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03:04:10

Rain World/지역/The Watcher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Rain World/지역|Rain World/지역]]

파일:rainworldtitle.png
Rain World 하위문서

||<^|1><tablewidth=90%><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rowbgcolor=#000>||
||<^|1><tablewidth=90%><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rowbgcolor=#000>||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2. 상세3. 지역
3.1. 급류 철도 (Torrential Railways)3.2. 산호 동굴 (Coral Caves)3.3. 햇살 부두 (Sunlit Port)3.4. 녹슨 잔해 (Rusted Wrecks)3.5. 뜨거운 사막 (Torrid Desert)3.6. 배드랜드 (Badlands)3.7. 신록의 수로 (Verdant Waterways)3.8. 신호 첨탑 (Signal Spires)3.9. 악취 협곡 (Fetid Glen)3.10. 에테르 능선 (Aether Ridge)3.11. 열관 (Heat Ducts)3.12. 염류지 (Salination)3.13. 요동치는 펌프 (Turbulent Pump)3.14. 장막의 해안 (Shrouded Coast)3.15. 적막한 지대 (Desolate Tract)3.16. 추운 창고 (Cold Storage)3.17. 폭풍 해안 (Stormy Coast)3.18. 표면 (The Surface)3.19. 불운한 진화 (Unfortunate Evolution)3.20. 조각난 테라스 (Shattered Terrace)3.21. 고대 도회지 (Ancient Urban)3.22. 데몬 (Daemon)3.23. 아우터 림 (Outer Rim)3.24. ???

1. 개요

Rain World의 DLC The Watcher의 전용 지역들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본편 및 다른 DLC인 Downpour의 추가 지역을 합친 수준으로 방대한 지역이 추가되었기 때문에 문서가 분리되었다.

2. 상세

Rain World 지역 일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교외아이콘.png
교외
파일:산업단지아이콘.png
산업 단지

· 수경 재배지 ⓦ
파일:배수처리시설아이콘.png
배수 처리시설
파일:굴뚝덮개아이콘.png
굴뚝 덮개

· 홈통 ⓓ
파일:쓰레기폐기장아이콘.png
쓰레기 폐기장
파일:그늘진성채아이콘.png
그늘진 성채

· 기억 납골당
파일:연안선아이콘.png
연안선

· 달을 향해 보라
· 절벽 ⓓ
파일:하늘제도아이콘.png
하늘 제도

· 통신 배열
파일:농장배열지아이콘.png
농장 배열지
파일:외부아이콘.png
외부

· 각부
· 하부
· 겉벽
파일:다섯조약돌아이콘.png
다섯 조약돌

· 불운한 발생지
· 재귀 변압 배열
· 메모리 합류점
· 종합 시스템 버스
파일:지하아이콘.png
지하

· 여과 시스템
· 심층
}}}}}}}}}
DLC Downpour 지역 일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파이프공장아이콘.png
파이프 공장

· 집수 터널
파일:침수된상부구조물아이콘.png
침수된 상부구조물

· 환풍구
· 심장
· 혹한의 둥우리
· 보조 송신 배열
파일:바깥광야아이콘.png
바깥 광야

· 침하한 교각
· 시설 기반
· 여정의 끝
파일:해변시설아이콘.png
해변 시설

· 절벽
파일:대도시아이콘.png
대도시

· 가장 높은 탑 꼭대기
· 바닥
· 제12 의회 기둥, 땋은 술 가문
파일:부패아이콘.png
부패

· 담낭 도관
· 재귀 변압 배열
· 일차 피질
· 선형 시스템 레일
· 심층
파일:달을향해보라아이콘.png
달을 향해 보라

· 지주
· 환풍구
· 추상 수렴 다양체
· 메모리 합류점
· 수경
· 신경 말단
파일:지하수림아이콘.png
지하 수림
파일:고요한구조아이콘.png
고요한 구조

· 서리 낀 성당
· 허울
· 다섯 조약돌
파일:루비콘아이콘.png
루비콘
}}}}}}}}}
DLC The Watcher 지역 일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급류철도아이콘_bata.png
급류 철도
파일:산호동굴아이콘_bata.png
산호 동굴

· 깊은 암초
파일:햇살부두아이콘_bata.png
햇살 부두
파일:녹슨잔해아이콘_bata.png
녹슨 잔해

파일:뜨거운사막아이콘_bata.png
뜨거운 사막
파일:배드랜드아이콘_bata.png
배드랜드
파일:신록의수로아이콘_bata.png
신록의 수로

파일:신호첩탑아이콘_bata.png
신호 첨탑

파일:악취협곡아이콘_bata.png
악취 협곡

파일:에테르능선아이콘_bata.png
에테르 능선

· 블래스트 덱
· 거대한 능선
· 공중 전차
파일:열관아이콘_bata.png
열관

· 온도 계전기
파일:염류지아이콘_bata.png
염류지

파일:요동치는펌프아이콘_bata.png
요동치는 펌프

파일:장막의해안아이콘_bata.png
장막의 해안

파일:적막한지대아이콘_bata.png
적막한 지대

파일:추운창고아이콘_bata.png
추운 창고

· 스테이션 별관
파일:폭풍해안아이콘_bata.png
폭풍 해안

파일:표면아이콘_bata.png
표면

· 추락한 전차
· 툰드라 단층
파일:불운한진화아이콘_bata.png
불운한 진화

파일:조각난테라스아이콘_bata.png
조각난 테라스

파일:고대도화지아이콘_bata.png
고대 도회지

파일:데몬아이콘_bata.png
데몬
파일:아우터림아이콘_bata.png
아우터 림

· 왕좌
파일:RainWorld_Unknown.png
???
}}}}}}}}}
*지역 순서는 방랑자 도전과제의 순서를 따름
**Downpour 지역 순서는 캠페인 순서를 따름
***The Watcher 지역 순서는 가나다 순서를 따름



튜토리얼에 해당하는 본편 지역들로부터 메아리를 3개 보게 되면[2] 본격적인 관찰자 캠페인 전용 지역으로 넘어오게 된다.

관찰자 캠페인의 전용 지역들은 본편의 지역 시스템과 판이하게 다르다. 우선 더 이상 지역 간 연결을 카르마 게이트가 담당하지 않으며, 그 기능을 맵 어딘가에 존재하는 세계 간의 균열, 즉 워프 포탈이 대신한다.

워프 포탈은 카르마 게이트와 달리 이용에 카르마 제한이 없으며, 한 주기에 여러 번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렇게 한 주기에 여러 번 사용하면 할수록 관찰자의 특수 능력 사용에 제한이 생기기 시작한다. 또한 일방통행이라 A에서 B로는 넘어갈 수 있어도 B에서 A로는 넘어가지 못하는 포탈도 존재한다. 더불어 관찰자는 카르마 3단계를 달성하면 ↑ 키+특수능력 키를 꾹 눌러서 카르마 꽃 보호를 소비하여 1회용 포탈을 개방할 수도 있다. 맵 어딘가의 메아리를 찾으면 메아리가 포탈을 열어주기도 하는데, 이 경우 메아리를 찾기 전까지는 반대편에는 포탈이 개방되지 않는다.

이런 생소한 이동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본편 게임과 달리 지역과 지역 연결에 개연성이 전혀 없다. 대표적으로 눈이 내려 동사하는 기믹이 있는 맵에서 포탈을 타면 사막에 내던져지기도 한다. 이렇다보니 포탈이 어디쯤에 있는지도 첫 플레이라면 전혀 감을 잡을 수 없다. 본편에서는 예를 들면 그늘진 성채에서도 산업 단지에 가까워지면 점점 밝아지는 등 게이트에 가까워지면 지역의 기믹들이 섞이는 부분이 있기 마련인데 관찰자 캠페인의 지역에서는 전혀 그런 것이 없다. 이는 관찰자 캠페인 자체의 특성에 어울린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대체로는 혹평받는 기믹이기도 하다.

지역 간 연결은 매 게임마다 달라진다. 즉 포탈을 타면 어디로 가는지는 매 게임마다 랜덤이다. 이는 수동 포탈 및 맵에 처음부터 열려 있는 포탈에 해당되며, 특정 지역 및 메아리를 봐야 열리는 포탈은 해당되지 않는다. 때문에 메아리만 잘 찾아다닌다면 엔딩 지역에 가는 것까지 운에 맡길 필요는 없다. 엔딩 지역으로 통하는 지역은 정해져 있기 때문. 물론 모든 포탈이 전부 랜덤인 것은 아니며, 시드에 관계없이 고정된 포탈도 존재한다.

관찰자 캠페인은 통행권을 사용할 수 없다. 오리지널의 사냥꾼이나 Downpour의 성자 같은 경우 통행권이 점수 보너스라도 제공했는데 관찰자는 통계조차 보여주지 않기 때문에 업적 달성이 정말 아무런 의미가 없다.

통행권을 사용할 수 없는 대신 휴면할 때마다 지금까지 거쳐온 지역들의 지도 및 지역 간 연결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지역끼리 실선으로 이어졌다면 양방향 포탈이 있는 경우이고, 점선으로 이어졌다면 일방통행만 가능하다는 뜻이다.

===# 특정 엔딩 관련 스포일러 #===
휴면할 때 전체 지역 지도를 확인해보면, 지역의 테두리가 흰색 또는 보라색인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테두리가 보라색인 지역은 부패한 지역을 의미하는 것이다.

부패한 지역으로부터 포탈을 타고 다른 감염되지 않은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그 지역도 부패에 감염된다. 이때 지역 자체가 감염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포탈이 있는 의 부패가 어느 정도 진행되어야 한다. 방이 보라색 부패에 잠식되거나 천장에서 찐득한 파티클이 떨어지고, 배경이 불길한 보라색으로 변하는 등 기존의 지역과 차이가 생겼다면 충분히 부패한 것이다. 이런 식으로 모든 지역을 감염시킬 경우에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엔딩이 있다.

조각난 테라스, 고대 도회지, 데몬은 감염되지 않는다. 또한 불운한 진화, 아우터 림은 처음부터 감염된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불운한 진화에 들르게 되었거나 카르마 꽃 없이 수동 포탈을 한번이라도 사용했다면 무조건 아우터 림으로 가게 되므로, 둘 중 하나라도 진행했다면 그때부터 지역의 감염이 시작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더불어 시작 지역이 처음부터 감염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데, 몇몇 유저들은 게임이 꽤 진행되고도 시작 지역들이 멀쩡한 경우도 있다. 정확한 조건은 아직 불명.

3. 지역

지역 순서는 시작 3지역 및 특별한 지역들을 제외하고 한국어 번역 기준 가나다순으로 나열되었다. 추후 업데이트로 방랑자 도전과제가 추가되거나 다른 기준이 나오면 변경될 수도 있다.

3.1. 급류 철도 (Torrential Railways)

width=100%
급류 철도 (Torrential Railways)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급류 철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급류 철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급류 철도#|]][[급류 철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산호 동굴 (Coral Caves)

width=100%
산호 동굴 (Coral Caves)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산호 동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산호 동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산호 동굴#|]][[산호 동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햇살 부두 (Sunlit Port)

width=100%
햇살 부두 (Sunlit Port)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햇살 부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햇살 부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햇살 부두#|]][[햇살 부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녹슨 잔해 (Rusted Wrecks)

width=100%
녹슨 잔해 (Rusted Wrecks)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녹슨 잔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녹슨 잔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녹슨 잔해#|]][[녹슨 잔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뜨거운 사막 (Torrid Desert)

width=100%
뜨거운 사막 (Torrid Desert)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뜨거운 사막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뜨거운 사막#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뜨거운 사막#|]][[뜨거운 사막#|]]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배드랜드 (Badlands)

width=100%
배드랜드 (Badlands)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배드랜드(Rain World)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배드랜드(Rain World)#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배드랜드(Rain World)#|]][[배드랜드(Rain Worl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7. 신록의 수로 (Verdant Waterways)

width=100%
신록의 수로 (Verdant Waterways)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록의 수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록의 수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록의 수로#|]][[신록의 수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8. 신호 첨탑 (Signal Spires)

width=100%
신호 첨탑 (Signal Spires)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호 첨탑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호 첨탑#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호 첨탑#|]][[신호 첨탑#|]]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9. 악취 협곡 (Fetid Glen)

width=100%
악취 협곡 (Fetid Glen)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악취 협곡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악취 협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악취 협곡#|]][[악취 협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0. 에테르 능선 (Aether Ridge)

width=100%
에테르 능선 (Aether Ridge)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테르 능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테르 능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테르 능선#|]][[에테르 능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 열관 (Heat Ducts)

width=100%
열관 (Heat Ducts)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열관(Rain World)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열관(Rain World)#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열관(Rain World)#|]][[열관(Rain Worl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염류지 (Salination)

width=100%
염류지 (Salination)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염류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염류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염류지#|]][[염류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 요동치는 펌프 (Turbulent Pump)

width=100%
요동치는 펌프 (Turbulent Pump)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요동치는 펌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요동치는 펌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요동치는 펌프#|]][[요동치는 펌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4. 장막의 해안 (Shrouded Coast)

width=100%
장막의 해안 (Shrouded Coast)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막의 해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막의 해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막의 해안#|]][[장막의 해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5. 적막한 지대 (Desolate Tract)

width=100%
적막한 지대 (Desolate Tract)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적막한 지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적막한 지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적막한 지대#|]][[적막한 지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6. 추운 창고 (Cold Storage)

width=100%
추운 창고 (Cold Storage)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추운 창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추운 창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추운 창고#|]][[추운 창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7. 폭풍 해안 (Stormy Coast)

width=100%
폭풍 해안 (Stormy Coast)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폭풍 해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폭풍 해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폭풍 해안#|]][[폭풍 해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8. 표면 (The Surface)

width=100%
표면 (The Surface)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표면(Rain World)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표면(Rain World)#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표면(Rain World)#|]][[표면(Rain Worl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9. 불운한 진화 (Unfortunate Evolution)

width=100%
불운한 진화 (Unfortunate Evolution)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불운한 진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불운한 진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불운한 진화#|]][[불운한 진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0. 조각난 테라스 (Shattered Terrace)

width=100%
조각난 테라스 (Shattered Terrace)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각난 테라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각난 테라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각난 테라스#|]][[조각난 테라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 고대 도회지 (Ancient Urban)

width=100%
고대 도회지 (Ancient Urban)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대 도회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대 도회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대 도회지#|]][[고대 도회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 데몬 (Daemon)

width=100%
데몬 (Daemon)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몬(Rain World)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몬(Rain World)#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몬(Rain World)#|]][[데몬(Rain Worl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3. 아우터 림 (Outer Rim)

width=100%
아우터 림 (Outer Rim) 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우터 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우터 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우터 림#|]][[아우터 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4. ???

카르마 3단계를 달성하고, 카르마 꽃을 먹지 않은 상태에서 수동 포탈을 개방했을 때만 진입 가능한 지역들이다.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 휴면 시 확인 가능한 지역 지도에서도 사라지는 임시 지역으로, 네 지역의 공통점이 많기 때문에 한 문서에 서술한다.

부패한 지역이라는 이름은 정식 이름이 아니며 편의상 임의로 정한 이름이다.

[1] 아직 개발이 불완전해서 사진과 지형이 맞지 않거나 관찰자 확장팩에서 새로 추가된 생물들은 이미지가 없는 경우도 있다.[2] 굴뚝 덮개, 농장 배열지, 그늘진 성채 3지역의 메아리만 볼 수 있도록 시스템적으로 막혀 있으며, 보는 순서는 상관 없으나 마지막으로 조우한 지역에 따라 본격적으로 시작할 때 급류 철도, 산호 동굴, 햇살 부두 중 시작 지역이 정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