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덕션 홈페이지(포트폴리오)
공식 인스타그램
감독<범진> 인스타그램
팀명 | VM Project Architecture 브이엠 프로젝트 아키텍처[1] |
디렉터 | 범진 Beomjin (Paranoid Paradigm 사진 윗열 좌측에서 2번째) |
프로덕션 | 로우런더리 미디어 하우스 Low Laundry Media House |
1. 개요
"We Use Image/Film as Meterial Build for <Culture> Architecture"
우리는 이미지와 영상이란 재료로 <문화>를 건축한다
VM프로젝트 아키텍처 인스타그램 소개글
우리는 이미지와 영상이란 재료로 <문화>를 건축한다
VM프로젝트 아키텍처 인스타그램 소개글
서울을 기반으로 한 뮤직비디오 광고 필름 제작팀이다. 2010년부터 서울 서브컬쳐(픽스드기어 및 스케잇보드 힙합문화)에 대한 비디오를 만들던 범진(beomjin)이 설립하였다.
YG엔터테인먼트와 SM엔터테인먼트 소속 다수의 아티스트와 방탄소년단, 아이유 등 유명 아티스트의 뮤직비디오를 제작하였다. 뮤직비디오 제작 외에도 다큐멘터리, 설치, 스포츠 브랜드 캠페인, 패션, 광고 등 다양한 작업을 진행한다.
2. 상세
아디다스, 데상트, 르꼬끄, 휠라 등의 스포츠브랜드의 광고를 만들었으며 VJ이자 그래픽 디자이너인 파펑크와 함께 브랜드 프레드페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인디씬 뮤직비디오를 제작하며 뮤직비디오를 처음으로 다뤘다.글렌 체크, 칵스, 이디오테잎 등, 인디 뮤지션들의 뮤직비디오를 제작하다 YG엔터테인먼트와 작업하였다. 승리의 미니앨범 "Let’s Talk About Love"의 티저를 청소년 관람불가로 제작하여 이목을 끌었으며,[2] 이후 엠넷과 YG엔터테인먼트가 합작한 방송프로그램 WIN의 파이널 방송 타이틀을 제작했다.
2014년 민희진 디렉터에게 발탁되어 SM엔터테인먼트의 뮤직비디오를 담당하면서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다. EXO 10명의 세계관을 재정립한 Pathcode 티저, EXO 특유의 원테이크 뮤직비디오를 다시 풀어낸 "CALL ME BABY", 빠른 편집과 몽환적인 연출이 인상적인 "LOVE ME RIGHT", 아이돌의 정체성과 상업성을 여지없이 드러낸 Red Velvet의 "Dumb Dumb"[3], 그의 감각적인 컷과 색감을 느낄수 있는 태민의 "Press Your Number", 태민이란 아이돌이 보여줄 수있는 퍼포먼스의 정점을 보여준 "Drip Drop", 심플하면서도 다채로운 연출로 풀어낸 NCT U의 "The 7th Sense" 등의 뮤직비디오를 디렉팅하였다. 이외에도 티파니의 "I Just Wanna Dance", EXO의 "Monster" 뮤직비디오를 제작했다.
SM 이외의 작업으로는 JYP엔터테인먼트의 DAY6의 "놓아 놓아 놓아"의 뮤직비디오, 저스트뮤직 기리보이의 "I'm In Trouble", 레이디스 코드의 "Galaxy", 빅스의 "다이너마이트", "Fantasy", 박재범의 "사실은"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 등이 있다.
2016년에 다시 YG엔터테인먼트와 작업을 시작했다. AKMU의 "사람들이 움직이는게" 뮤직비디오와 BLACKPINK의 "휘파람" 뮤직비디오[4]를 제작했다.
2017년~2019년, YG엔터테인먼트의 작업 뿐만아니라 방탄소년단의 RM의 "Change" 뮤직비디오와 지코의 "She's a Baby", 세븐틴의 "울고싶지않아", 힙합레이블 Just Music의 "Carnival Gang" 뮤직비디오를 제작했으며, 저스디스의 "Welcome to My home"의 뮤직비디오도 디렉팅 하였다.
2019년, 아이유의 "삐삐" 의 뮤직비디오를 시작으로 SuperM 의 7개의 사전프로모션을 통해 각기 다른 그룹에서 활동하는 카이, 태민, 마크, 루카스, 백현, 태용, 텐의 시네마틱 티저를 선보였다. 강다니엘의 "뭐해"[5]와 "2U"를 디렉팅하였다.
3. 대표작
3.1. EXO
- Pathcode D.O. 티저
- CALL ME BABY 뮤직비디오
- LOVE ME RIGHT 뮤직비디오
- Monster 뮤직비디오
3.2. f(x)
- Red Light 티저
3.3. Red Velvet
- Dumb Dumb 뮤직비디오 및 티저 비디오
- 짐살라빔 (Zimzalabim) 뮤직비디오
3.4. 태민
- Drip Drop 뮤직비디오
3.5. NCT U
- 일곱 번째 감각 뮤직비디오
3.6. AKMU
- 사람들이 움직이는게 뮤직비디오
3.7. BLACKPINK
- 휘파람 뮤직비디오
3.8. RM
- Change 뮤직비디오
3.9. 지코
- She's A baby 뮤직비디오
3.10. 세븐틴
- Check in 뮤직비디오[6]
- 울고싶지않아 뮤직비디오
- Change up 뮤직비디오[7]
- TRAUMA 뮤직비디오[8]
- 13월의 춤 뮤직비디오[9]
- 바람개비(Pinwheel) 뮤직비디오[10]
- 박수(CLAP) 뮤직비디오
- 고맙다(THANKS) 뮤직비디오
- 어쩌나(Oh My!) 뮤직비디오
- Home 뮤직비디오
- CHEERS 뮤직비디오
3.11. Just Music
- 카니발갱 Carnival Gang 뮤직비디오
3.12. 원
- 해야해 뮤직비디오
3.13. 저스디스
- Welcome to My HOME (Remix) 뮤직비디오
3.14. DAY6
- 놓아 놓아 놓아 뮤직비디오
4. 여담
- 한 편의 광고를 보는 듯한 영상미와 특유의 색감으로 팬들 사이에서 지지층이 많은 편이다. 특히 사전 프로모션 단계의 티저에서는 그 강점이 매우 부각된다. EXO의 세계관을 다시 정립한 "Pathcode" 티저나 Red Velvet의 Dumb Dumb 티저를 보면 빠른 호흡과 그 안에 숨겨놓은 의미심장한 컷을 통해 팬덤에게 해석을 강요하기도 했다.
- 디렉터인 범진 특유의 편집스타일 때문인지, 내러티브가 약하다는 평이 있었다. 뮤직비디오의 호흡이 빠른 만큼 내러티브를 이해하기 힘들다는 비판이 있었고, 퍼포먼스 비디오에 비해 연출력을 의심받기도 하였다. 2019년도에 이르러서는 티저 비디오로 서사와 스토리라인을 확장하고, 뮤직비디오 본편에서는 피사체의 퍼포먼스에 집중하면서 인물 개개인의 임팩트있는 이미지와 CG를 잘 활용하게 되었다는 평도 있다.
- 광고와 사진을 베이스로 시작한 범진의 스타일 때문인지 전체적으로 깔끔한 스타일을 추구하는 편이다. 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한 뮤직비디오나 초창기의 인디씬의 뮤직비디오, 힙합을 베이스로한 뮤직비디오에서는 또 다른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 인스타그램 라이브에 따르면 총괄 기획, 연출, 촬영지휘, 편집, 컬러그레이딩까지 모두 <범진> 혼자 담당하고 있다
- 많은 인터뷰와 매체에 따르면 범진 디렉터는 크레딧을 중요하게 여기며, VM Project는 공식 인스타그램 또는 뮤직비디오 의 크레딧 디자인에 많은 공을 들인다.
- Red Velvet의 "Dumb Dumb"과 BLACKPINK의 "휘파람"의 뮤직비디오에 대한 표절논란이 있었는데 표절이라고 주장하는 부분들이 흔히 사용되는 연출이고, 동일한 제작자가 만들었다는 사실이 알려져 큰 논란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 신희원 감독이 연출했던 세븐틴의 "예쁘다" 그리고 Zion.T가 소속된 아트그룹 홀로코인의 김호빈 감독이 담당한 NCT 127의 "소방차" 뮤직비디오가 상당수 VM 프로젝트의 범진감독과 흡사한 면이 있어 인스타를 통해 자신이 연출하지 않았다는 것을 두 번이나 어필하였다.[11]
[1] 위에 소개글에서부터 알수 있듯 특이하게 뮤직비디오 팀이 흔히 쓰는 Production, Studio등의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건축사무소들이 주로 쓰는 Architecture를 팀 이름에 넣고 있다[2] 이 기획 의도자체는 YG의 요구로 보인다.[3] Dumb Dumb은 그해 해외 롤링스톤지가 선정한 TOP10에 선정되었다.[4] 2016년 MAMA에서 최우수 뮤직비디오상을 수상했다.[5] '뭐해' 뮤직비디오로 2019년 멜론 MMA 최우수 뮤직비디오상을 수상하였다.[6] 세븐틴 에스쿱스, 원우, 민규, 버논으로 이루어진 힙합팀 유닛[7] 세븐틴 에스쿱스, 호시, 우지로 이루어진 리더 유닛[8] 세븐틴 에스쿱스, 원우, 민규, 버논으로 이루어진 힙합팀 유닛[9] 세븐틴 호시, 준, 디에잇, 디노로 이루어진 퍼포먼스팀 유닛[10] 세븐틴 정한, 조슈아, 우지, 도겸, 승관으로 이루어진 보컬팀 유닛[11] "예쁘다"는 방탄소년단과의 표절 논란 "소방차" 뮤직비디오는 여성혐오와 완성도의 문제 등을 통해 비판 여론이 생긴 점을 비추어 볼 때 애꿎은 비난의 대상이 되고 싶지 않았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