback - "Burn It To The Ground" (2009~2012)
유명 캐나다의 록밴드 니켈백이 작곡한 Burn It To The Ground
(실제로 WWE에 공연도 왔다)
본격적으로 CM 펑크의 파이프 밤을 계기로 시작된 리얼리티 에라 시절의 테마
11. 2012 ~ 2016
Outasight - "Tonight Is The Night" (RAW 1000 한정)
CFO$ - "The Night" (2012~2014)
CFO$ - "The Night Remix" (2014~2016)
당시 새로 WWE MUSIC에 들어왔었던(지금은 나감) CFO$가 작곡한 The Night 본격적으로 이때부터 라이트 팬층들이 점점 늘어가던 시기였다. 로만 레인즈 역반응부터 루세프 악역시절 애국심을 밀던 존 시나의 7만명 야유... 그리고 줄어든 시청률... 하지만 NXT의 신설로 개성없는 기믹으로 자리를 잡지 못하던 중-하급 선수들이 NXT에서 새로운 캐릭터를 창출해내고 그 캐릭터들이 다시 WWE 메인으로 올라오면서 큰 반향을 일으키면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며 온갖 희로애락이 가득하던 시절이었다.
12. 2016 ~ 2018
Shinedown - "Enemies" (2016~2018)
WWE가 뉴 에라를 강조하며 브랜드 확장 2기가 시작되면서 New Era가 본격적으로 시작. 2012년 이후 다시 WWE RAW와 WWE 스맥다운이 분리되었고 새로운 로스터들과 브랜드들의 새로운 로고, 각 브랜드의 새로운 아나운서, 새로운 인트로가 나온 시절이다.
빌 골드버그, 제프 하디, 에지, 바비 래쉴리, 쉘턴 벤자민 등 과거 WWE를 거쳐 갔던 베테랑 선수들을 복귀시키는 한편 과거 스팅을 영입했던 것처럼 TNA의 몰락을 통해 AJ 스타일스 , 사모아 조 같이 비 WWE 단체에서만 활약했던 선수들도 영입했으며 코피 킹스턴, 드류 맥킨타이어, 돌프 지글러 같이 PG시대의 선수들이나 메인 이벤터로 도약하지 못했던 선수들에게 다시 푸쉬를 주며 새로운 스타를 키우기 시작한 시절이다.
디 어소리티 각본이 끝나고 셰인 맥마흔이 복귀하면서 예전보다 각본이 좋아졌다는 평이 나오기 시작했고 또한 로스터 분리를 통해서 그동안 푸시를 받지 못했던 선수들이 기회를 받으면서 팬들의 호응도가 높아졌던 뉴 에라 시절이었다.
13. 2018 ~ 2019
Papa Roach - "Born For Greatness" (2018~2019)
2006년부터 2009년까지 RAW에서 사용되던 To Be Loved를 부른 Papa Roach가 다시 한번 WWE RAW의 테마곡을 만들어준 곡이다.[2] 이 때는 WWE 위클리쇼, PPV (레슬매니아, 사우디 이벤트 제외)에서 폭죽이 나오지 않던 시절이었다
14. 2019
Goodbye June - "Charge Up the Power" (2018~2019)
18~19 당시에 2번째 RAW 테마로 쓰이던 곡
15. 2019 ~ 2020
Skillet - "Legendary" (2019~2020)
RAW의 프로듀서가 새로 폴 헤이먼으로 바뀌었던 (브루스 프리처드로 교체) 로고와 세트가 바뀌고 대망의 폭죽이 다시 돌아온 RAW 테마곡 Skillet 밴드의 Legendary.
16. 2020 ~ 2022
NF - "The Search"
제2의 에미넴이라 불리는 NF의 The Search. 2020 WWE 드래프트가 끝난 후 새로 바뀐 WWE RAW의 테마
17. 2022 ~ 2023
18. 2023 ~ 2024
19. 2025 ~
4X4 - 트래비스 스캇
2024년에 데프 레벨이 회사를 떠나고, 2025년 RAW가 넷플릭스 독점 스트리밍 시대를 맞이하면서 바뀐 테마곡이다. 그동안 락 계열의 테마곡을 주로 사용했지만 최초로 힙합 장르의 테마곡을 선보였는데, 미국 힙합 장르를 선도하는 래퍼인 트래비스 스캇의 곡이다. 트래비스 스캇은 2025년 첫 RAW 방송에서도 모습을 드러냈는데, 관중석에서 제이 우소와 함께 등장하면서 비범하게(?) 대마를 빠는 모습을 생방송에서 보여주는 패기를 선사했다. 넷플릭스를 포함해 한국에서 중계하던 IB스포츠도 급하게 화면을 전환시켰을 정도로 돌발적인 상황이었다. 이후 일리미네이션 챔버에서는 역사적인 존 시나의 턴힐 세그먼트에도 관여하는 등, WWE와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해당 곡의 뮤직비디오에서도 WWE 챔피언 밸트 진열장 앞에 앉아있는 씬이나 링 위에서 체어샷을 레슬러에게 날리는 등, 레슬링 팬으로서의 면모를 볼 수 있다. 강렬한 스포츠인 레슬링과 힙합이 맞을지 걱정이 많았으나 곡 자체의 평가가 뛰어나서 팬들에게 금방 받아들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