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4리그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colbgcolor=#001c48><rowcolor=#fff> 구분 | 대회 | 리그 | 단계 | |
<colcolor=#fff> 남자 | <colbgcolor=#001c48><colcolor=#fff> 프로 | | | 1부 리그 | |
| 2부 리그 | ||||
세미프로 | | | 3부 리그 | ||
| 4부 리그 | ||||
아마추어 | | | 5부 리그 | ||
| 6부 리그 | ||||
| 7부 리그 | ||||
지역별 (시도)리그 | 인천(시도) / 대구(시도) 광주(시도) | 8부 이하 -2020년도 대회/리그 -JoinKFA 등록 기준 | |||
지역별 (시군구)리그 | 부산금정구 / 경북울진군 광주북구 / 경북김천시 강원삼척시 / 경북영주시 경북안동시 / 충남홍성군 울산남구 / 세종 전북전주시(5개 리그) | ||||
U-23 | | | 대학 리그 1부 | ||
| 대학 리그 2부 | ||||
| 프로 2군 리그 | ||||
U-18 | | 전국고등축구리그 | 고등 리그 | ||
| K리그 주니어 U-18 | ||||
K리그 주니어 U-17 | |||||
| i리그 U-18 | ||||
U-15 | | 전국중등축구리그 | 중등 리그 | ||
| K리그 주니어 U-15 | ||||
K리그 주니어 U-14 | |||||
| i리그 U-15 | ||||
U-12 | | 전국초등축구리그 | 초등 리그 | ||
| I리그 U-12 | ||||
U-10 | i리그 U-10 | ||||
U-8 | i리그 U-8 | ||||
여자 | 세미프로 | | 1부 리그 | ||
아마추어 | 춘계한국여자축구연맹전 / 추계한국여자축구연맹전 | 초·중·고·대학 리그 | |||
U-22 | 렛츠플레이 여대생축구클럽리그 | 대학 리그 | |||
폐지 | 전국실업축구연맹전 | 2부 리그 | |||
| 3부 리그 | ||||
| | 4부 리그 | |||
| 5부 리그 | }}}}}}}}} |
K3·4리그 | ||
| ||
<colbgcolor=#12204c><colcolor=#ffffff> 정식 명칭 | K3·4리그 | |
영문 명칭 | K3·4 League | |
종목 | 축구 | |
창설 | 2020년([age(2020-01-01)]주년) |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명칭 변천 | K3리그 (2007~2008) 챌린저스 리그 (2009~2013) K3 챌린저스리그 (2014)[1] K3리그 (2015~2019) K3·4리그 (2020~ ) | |
주관 | 대한축구협회 | |
구성 | K3리그 (3부) K4리그 (4부) | |
웹 사이트 | 대한축구협회 K3 K4리그 JoinKFA |
[clearfix]
1. 개요
대한축구협회에서 주최하는 대한민국의 3, 4부 축구 리그이자 세미프로 축구 리그인 K3리그와 K4리그를 편의상 통칭하는 표현이다.[2] 이 두 리그는 K3리그 어드밴스, K3리그 베이직 2개 리그로 나뉘었던 부분적 세미프로 리그 구 K3리그와 실업 리그 내셔널리그가 2020년에 통합해 개편한 리그다.
2. 출범 과정
K리그 승강제 및 K3리그, K4리그 문서의 '역사' 문단 참조.2016년, 대한체육회와 대한축구협회는 프로와 아마추어를 아우르는 통합 축구 클럽 리그 디비전 체계를 도입하기로 결정했고 이 결정은 기존 한국 내셔널리그와 舊 K3리그를 K3, K4리그로 재편하기로 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링크
이 결정에 따라서 한국 내셔널리그는 2019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종료했고 기존 한국 내셔널리그와 舊 K3리그 구단 및 신규 창단 구단을 대상으로 2020년 K3·4리그 신청을 받았다. 링크
이 중 우선적으로 내셔널리그 구단은 전부 상위 리그인 K3에, 신규 창단 구단은 전부 하위 리그인 K4에 편성했다. 링크
舊 K3리그 구단에 대해서는, 원래 K3리그 참가를 신청한 곳이 많으면 舊 K3리그의 지난 시즌 성적 순으로 리그에 참가할 구단을 나누려고 했으나 K3리그 클럽 라이선스 자격 요건이 까다로워서 그런지 K3리그에 신청한 곳이 그리 많지 않아서 신청 구단 전부를 원하는 리그에 편성했다.링크
그 결과 2020년 시즌에 한국 내셔널리그 8개 구단과 舊 K3리그 8개 구단이 K3리그에, 舊 K3리그 11개 구단과 신규 창단 2개 구단이 K4리그에 참가해 K3·4리그를 출범시켰다.
3. 산하 리그
3.1. K3리그
3.2. K4리그
4. 승강 플레이오프
5. 시상 내역
6. 기타
- K3리그와 K4리그는 상호간의 승강만 실시한다. K리그2 가입은 전년 K3리그 참여 여부 및 성적과 무관하게 가입 신청 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가입이 가능하며 K4리그의 가입 역시 전년 K5리그 참여 여부 및 성적과 무관하게 가입 신청 후 정해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가입이 가능하다. K4리그 최하위 구단이 K5리그로 강등 당하지 않는다.
- 다만 2026시즌부터는 상위 리그인 K리그2와의 승강제가 시행될 예정이다. 향후에는 K3리그 우승팀이 K리그2 참가 자격(라이센스)을 획득한다면 K리그2 최하위 팀과 자리를 바꾸게 될 수 있다.
- 프로 B팀을 제외한 K3리그와 K4리그 참가 구단은 전국체육대회 출전이 가능하다. 단, 특별시/광역시/도에 연고지를 대표하는 구단이 두 곳 이상 존재할 경우 선발전을 치른다.
- 사회복무요원 선수 참가와 관련한 이슈가 있다. 현 규정상 사회복무요원 선수는 최고 K4리그까지만 참가할 수 있다 보니, 팀이 K3리그로 승격한다면 사회복무요원 선수를 더 이상 기용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구단 입장에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선수를 구하기가 (특히 재정 문제로) 사실상 어렵다보니 K4리그에서는 일부러 승격을 피하려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팀이 적지 않게 보이는 실정이다. 거기다 2024년 이후 K4리그 팀 수의 축소로 인해 선수 입장에서는 팀을 구하기가 쉽지 않게 되는 문제도 있다.
7. 관련 문서
[1] K리그 챌린지 출범으로 인한 명칭 혼동을 피하고자 개칭했는데 이 이름도 헷갈린다고 이듬해 'K3리그'로 또 변경했다.[2] K리그1과 K리그2를 승강제 도입 이전 명칭인 K리그로 묶어 부르는 것이나 K5리그, K6리그, K7리그 등을 디비전리그라고 묶어 부르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가 빠르다. 프로/세미프로/아마추어 각각의 단계에 속하는 모든 리그를 일컫는 단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