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8 14:10:29

S.E.5

제1차 세계대전의 연합군 항공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564d44><colbgcolor=#564d44> 전투기 <colcolor=#0080ff><colbgcolor=#564d44> 영국 빅커스 F.B.5 건버스,RAF 빅커스 뱀파이어, 빅커스 F.B.12, 빅커스 E.S.1, 브리스톨 스카웃, 브리스톨 M.1, 브리스톨 F.2, 에어코 DH.2, RAF F.E.8, 솝위드 펍, RAF S.E.5, 솝위드 삼엽기, 솝위드 카멜, 솝위드 돌핀, 솝위드 스나이프, 솝위드 1 1/2 스트러터
프랑스 모랑-소르니에 L, 모랑-소르니에 N, 뉴포르 시리즈, 스패드
폭격기 경 폭격기 암스트롱 휘트워스 F.K.8(영), 브레게 14(프) RAF R.E.8(영), 브와쟁 III, 쿠드롱 G.3(프), 마틴 NBS-1(미)
중 폭격기 핸들리 페이지 폭격기 시리즈(영), 빅커스 비미(영), 일리야 무로메츠(러), 쿠드롱 G.4(프), 카프로니 시리즈(이), 에어코 DH.10(영), 마틴 MB-1(미)
기타 항공기, 요격기, 훈련기 빅커스 F.B.19 정찰기(영), PB.29E/31E 슈퍼마린 나이트호크(영), 샘슨 2(프), 커티스 JN 제니(미), 커티스 모델 D 함재 정찰기(미)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파일:external/img15.deviantart.net/__one_in_the_bag___by_roen911-d4glfvw.jpg
제임스 맥커든 소령의 S.E.5a 전투기가 알바트로스 전투기를 격추하는 일러스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oyal_Aircraft_Factory_S.E.5_replica.jpg

1. 개요2. 제원3. 개발
3.1. S.E.5a
4. 실전
4.1. 포스를 꺾다

1. 개요


Scout Experimental 5
제1차 세계대전당시 영국 왕립 항공 조병창(Royal Aircraft Factory)에서 개발된 단좌 복엽 전투기. 독일군이 보유한 어떠한 전투기들보다도 빠른 속도를 지닌 영국군의 고성능 전투기였다.

2. 제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E5a_3_vues.jpg
※S.E.5a기준

3. 개발

파일:external/flyingmachines.ru/Army_Mono_Biplane.jpg
S.E시리즈의 원형인 S.E.1
파일:external/alternathistory.org.ua/S.E.2-08-680x404.jpg
S.E.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AF_SE2a001a.jpg
S.E.2a
파일:external/flyingmachines.ru/10-1.jpg
S.E.4
파일:external/flyingmachines.ru/506-2.jpg
S.E.4a
항공기가 점차적으로 병기로의 이용 가치가 높아질 것이라 예상했던 RAF의 전신인 Army Balloon Factory(육군 기구 제조소)의 S.E.1복엽기를 기반으로 완전히 새롭게 설계된 항공기들을 개발했다. 여러 항공기들을 개발해온 핸리 폴랜드는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S.E.5의 시재기를 개발하게 되는데, 이 항공기는 그동안 폴랜드가 개발해왔던 항공기들의 장점들을 적절히 섞어놓은 것 같은 성격을 지녔었다. 그 예로 고속성을 중시해서 개발된 새로운 시험기에는 프랑스의 스패드 전투기에서 검증된 200마력 출력의 히스파노-수이자 8a 엔진을 사용하기로 결정되었고, 항공기의 항력을 줄이고자 컨트롤 와이어들을 모두 기체 내부에 수납해서 최대한 빠른 속도를 내도록했다. 경험이 적은 조종사들이 조종하기 쉽도록 기동성과 비행 안정성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 기동성을 높이고자 주익의 윗 날개와 아랫 날개가 상당한 상면각을 지니도록 제작했고, 넉넉한 크기의 보조날개를 위, 아래 날개에 모두 장착시킴으로써 조종반응도 향상시켰다. 또한, 꼬리 날개에는 입사각을 변경시킬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를 장착해서 조종석에 있는 손잡이를 이용해 꼬리 날개의 입사각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 덕분에 비행중 꼬리 날개의 입사각을 적당하게 변경해주기만 한다면 조종간에서 손을 뗀 상태로도 수평 비행을 유지할 수 있었다.

파일:external/williamwhitson.com/PROTOTYPE_SE5-II.jpg
첫 시재기

1916년 초도비행에 성공한 이후 당시 영국 최고의 에이스 조종사인 알버트 볼(Albert Ball)에게 찾아가 왕립 항공 조병창이 위치한 팬버러로의 방문을 요청한 후 잠깐 동안 S.E.5 시제기를 조종해볼 수 있도록 제안해서 시제기에 대한 평가를 부탁했으나 뉴포르에 비해 무겁고 안정적인 기체는 그를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거기다 2차 시제기를 시험하던 중 탑승자인 프랭크 구든 소령이 사망하는 참사가 나자 신랄한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그럼에도 독일군의 전투기를 압도할 수 있는 신형기를 절실하게 찾고 있었던 상태였기 때문에 S.E.5 전투기의 빠른 속도와 조종성에 만족하여 S.E.5 전투기의 양산을 결정하게 된다. 양산형에서는 날개 끝단의 뾰족한 갈퀴 부분이 문제임을 알아내어 전체 날개 면적을 15인치 가량 감소시키는 개수를 통해 횡방향제어 부문을 개선시켰다. 먼저 24대의 S.E.5 전투기들은 1917년 3월에 제 56 비행중대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된 단점들 때문에 그다지 좋은 평가를 받지는 못해서, 두 번째로 납품된 50대의 양산기를 끝으로 생산이 중단되고 말았다. 이로 인해 시제기를 포함해서 총 77대만 생산되었다.

3.1. S.E.5a

S.E.5의 문제점이 드러나자 개발진들은 개량형인 S.E.5a를 제작하였다. 1917년 5월 29일, 새롭게 개수된 A4563 시제기의 평가를 위해 마들레셤 히스에서 시험 비행을 해본 로더릭 힐은 개수된 A4563기에 대해서 굉장히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이 보고서를 받아본 영국의 전쟁성은 개수된 시제기의 명칭을 S.E.5a로 새롭게 부여한 뒤 현재 생산중인 S.E.5 전투기를 모두 S.E.5a 전투기로 대체하라는 지시를 내리게 된다. 이에따라 RAF 이외에 오스틴 모터스, 에어 네비게이션 앤 엔지니어링 컴퍼니, 커티스, 마틴사이드, 빅커즈, 울슬리 모터스 유한 회사들이 S.E.5a 전투기의 생산에 동참 하여 총 5,265대의 S.E.5a가 생산되었다. 하지만 양산된 기체수보다 엔진의 수량이 적은것이 발목을 잡았다. 그래서 히스파노-수이자 엔진을 대체하기 위해 울슬리사에 라이센스 생산을 의뢰했으나 사소한 착오가 발생함에따라 전혀 엉뚱한 엔진을 제작하게 된다. 울슬리의 설계진들은 엔진의 압축 비율을 4.5:1에서 5.6:1로 올려버린 결과 2,000rpm에서 220 마력의 엄청난 출력을 발휘해내는 새로운 엔진을 얼떨결에 제작해 버렸다. 물론 압축 비율이 너무 과했던 나머지 5.3:1의 비율로 감소시켜서 200마력의 출력을 유지하도록 개선했지만, 200 마력 출력의 이스파노-수이자 엔진에 걸맞은 새로운 엔진의 개발에 성공했기에 울슬리사는 이 엔진에 울슬리 바이퍼라는 새로운 명칭을 부여한 후 양산중인 S.E.5a 전투기에 탑재시키기로 결정한다.
파일:a0017462_534cce3662fee.jpg
히스파노-수이자 엔진장착형과 바이퍼 엔진 장착형의 비교도.

바이퍼 엔진을 장착한 S.E.5a는 히스파노-수이자 엔진이 장착된 전투기보다 더 나은 성능과 신뢰성을 지녔던 덕분에 곧바로 바이퍼 엔진을 탑재한 S.E.5a 전투기의 생산안이 정식으로 채택되었고, 이 덕분에 엔진 수급의 문제와 톱니바퀴 버전에서 발생하던 히스파노-수이자 엔진의 내구성 문제들이 사라질 수 있었다.

4. 실전

파일:external/img31.imageshack.us/9fs2.png
솝위드사의 카멜보다 먼저 개발이 완료된 S.E.5는 1917년 3월에 영국 육군 항공대 소속의 제 56 비행중대로 처음 배치되면서, 드디어 육군 항공대도 자국에서 개발한 새로운 신예기로 무장할 수 있었지만, 56 비행중대는 영국 본토에서 최근에 편성된 새로운 비행중대였기 때문에 S.E.5 전투기의 실질적인 첫 배치는 56 비행중대가 프랑스에 배치된 4월이 되어서야 이루어질 수 있었다.

4.1. 포스를 꺾다

파일:external/pds23.egloos.com/a0017462_4fceb666748f8.jpg
1917년 9월 23일 아침 , 독일의 에이스 베르너 포스는 자신의 애기인 포커 Dr.1을 타고 비행중 제임스 매커든(James McCudden) 대위가 이끄는 7대의 B편대 소속 SE5a 전투기들과 마주쳤다. 60 비행중대 소속의 SE5a 전투기들은 베르너 포스의 공격에 거의 격추될 위기에 처했었지만 매커든이 이끄는 B편대가 이들을 구하기 위해서 급습한 덕분에 두 전투기들은 전장을 이탈하여 무사히 벗어날 수 있었다. 포스는 즉각 전투를 중단하고 포커 삼엽기의 뛰어난 상승 능력으로 B편대의 SE5a 전투기들을 따돌릴 수 있었지만 이대로 돌아가기가 아쉬웠는지 B편대의 전투기들과 계속 교전을 이어 나갔다.

포커 삼엽기의 우수한 상승율과 선회율로 7대의 SE5a 전투기들과 호각을 다투는 치열한 전투를 10분 동안 벌였는데, 방향타를 이용해서 수평 선회를 하는 슬립 턴 이라는 기술을 굉장히 잘 활용했다고 한다. 슬립 턴을 적절히 사용한 덕분에 포스는 영국의 베테랑 조종사들의 공격을 재빠르게 피해낼 수 있었고 이 기술로 자신의 뒤에 따라붙은 SE5a 전투기를 공격하기까지 해서 B편대의 베테랑 조종사들을 당혹케 만들었다.

그러나 포스의 뛰어난 조종술도 여기까지가 한계였는지 매커든과의 헤드온 교전[1] 직후 이탈하는 과정에서 B편대의 호이지 대위의 사격을 받는 바람에 치명적인 부상을 입게된다. 호이지 대위는 헤드온 교전 직후 이탈하는 포스의 103/17기의 우현으로 사격을 가했는데 이때 발사된 총알중 하나가 포스의 폐를 관통하는 바람에 포스는 전과 같이 날렵한 기동을 더이상 보여주기는커녕 생과사를 넘나드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한참동안 날뛰어 다니면서 자신들을 공격하던 포커 삼엽기가 잠잠해고 난 후에는 데이비즈가 후미로 달려들어 포스의 숨통을 끊기 위해 엄청난 사격을 개시한다.

데이비즈는 날개위에 장착된 루이스 기관총의 드럼 탄창 두개를 소모할 정도로 무지막지한 사격을 가한 끝에 포스의 103/17 기가 중심을 잃고 추락하는 걸 확인했으며 최종적으로 포스의 격추를 목격한 조종사는 편대장이었던 매커든이 포스의 추락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했다. 매커든은 "포스의 전투기가 급격한 경사각을 지닌채로 하강하는 걸 계속 지켜봤는데, 포스의 전투기는 지상에 충돌하자마자 수천 개의 조각들로 조각나 사라져 버렸으며, 그 광경은 가루가 된다는 모습이 뭔지 알 것 같은 장면이었다." 라고 말하며 당시의 상황을 증언했다. 포스의 103/17기는 영국이 점령하고있던 벨기에의 프레첸베르크(Frezenberg) 근처 자두 농장에 추락했는데 오직 방향타와 카울링 그리고 몇 개의 착륙바퀴 부품들만 찾을 수 있었을 정도로 완전히 파괴되었다고 한다.


[1] 적기와 마주보며 날아가는 상황에서 공격하는 교전 방법. 서로 충돌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