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창작동요대회 | ||
<colbgcolor=#f5e1da> 시청 등급 | 모든 연령 시청가 | |
장르 | 교양 | |
채널 | KBS 1TV KBS 2TV (2015년 대회) | |
방송 기간 | 1989년 ~ | |
제작 | KBS 협력제작국 | |
HD 방송 여부 | SD 제작 · 방송: 1989년 ~ 2006년 HD 제작 · 방송: 2007년 ~ | |
링크 |
[clearfix]
1. 개요
1989년부터 현재까지 개최되는 대한민국의 창작 동요 대회.[1] 노랫말 접수를 먼저 한뒤 노랫말이 통과가 되면 최종 작곡 완성 작품을 붙이고 예선을 통과하여 본선에 진출한다. 그리고 두 차례 녹화방송을 제외하고는 전부 생방송으로 한 MBC 창작동요제와 달리 첫 대회부터 녹화방송으로 진행한다.MBC 창작동요제가 1994년까지 작곡자의 참가 자격을 학교 교사로 제한하던 것에 비해, KBS 창작동요대회는 1989년 첫 대회 때부터 작곡자의 참가 자격을 제한하지 않았다.
2. 역사
2.1. KBS창작동요대회(1기, 1989~1993)
KBS는 윤극영이 반달을 작곡했다고 알려진 1924년 10월 12일을 기념하여 1986년부터 10월 12일을 '동요의 날'로 제정하여 동요시상식 등 행사를 개최하다가, 1989년부터 창작동요대회를 개최하였다. 작곡자의 참가자격에 제한을 두지 않아 대학생, 일반인, 초등학생 등도 참가하였고 첫 해 최우수상은 대학생 작곡자가 받았다. 1회는 리틀엔젤스예술회관[2]에서 진행했다.통산회수 | 개최년도 | 대회공식명칭 | 최우수상 수상곡 |
제1회 | 1989년 | 89 KBS 창작동요대회[3][4] | 팽이치기(박인영[5] 작사, 작곡) |
제2회 | 1990년 | 90 KBS 창작동요대회 | 그림 그리고 싶은 날(이강산[6] 작사, 오세균 작곡, 박미선 노래)[7] |
제3회 | 1991년 | 91 KBS 창작동요대회[8] | 팽이치기[9] |
제4회 | 1992년 | 92 KBS 창작동요대회[10][11] | 비 오는 오솔길[12] |
제5회 | 1993년 | 93 KBS 창작동요대회 | 아이들이 그리는 세상(장사경 작사, 이강산[13] 작곡)[14] |
최우수상 수상곡들 말고도 찾아보면 좋은 곡이 많다.
KBS의 동요 관련 행사를 주관하던 교양제작국이 1993년에 열린음악회를 개최하기 시작하면서 노래는 내 친구[16]를 폐지한 뒤 KBS가 개최하던 초록동요제[17]와 함께 폐지되어 1994년부터 개최하지 않았다. 이후에는 KBS부산방송총국으로 넘어가 명맥을 이어가게 된다.[18][19]
1990년 2회 대회에서, 1회 MBC 창작동요제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새싹들이다를 작사·작곡한 좌승원이 역사상 최초인 창작동요제 대상[20] 수상자라는 상징성 때문에 심사위원으로 위촉한 바 있는데, 심지어 MBC 창작동요제에서 심사위원으로 위촉하기도 전이었다. 사실 좌승원은 새싹들이다를 만들던 1980년대 당시 KBS 제주 어린이합창단의 지휘를 맡았기 때문에 KBS와 아주 인연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2.2. 지역별 창작동요대회
1994년부터 부산, 대구, 대전 등 KBS의 각 지역 방송총국이 자체적으로 창작동요대회를 개최하였다. 초기에는 해당 방송총국이 관할하는 지역에서만 방송되다 보니, 다른 지역에서는 이런 행사가 있다는 것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2.2.1. KBS부산창작동요대회(1994~2003)
KBS부산방송총국이 개최했고, 장소는 KBS부산홀, 반주는 KBS부산관현악단이 맡았다. 이 때 KBS부산관현악단의 지휘자는 제1회 MBC창작동요제에서 '오륙도'라는 곡으로 은상을 수상한 박봉렬이었고, 공연을 맡은 KBS부산방송총국 어린이합창단의 단장은 89KBS창작동요대회에서 '기차를 타고'로 우수상을 받은 김태호였다.통산회수 | 개최년도 | 대회공식명칭 | 최우수상 수상곡 | 비고 |
제6회 | 1994년 | 제1회 KBS부산 창작동요대회 | 가을 들길 | 부산, 경남 동부 일부 지역 사람들만 참가하였다 |
제7회 | 1995년 | 제2회 KBS부산 창작동요대회 | 잔디밭에는[21] | |
제8회 | 1996년 | 제3회 KBS부산 창작동요대회 | 노래는 빛이야 | 이 대회부터 다른 지역 작곡자들이 참가하기 시작했다. |
제9회 | 1997년 | 제4회 KBS부산 창작동요대회 | 세계에 산다[22] | |
제10회 | 1998년 | 제5회 KBS부산 창작동요대회 | 빗방울 | 이 대회부터 전국에서 방송되기 시작했다. |
제11회 | 1999년 | 제6회 KBS부산 창작동요대회 | 숲속 친구 반달곰 | |
제12회 | 2000년 | 제7회 KBS부산 창작동요대회 | 흥부처럼 살아요 | |
제13회 | 2001년 | 제8회 KBS부산 창작동요대회 | 나무가족(박수진 작사, 김애경 작곡)[23] | |
제14회 | 2002년 | 제9회 KBS부산 창작동요대회 | 푸른바다 돌고래[a] | |
제15회 | 2003년 | 제10회 KBS부산 창작동요대회 | 수수꽃다리(조연정 노래)[a] | 10주년 기념으로 광안리해수욕장에 무대를 특설해서 개최하였다. |
그리하여 2004년부터 다시 서울로 넘어가 서울2기로 이어지게 된다.
2.2.2. KBS대구국악창작동요대회(1994~2001)
국립국악원이 주관하는 국악동요제와 동일한 포맷이었다.[26] 2001년까지 개최하였고 2002년 KBS대구방송총국의 연간행사계획에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소리소문 없이 사라졌다.2.2.3. 대전일보창작동요대회(1994~2000)
KBS대전방송총국과 대전일보가 공동으로 개최하였다. 사실상 대전일보가 공고, 접수, 예심 등을 전담하고 KBS대전방송총국은 당일 행사만 진행한 것에 가깝다.[27] 2000년에 대전일보가 손을 떼면서 제7회 대회는 KBS대전방송총국이 단독으로 진행하였는데, 2001년에는 아예 KBS대전방송총국의 연간행사계획에도 빠졌다.대회 주체 | 개최년도 | 대회공식명칭 | 대상 수상곡 | 비고 | |
대전일보 + KBS대전방송총국 | 1994년 | 제1회 대전일보창작동요대회 | 대전, 충남 지역 사람들만 참가하였다.[28] | ||
1995년 | 제2회 대전일보창작동요대회 | ||||
1996년 | 제3회 대전일보창작동요대회 | 이 대회부터 다른 지역 작곡자들이 참가하기 시작했다. | |||
1997년 | 제4회 대전일보창작동요대회 | 소리는 새콤 글은 달콤 | |||
1998년 | 제5회 대전일보창작동요대회 | ||||
1999년 | 제6회 대전일보창작동요대회 | ||||
KBS대전방송총국 | 2000년 | 열려라 동요세상 창작동요대회 | 대전일보 가 손을 떼면서 KBS대전방송총국이 단독으로 개최하였다. |
2.2.3.1. 대전 지역 창작동요제
대회 주체 | 개최년도 | 대회공식명칭 |
대전일보 + 대전방송(TJB) | 2004년 | 제8회 대전일보창작동요대회[29] |
2005년 | 제9회 대전일보창작동요대회 | |
2006년 | 제10회 대전일보창작동요대회 | |
KBS대전방송총국 | 2007년 | 제1회 금산가족사랑 전국창작동요대회 |
2008년 | 제2회 금산사랑 자연사랑 전국창작동요대회 | |
2009년 | 제3회 금산사랑 이웃사랑 전국창작동요대회 | |
2010년 | 전국 어린이 동요 페스티벌 | |
2011년 | 제4회 금산사랑 가족사랑 전국창작동요대회 | |
2012년 | 제5회 금산인삼 전국창작동요대회 | |
2013년 | 제6회 금산인삼 전국창작동요대회 | |
2014년 | 제7회 금산인삼 전국창작동요대회 | |
2015년 | 제8회 금산인삼 전국창작동요대회 | |
2016년 | 제9회 금산인삼 전국창작동요대회 | |
2017년 | ||
2018년 | 제10회 금산인삼 전국창작동요대회 | |
2019년 | 제11회 금산인삼 전국창작동요대회 | |
2020년 | ||
2021년 | ||
2022년 | 제12회 금산인삼 전국창작동요대회 | |
2023년 |
2.3. KBS창작동요대회(2기, 2004~)
KBS부산방송총국에서 주최하던 것을 그대로 이어받아, '한국동요80주년[30]기념 창작동요대회'라는 제목으로 KBS본국이 10년 만에 창작동요대회를 개최하였다. 노랫말(작사) 공모 → 완성작(작곡) 공모 → 음원(가창) 공모 예심 → 본선 무대로 이어지는 창작동요대회의 절차도 이 때부터 확립하였다. 다만, KBS가 자체적으로 제정했던 '동요의 날'은 부활하지 않았고, 대회 날짜도 8월에서 연말까지 왔다갔다 하다가, 2014년부터 새봄 3월 초에 방영, 초록동요제가 폐지된 2016년부터는 어린이날에 방영되었다.언제부턴가 가창자에 초등학생이 포함되면 성인도 참가가 가능하게 되어서, 모녀 중창팀이 등장하기도 했고 초등학생을 끼워넣은 성인 중창단[31]에서 참가하기도 했다.
통산회수 | 개최년도 | 대회공식명칭 | 대상 수상곡 |
제16회 | 2004년 | 창작동요 80주년 기념 KBS 창작동요대회 | 꿈이 크는 책가방[a] |
제17회 | 2005년 | 2005 KBS 창작동요대회 | '넌 할 수 있어'라고 말해주세요 |
제18회 | 2006년 | 2006 KBS 창작동요대회 | 해님사랑 |
제19회 | 2007년 | 2007 KBS 창작동요대회 | 어린왕자에게[33] |
제20회 | 2008년 | 2008 KBS 창작동요대회 | 달팽이의 하루 |
제21회 | 2009년 | 2009 KBS 창작동요대회 | 아낌없이 주는 나무 |
제22회 | 2010년 | 2010 KBS 창작동요대회 | 내 손은 바람을 그려요 |
제23회 | 2011년 | 2011 KBS 창작동요대회 | 된장 한 숟가락 |
제24회 | 2012년[34] | 2012 KBS 창작동요대회 | 기지개 |
2013년 | [35] | ||
제25회 | 2014년 | 제25회 KBS 창작동요대회 | 가을이 오는 소리 |
제26회 | 2015년 | 제26회 KBS 창작동요대회 | 꼭 안아줄래요 |
제27회 | 2016년[36] | 2016 KBS 창작동요대회 | 내 마음의 수채화 |
제28회 | 2017년 | 2017 KBS 창작동요대회 | 서로의 별이 되어 |
제29회 | 2018년 | 2018 KBS 창작동요대회 | 나의 정원 |
제30회 | 2019년 | 2019 KBS 창작동요대회 | 마라톤 |
2020년 | [37] | ||
제31회 | 2021년[38] | 2021 KBS 창작동요대회 | 노래하는 친구들 |
제32회 | 2022년 | 2022 KBS 창작동요대회 | 하쿠나 마타타 |
제33회 | 2023년 | 2023 KBS 창작동요대회 | 뻥뻥 뻥튀기 |
제34회 | 2024년 | 2024년 KBS 창작동요대회 | 내 시간 어디갔어 |
[1] MBC 창작동요제가 사실상 폐지된 2010년부터는 명실공히 대한민국 최대의 창작동요제라고 할 수 있다.[2] MBC 창작동요제 초반 대회와 19회 대회를 진행한 곳이다. 리틀엔젤스예술회관(현 유니버설아트센터) 자체가 서울어린이대공원 근처에 있어 어린이와 어울리는 곳이다.[3] 진행은 배우 송승환과 김자영 당시 KBS 아나운서[4] 우수상은 기차를 타고와 노을지는 풍경. 노을지는 풍경의 가창자는 전혜윤으로 1년 후인 1990년 제8회 MBC 창작동요제에서 봄을 불러 대상을 받는다.[5] 당시 대학생. 오늘날 영화음악 연출을 맡으며, 서울시립교향악단 애국가 편곡으로 잘 알려져 있다.[6] 1991년 제9회 MBC 창작동요제에서 하늘나라 동화를 발표해서 대상을 받게 된 그 사람이다. 자기가 작사/작곡을 직접 하면서 자신의 노랫말을 다른 작곡자에게 제공하기도 했다.[7] 박미선은 부산에 사는데, 작곡자가 서울의 국민학교 교사라서 박미선이 주말마다 서울에 가서 노래지도를 받았다고 한다. 그래서 연습시간이 모자라 조마조마했다고. 이후 KBS부산 창작동요대회 때에는 서울의 작곡자가 부산의 노래교실 지도교사에게 노래를 보내면 지도교사가 알아서 가창자를 지정해 노래를 연습시키고 작곡자와 가창자가 대회 당일에 처음 만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8] 1991년 제9회 MBC 창작동요제에서 '하늘나라 동화'로 대상을 받은 이강산이 정작 이 대회에서 예선 탈락해서 충격을 주었다.[9] 놀랍게도 제1회 수상곡과 동명이곡이다![10] 훗날 배우로 활동하게 되는 이인혜가 새로운 길이라는 노래로 우수상을 받았다.[11] 1992년 제10회 MBC 창작동요제에서 '부채춤'으로 대상을 받은 홍명희가 정작 이 대회에서 예선 탈락해서 충격을 주었다.기시감이 느껴지는 건 기분 탓만은 아니다.[12] 서울1기 대회에서 처음으로 기존 작곡자가 최우수상을 받았고, 서울1기 최우수상 수상자 가운데 유일하게 서울 외 지역 참가자이다.[13] 이강산의 작품으로는 특이하게도 다른 사람의 노랫말에 가락을 붙였다. 이강산은 이로써 MBC와 KBS를 모두 석권한 유일한 작곡자가 되었다. 정작 노래는 하늘나라 동화 짝퉁이란 평가를 받았다.(...)[14] 노래는 부산 어린이 3명이 부름으로써 '그림 그리고 싶은 날'에 이어 두 번째로 수도권 창작자 - 부산 어린이 콤비가 최우수상을 받았다. 91년 때는 작사자로서, 93년 때는 작곡자로서 노래를 창작했다.[15] 선술했듯이 이인혜가 불렀다.[16] '노래는 내 친구'는 당시의 제목이었다. 누가 누가 잘하나는 이후 부활해 KBS 2TV에서 매주 목요일 오후 4시에 방영중이다.[17] 당시의 제목은 '가족동요제'[18] 당시에 KBS교양제작국이 폐지한 프로그램 중에는 'KBS대학가요축제'(1987~1993),'KBS 청소년 창작 가요제(1988~1993)도 있었다. 읭?[19] 1996년부터는 국립국악원이 주관하는 국악동요제를 방송하고 있으나, 이 행사는 KBS교양제작국과는 관련이 없다.[20] 1회 MBC 창작동요제에서는 당시 최우수상이었고 이후 동요제에서 대상이 된다.[21] 이 곡을 부른 사람은 MBC 창작동요제에서 예쁜 아기곰을 불러 장려상을 받았다.[22] 재미교포(?)인 서지혜가 작곡했다. 창작동요제 역사상 최초로 해외 참가자가 본선에 진출했는데, 첫 참가에서 대상을 받은 것.[23] 불과 일주일 뒤에 무주에서 열린 EBS고운노래발표회에서 다른 노래를 발표했는데 거기에서도 대상을 받았다. 부산에선 대상 받았다고 눈물 흘리던 작곡자가 일주일 뒤에 또 받을 땐 그냥 웃기만 했다. 그리고 제8회 KBS부산 창작동요대회와 2001EBS고운노래발표회 둘 다 사회자가 창작동요제 전문 사회자인 유열이었다. 일주일 전에 다른 대회에서 대상받은 사람이 오늘 여기서 또 대상을 받았네?[a] 몇 달 전 MBC창작동요제에서 대상을 받은 가창자가 대상을 받았다.[a] [26] 국립국악원이 주관하는 국악동요제는 1995년까지 제목이 '창작국악동요제'였다.창작국악동요와 국악창작동요[27] 현재까지 국악동요제(국립국악원 주관)는 이런 형태로 제작된다. 예전에 초록동요제(삼성문화재단 주관)도 이런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국정농단 사태와 삼성의 사정으로 2016년부터 아예 대회를 열지 않고 있다.[28] 대전이 충남과 충북의 경계에 있으나, 충북에는 KBS청주방송총국이 있어 KBS대전방송총국의 방송전파는 서쪽 방향으로만 나아간다.[29] 2000년 대회는 KBS대전방송총국이 단독으로 개최했으니 대전일보가 주최한 창작동요제로는 7번째가 맞지만, 그냥 제8회라고 불렀다.[30] 윤극영 문서 참고.[31] 서울 어느 대학교의 총장도 끼어있었다.[a] [33] 본선에 중창 11팀, 독창 1팀엥?이 진출했고 상은 대상 하나 뿐인데, 유일한 독창 참가자가 대상을 받았다. 열 두 팀 가운데 중창만 11팀이나 되는 점, 유일한 독창 팀이 맨 마지막에 노래를 부르고 대상을 받은 점 때문에 논란이 많았다.[34] 김채원이 초등학교 6학년 때 '포이초중창단'으로 참가해 말의 향기를 불렀다.[35] 연말(8월~11월)에 개최하던 대회를 이듬해 연초(3월)로 옮기는 형식으로 변경되는 바람에 2013년은 건너뛰었다.[36] KBS가 매년 어린이날에 삼성문화재단이 개최하는 초록동요제를 방송했는데, 이 해부터 삼성문화재단이 더 이상 초록동요제를 개최하지 않게 되면서 어린이날에 방송 시간이 비게 되었다. 이에 KBS는 KBS 창작동요대회를 어린이날에 방송하는 것으로 결정했고, 그 뒤로 KBS창작동요대회는 매년 어린이날에 방송되고 있다. 공교롭게도 MBC는 2012년부터 매년 전국으로 송출하던 울산MBC 서덕출창작동요제를 2016년부터는 더 이상 전국으로 송출하지 않고 있다.[37] 노랫말 공모 및 우수작 선정과 발표까지 진행하였으나, 이후 '코로나19'로 인하여 계속 미루어지다가 결국 2020년에는 개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38] 2020년에 선정된 노랫말 우수작에 작곡을 하여 최종 완성작을 공모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