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13:03:36

TBC TV/프로그램/1977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동양텔레비전/프로그램
1. 개요2. 참고 문헌3. 정규 프로그램 일람
3.1. 보도·시사·스포츠
3.1.1. 뉴스
3.1.1.1. 시사뉴스3.1.1.2. 스포츠뉴스
3.1.2. 시사
3.2. 드라마·오락
3.2.1. 드라마
3.3. 연예·오락3.4. 교양
3.4.1. 사회·교양3.4.2. 다큐멘터리3.4.3. 생활·교양
3.4.3.1. 생활·여성
3.5. 수입·공급물
3.5.1. 애니메이션3.5.2. 외화
4. 특집 프로그램 일람
4.1. 보도·시사·스포츠
4.1.1. 시사4.1.2. 스포츠
4.1.2.1. 중계방송
4.2. 드라마·오락
4.2.1. 드라마
4.2.1.1. 특집 드라마
4.2.2. 연예·오락
4.3. 수입·공급물
4.3.1. 특선 만화4.3.2. 특선 외화
5. 협력 제작 프로그램 일람

1. 개요

2. 참고 문헌

3. 정규 프로그램 일람

3.1. 보도·시사·스포츠

3.1.1. 뉴스

3.1.1.1. 시사뉴스
<rowcolor=#ffffff> 제목 시작연도 종영연도 담당부서
세계의 이모저모[1] 1977 1980
3.1.1.2. 스포츠뉴스
<rowcolor=#ffffff> 제목 시작연도 종영연도 담당부서
오늘의 스포츠[2] 1977 1980

3.1.2. 시사

<rowcolor=#ffffff> 제목 시작연도 종영연도 담당부서
안녕하십니까? 봉두완입니다 → 안녕하십니까?[3] 1977 1980

3.2. 드라마·오락

3.2.1. 드라마

<rowcolor=#ffffff> 제목 시작연도 종영연도 담당부서
금요 드라마 연가## 1977
어린이 연속극 꺼꾸리와 장다리# 1977
매일 연속사극 허부인 전[4] 1977
주말 연속극 청실홍실[5]# 1977
매일 연속극 재혼[6] 1977
금요 드라마 서울야곡[7]# 1977
매일 연속 사극 비 바람 찬 이슬[8] 1977 1978
어린이 연속극 도토리 7남매# 1977
매일 연속극 외동딸[9] 1977 1978
주말 연속극 그건 그려[10] 1977 1978
금요 드라마 찔레꽃[11]## 1977 1978
매일 연속극 아름다운 이 청춘아[12] 1977 1978
어린이 연속극 달려라 차돌이# 1977 1978

3.3. 연예·오락

<rowcolor=#ffffff> 제목 시작연도 종영연도 담당부서
부부대행진[13] 1977 1979
노래하는 팔도강산[14] 1977 1979
행운의 청춘열차[15] 1977 1978
유모어극장 1977 1980

3.4. 교양

3.4.1. 사회·교양

<rowcolor=#ffffff> 제목 시작연도 종영연도 담당부서
이래서야 되겠읍니까?[16] 1977 1978

3.4.2. 다큐멘터리

<rowcolor=#ffffff> 제목 시작연도 종영연도 담당부서
역사의 고향[17] 1977 1978

3.4.3. 생활·교양

3.4.3.1. 생활·여성
<rowcolor=#ffffff> 제목 시작연도 종영연도 담당부서
일요요리[18] 1977 1979

3.5. 수입·공급물

3.5.1. 애니메이션

<rowcolor=#ffffff> 제목 국가 시작연도 종영연도 담당부서
날아라 태극호[19] 일본 1977
이상한 나라의 삐삐 1977 1978
허클베리 핀의 모험[20] 1977 1978
이겨라 승리호[21] 1977 1978

3.5.2. 외화

<rowcolor=#ffffff> 제목 국가 시작연도 종영연도 담당부서
날으는 원더우먼 미국 1977 1978

4. 특집 프로그램 일람

4.1. 보도·시사·스포츠

4.1.1. 시사

4.1.2. 스포츠

4.1.2.1. 중계방송

4.2. 드라마·오락

4.2.1. 드라마

4.2.1.1. 특집 드라마

4.2.2. 연예·오락

4.3. 수입·공급물

4.3.1. 특선 만화

4.3.2. 특선 외화

5. 협력 제작 프로그램 일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해외 토픽 프로그램. 매일 5~10분 단위로 편성되었는데, 짧은 프로그램을 매일 편성해 광고 수익을 올렸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에는 한 프로그램에 편성할 수 있는 광고의 양이 정해져 있었기 때문에 광고로 수익을 올리는 민영방송 입장에서는 프로그램 시간을 토막내듯이 쪼개어 광고를 집어 넣을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평일의 경우 방송 시간도 5시간 30분밖에 안되었다. 때문에 당시에 방영 시간이 긴 프로그램은 제작이 가능해도 편성을 하기가 어려운 구조였다.[2] 스포츠뉴스 프로그램. 이후 해당 명칭은 SBS의 스포츠뉴스 프로그램에 사용되었다.[3] 봉두완[26]이 진행한 일요일 아침 시사프로그램. 토론프로그램은 아니었고 인터뷰 성격의 프로그램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로 후일 봉두완이 원음방송에서 동명의 라디오 프로그램 진행을 맡은 바가 있다.[4] 박씨전에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추정된다. #[5] 1977년 4월 2일부터 10월 8일까지 방영된 주말연속극. 1950년대에 히트했던 라디오 드라마 '청실홍실'의 리메이크 작. 정윤희장미희가 주연을 맡았다. '결혼행진곡'의 후속 주말연속극으로 방영되었다.[6] 박근형과 김형자가 출연한 드라마이다. 박근형은 원래 MBC 전속이었기 때문에 TBC에는 출연할수가 없었다. 하지만 두 차례정도 TBC로 잠시 이직해 드라마에 출연한적이 있다. #[7] 1977년 6월 17일부터 10월 14일까지 금요드라마로 방영했다. 유명 극작가인 유호가 극본을 맡았으며, 하강일PD가 연출했다. 유지인, 노주현, 오현경이 주연배우로 출연해 큰 인기를 끌었다. 방영당시 높은 인기때문에 드라마 촬영도중 출연배우인 오현경이 수영복을 입은채 도망을 가는 웃지못할 일도 있었다. 장미희, 정윤희가 출연해 비슷한 시기에 방영된 '청실홍실'과 함께 2세대 여배우 트로이카 시대를 본격적으로 개막시킨 작품으로 평가된다. #[8] 대원군역으로 장용이 출연했다는 기사와 왕비 간택 장면이 등장했다는 기사로 보아서 흥선대원군 집권기를 다루는 드라마였던듯 하다. 장미희가 1인 2역을 맡아 화제가 되었다. #[9] 정윤희가 주연을 맡았던 드라마이다.# 방영도중 실제 외동딸인 여고생들이 정윤희를 찾아오는 해프닝도 있었다고 한다.#[10] 1977년 10월 15일부터 1978년 3월 5일까지 방영. 배우 이낙훈이 그동안의 중후한 이미지를 벗고 '찰리백'이라는 코믹한 역할을 연기하면서 많은 사랑을 받았다. 주요 주연은 이낙훈, 홍세미, 이순재였다.[11] 1930년대 조선일보에 연재되었던 인기소설을 드라마로 제작했다.[12] 1977년 11월 7일부터 1978년 1월까지 방영한 청춘드라마이다. # 쇼쇼쇼 MC로 유명한 정소녀가 이 드라마에 출연했다.#[13] 70년대 중반에 신설해서 79년도까지 방영한 토크쇼 프로그램. 사회 명사들이나 일반인 부부들을 초청해서 토크도 하고 서로 게임도하는 프로그램이었다. 이프로그램을 방영뒤에는 웃지못할 이유가 있는데, 정부가 '76편성지침'[27]으로 인해 평일 7시대 오락프로그램에는 연예인이 출연할 수 없게 되어서 예전처럼 가요프로그램이나 게임쇼 등을 편성할 수 없게된 것이다. 이 때문에 일반인이 출연하는 오락프로그램을 만들어 버린것이다. 비슷한 포맷의 프로그램으로는 MBC의 '여보여보 게임'이 있었다.[14] 전국의 새마을, 공장을 찾아 위문공연과 노래자랑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당시 박정희 정권의 새마을 운동을 홍보하기 위한 성격의 프로그램이었다.[15] 일본 아사히 방송의 '프로포즈 대작전(プロポーズ大作戦)' 포맷을 그대로 따라한 일반인 짝짓기 프로그램. #[16] 송해가 진행한 교양 프로그램. #[17] 역사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전국 각지의 문화재나 역사적인 일화를 소개하는 형식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18] 요리프로그램. 원래는 아침 시간대에 방영하던 '오늘의 요리'였는데, 이것이 아침 방송 폐지로 저녁으로 옮겨 방송되다가 76 방송윤리지침으로 인해 폐지되어버렸다. 다시 일요일 아침에 부활해서 79년 10월까지 방송했다. 당시 MC는 강부자.[19] 라프텔에서 VOD 한정으로 서비스중[20] 1983년 KBS 1TV에서 재방송.[21] 라프텔에서 VOD 한정으로 서비스중[A] [23] 경기 중간에 이리역 폭발사고 속보 자막이 송출되었다.[한국] [25] 최초의 한일합작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