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18:42:28

GT 월드 챌린지 아시아

GTWC 아시아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현행 시즌}}}에 대한 내용은 [[GT 월드 챌린지 아시아/2025시즌]]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GT 월드 챌린지 아시아/2025시즌#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GT 월드 챌린지 아시아/2025시즌#|]]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현행 시즌: }}}[[GT 월드 챌린지 아시아/2025시즌]]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GT 월드 챌린지 아시아/2025시즌#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GT 월드 챌린지 아시아/2025시즌#|]]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GT 월드 챌린지 아시아
GT World Challenge Asia
파일:GTWC asia-aws.png
정식명칭 AWS 파나텍 GT 월드 챌린지 아시아
창설년도 2017년 GT 시리즈 아시아
역대 명칭 GT 시리즈 아시아 (2017~2018)
GT 월드 챌린지 아시아 (2019~)
공식 참여회사 BMW, 메르세데스-벤츠, 람보르기니, 아우디
애스턴 마틴, 포르쉐, 페라리, 닛산
타이어 공급업체 피렐리
2024 드라이버즈 챔피언
PRO-AM

파일:중국 국기.svg 안토니 리우 수 파일:벨기에 국기.svg 알레시오 피카리엘로
(포르쉐 911 GT3 R)
[ 파일:홍콩 국기.svg 앱솔루트 레이싱 No.1 ]
SILVER

파일:중국 국기.svg 프랭키 챙 콩푸 파일:중국 국기.svg 애덜리 퐁
(아우디 R8 LMS GT3 EVO II)
[ 파일:중국 국기.svg FAW 아우디 스포트 아시아 레이싱 팀 No.36 ]
SILVER-AM

[Overall]
파일:중국 국기.svg 완 보 파일:중국 국기.svg 레오 예 홍리
(포르쉐 911 GT3 R)
[ 파일:중국 국기.svg 오리진 모터스포트 No.87 ]
AM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데이비드 티집토비안토로
(페라리 296 GT3)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게러지 75 No.75 ]
2024 팀 챔피언 파일:중국 국기.svg 오리진 모터스포트
홈페이지 홈페이지

1. 개요2. 역사3. 대회4. 클래스
4.1. 프로-아마추어(Pro-Am)4.2. 실버(Silver)4.3. 실버-아마추어(Silver-Am)4.4. 아마추어(Am)
5. 대회 방식
5.1. 단거리
6. 엔트리 리스트7. 참고 문서

1. 개요

2013년 SRO에서 출범하고, FIA에서 승인한 GT 월드 챌린지동아시아동남아시아 리그. 또한 이 대회는 다른 월드 챌린지와는 달리 아시아 선수가 팀에서 최소 1명 있어야 한다는 아시아인 필수 제도가 있다.[2][3] 한국인 드라이버로는 2018년 시즌 앱솔루트 레이싱팀에서 활동하던 앤드류 김 선수, 쏠라이트 인디고 레이싱에서 활동하던 서주원 선수[4], 역시 같은 팀에서 2019년까지 감독 겸 선수로 활동하던 최명길[5] 선수가 있었다.

GT3팀은 중국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근소한 차이로 일본이 뒤따르고 있다. 대한민국 팀은 쏠라이트 인디고 레이싱팀이 유일하게 존재하였으나 2020년 엔트리에 등록하지 않았다. 알려진 이야기에 의하면 경주차를 다른 팀에 매각하고 TCN-2 경기에[6] 집중한다고. 이후 2024년부터 볼가스 모터스포츠포르쉐 911 GT3 R로 실버-AM 클래스에 참가하게 된다. 실버아마 클래스 출전이며 라인업은 김재현, 한민관.

2. 역사

사실 2000년대까지만 해도 아시아에서만 치르는 국제 레이싱 시리즈란 건 존재하지 않았다. 그나마 있는 게 태국에서도 경기하는 슈퍼 GT 정도. 또한 유럽 대회인 GT 스프린터 컵이 아시아에서 몇 경기 열리긴 했다.

그러다 2010년 GT 아시아 시리즈를 출범했고, 중국, 태국, 일본, 말레이시아를 돌면서 하게 되는 시스템을 채택했다. 그러나 2016년을 끝으로 차이나 GT 챔피언십으로 흡수되면서 완전히 끝난 듯 싶었다.

이 때 SRO 그룹이 2017년 아시아 모터스포츠 시장을 개척하자는 취지로 아시아 대회인 블랑팡 GT 시리즈 아시아를 출범했고, 이어 2019년부터 유럽과 같이 월드 챌린지로 흡수되며 GT 월드 챌린지 아시아라는 이름으로 개명했다. 2020년부터는 aws와 타이틀 스폰서 계약을 체결했다.

3. 대회

일본에서 4번, 그 외 국가에서 2번 열린다. 아무래도 아시아에서 서킷이 차고 넘치는 게 일본이라 GT 월드 챌린지 아메리카급 편중이 일어난 듯하다.

4. 클래스

GT 월드 챌린지 7개 클래스 중 프로-Am, 실버, 실버-Am, 아마추어의 4개의 클래스로 운영된다.

또한 클래스 구분 상관없이 차량당 아시아권 국적의 드라이버가 반드시 1명 포함되어야 한다.

4.1. 프로-아마추어(Pro-Am)

<colbgcolor=#fff>
PRO-AM
프로-아마추어 클래스
파일:jmr888.jpg
트리플 에이트 JMR의 메르세데스-AMG GT3 EVO

4.2. 실버(Silver)

<colbgcolor=#999>
SILVER
실버 클래스
파일:faw36.jpg
FAW 아우디 스포트 아시아 레이싱 팀의 아우디 R8 LMS GT3 EVO II

4.3. 실버-아마추어(Silver-Am)

<colbgcolor=#3333cc>
SILVER-AM
실버-아마추어 클래스
파일:vol44.jpg
볼가스 모터스포츠포르쉐 911 GT3 R

4.4. 아마추어(Am)

<colbgcolor=#990000>
AM
아마추어 클래스
파일:g75.jpg
게러지 75의 페라리 296 GT3

5. 대회 방식

5.1. 단거리

등수 1 2 3 4 5 6 7 8 9 10
승점 25 18 15 12 10 8 6 4 2 1

6. 엔트리 리스트

파일:GTWC asia-aws.png
2025 GTWC 아시아 참가 팀 및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0px -11px"
{{{#!wiki style="margin: 0 0px 0px"
{{{#!folding [Pro/Am]
Pro/Am
No. 소속 차량 드라이버 클래스
2 파일:중국 국기.svg 클라이맥스 레이싱 메르세데스-AMG GT3 EVO 파일:중국 국기.svg 저우비황 Pro/Am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랄프 아론
4 파일:중국 국기.svg 오리진 모터스포트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덴마크 국기.svg 바스티안 부스
파일:중국 국기.svg 웨이 루
파일:벨기에 국기.svg 알레시오 피카리엘로
5 파일:일본 국기.svg 플러스 with BMW M 팀 스터디 BMW M4 GT3 EVO 파일:일본 국기.svg 아라 세이지
파일:일본 국기.svg 야먀구치 토모히데
10 파일:국기.svg GTO 레이싱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대만 국기.svg 브라이언 리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멘젤
13 파일:중국 국기.svg 팬텀 글로벌 레이싱 아우디 R8 LMS EVO II 파일:중국 국기.svg 애덜리 퐁
파일:국기.svg 미정
18 파일:일본 국기.svg 포르쉐 센터 오카자키 나인 레이싱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일본 국기.svg 코타카 카즈토
파일:일본 국기.svg 나가이 히로아키
파일:일본 국기.svg 시노하라 타쿠로
19 파일:중국 국기.svg 앱솔루트 코르사 람보르기니 우라칸 GT3 EVO2 I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리스 스피넬리
파일:국기.svg 미정
31 파일:홍콩 국기.svg 크래프트-밤부 레이싱 메르세데스-AMG GT3 EVO 파일:호주 국기.svg 제이든 오제다
파일:중국 국기.svg 치 챠오
37 파일:중국 국기.svg 팬텀 글로벌 레이싱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중국 국기.svg 앤서니 리우 수
파일:프랑스 국기.svg 도리안 보콜라치
46 파일:중국 국기.svg 아우디 스포트 아시아 팀 팬텀 아우디 R8 LMS GT3 EVO II 파일:중국 국기.svg 바오 진룽
파일:독일 국기.svg 마르쿠스 빈켈호크
6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얼 밤버 모터스포트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아드리안 실바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딜런 페레이라
66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조호르 모터스포츠 레이싱 팀 콜벳 Z06 GT3.R (C8)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툰쿠 이스칸다르 압둘 잘릴 아부 바카르 이브라힘
파일:호주 국기.svg 조던 러브
99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툰쿠 압둘 라만 하사날 제프리
파일:영국 국기.svg 알렉산더 심즈
87 파일:중국 국기.svg 오리진 모터스포트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중국 국기.svg 레오 예 홍리
파일:중국 국기.svg 위안 보
98 파일:중국 국기.svg 앱솔루트 코르사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안데르손 타노토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바티스타 지메나우어
321 파일:중국 국기.svg 앱솔루트 레이싱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중국 국기.svg 리 쑤안 유
파일:중국 국기.svg 우 웬룽
911 파일:중국 국기.svg 앱솔루트 레이싱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중국 국기.svg 왕 중 웨이
파일:프랑스 국기.svg 패트릭 필레
}}}}}}
[SILVER]
||<-8><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silver> Silver ||
No. 소속 차량 드라이버 클래스
16 파일:홍콩 국기.svg UNO 레이싱 아우디 R8 LMS GT3 Evo II 파일:홍콩 국기.svg 숀 통 Silver
파일:홍콩 국기.svg 리오 마
44 파일:중국 국기.svg 클라이맥스 레이싱 메르세데스-AMG GT3 Evo 파일:중국 국기.svg 링 캉
파일:중국 국기.svg 야치 장
45 파일:중국 국기.svg FAW 아우디 스포트 아시아 팀 팬텀 아우디 R8 LMS GT3 EVO II 파일:중국 국기.svg 프랭키 쳉 콩푸
파일:중국 국기.svg 제임스 우 콰이
77 파일:홍콩 국기.svg 크래프트-밤부 레이싱 메르세데스-AMG GT3 Evo 파일:중국 국기.svg 량지야퉁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다니알 프로스트
96 파일:중국 국기.svg 윈히어 하모니 레이싱 페라리 296 GT3 Evo 파일:중국 국기.svg 데이비드 첸 웨안
파일:중국 국기.svg 앤디 뎅 이

[SILVER/Am]
||<-8><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66ff> SILVER/Am ||
No. 소속 차량 드라이버 클래스
13 파일:중국 국기.svg 팬텀 글로벌 레이싱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중국 국기.svg 쑨 징쭈 Silver/Am
파일:홍콩 국기.svg 애덜리 퐁
25 파일:일본 국기.svg 포르쉐 센터 오카자키 - NK 레이싱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일본 국기.svg 우치야마 키요시
파일:일본 국기.svg 콘도 츠바사
파일:일본 국기.svg 카미무라 유타
29 파일:중국 국기.svg 앱솔루트 레이싱 람보르기니 우라칸 GT3 EVO2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아카시 닐 낸디
파일:중국 국기.svg 황뤄한
3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볼가스 모터스포츠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찬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민관
55 파일:중국 국기.svg 윈히어 하모니 레이싱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중국 국기.svg 류항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렌초 파트레제
86 파일:중국 국기.svg 오리진 모터스포트 포르쉐 911 GT3 R (992) 파일:덴마크 국기.svg 안더스 요르드바흐
파일:중국 국기.svg 이 케룽
89 파일:중국 국기.svg 팀 KRC BMW M4 GT3 EVO 파일:중국 국기.svg 토니 롼춘판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맥심 오스텐
500 파일:일본 국기.svg 팀 5ZIGEN 닛산 GT-R GT3 파일:일본 국기.svg 카나마루 유우
파일:일본 국기.svg 타카미 모토키

[Am]
||<-8><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cc0000> Am ||
No. 소속 차량 드라이버 클래스
8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얼 밤버 모터스포트 메르세데스-AMG GT3 EVO 파일:호주 국기.svg 마틴 베리 Am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세티아완 산토소
30 파일:마카오 국기.svg 엘레강트 레이싱 팀 메르세데스-AMG GT3 EVO 파일:마카오 국기.svg 류 릭 카
파일:독일 국기.svg 라이놀드 렝거
51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AMAC 모터스포트 포르쉐 911 GT3 R (991.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앤드류 맥페르손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윌리엄 벤 포터
60 파일:일본 국기.svg LM코르사 페라리 296 GT3 파일:일본 국기.svg 와키사카 시게카즈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니시 케이
75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개러지 75 페라리 296 GT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크리스티안 콜롬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데이비드 티집토비안토로


}}}}}}}}} ||

7. 참고 문서



[Overall] 오버롤 챔피언[2] 이 때문에 아시아에서는 인터컨티넨탈 GT 챌린지와 겸하는 라운드가 없다. 유럽과 아메리카는 각각 스파와 인디애나폴리스가 해당.[3] GT 월드 챌린지 오스트레일리아라는 별도 대회가 있는 오세아니아의 호주도 아시아로 취급된다.[4] 현재 슈퍼레이스 슈퍼 6000 클래스의 로아르 레이싱 감독 겸 드라이버인 그 서주원이 맞다.[5] 영문명인 ROELOF BRUINS로 등록했다. 2020 시즌에 아트라스비엑스 모터스포츠로 국내 복귀.[6] TCR 투어링 카라고 하는 그것이다. 그럼 1은 무엇이냐고 할 수 있는데, TCN-1은 NGTC(차세대 투어링카)라고 불리며 브리티시 투어링 카 챔피언십에서만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