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의 영화}}}에 대한 내용은 [[프리퀀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프리퀀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프리퀀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WayV의 미니 6집}}}에 대한 내용은 [[FREQUENCY(WayV)]]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FREQUENCY(WayV)#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FREQUENCY(WayV)#|]]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의 영화: }}}[[프리퀀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프리퀀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프리퀀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WayV의 미니 6집: }}}[[FREQUENCY(WayV)]]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FREQUENCY(WayV)#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FREQUENCY(WayV)#|]]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
공식 홈페이지프롬 소프트웨어의 음악/사운드 팀 인원들로 구성된 밴드. 명칭의 기원은 주파수 또는 주기를 이르는 영단어 Frequency. 곡을 발표하는 자사 레이블은 FROM SOUND RECORDS이다.
2. 멤버
- 호시노 코타
사운드 팀 대표 겸 보컬/베이스 담당. 16세 때 신시사이저를 입수한 것을 계기로 독학으로 음악을 시작했다. 레드 핫 칠리 페퍼스. 라디오헤드, 마일즈 데이비스, 존 콜트레인, 모차르트, 비발디 등에게서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이에 따른 넓은 식견을 통해 작곡에서의 장르를 크게 따지지 않고 여러 가지 음악을 다양하게 써내면서도 자기 색을 거의 잃지 않는 희한한 인물이다. 그의 음악 장르에 대해 물어보는 질문에 대해 "내가 만드는 음악 장르는 그냥 '아머드 코어'다."라고 대답할 정도. 덕분에 자신의 이름으로 내는 음반은 모두 아머드 코어 시리즈 관련으로, 프롬 소프트웨어에서도 꽤나 열심히 밀어 주는 모양. 그 외 에버그레이스, 크롬하운즈, 메탈 울프 카오스 등에도 참여.
- 사이토 츠카사
드럼 담당. 아머드 코어는 물론이고 프롬 소프트웨어의 주요 작품에서 퀄리티 높은 곡들을 만들었다. 호시노 코타와 마찬가지로 프롬에서 직접 설정을 듣고 작사를 하기에 곡에 설정이 녹아나는 경우가 많다. 영어 가사를 쓰는 호시노와 달리 라틴어 가사를 쓴다는 것도 특이한 점.
- 스에나가 고이치
기타 담당.
- 타카야마 요시카즈
기타 및 그 외 악기 일부 담당.
- 키타무라 유카
바이올린 담당. 2011년 입사, 2012년에 팀에 함류한 여성 멤버. 현악기가 특징으로[1] 아머드 코어 V부터 엘든 링까지 주요 작품에 참여하였으며 작품과 어울리는 분위기와 상당히 높은 완성도를 지닌 곡들을 작곡하여 큰 호평을 받았다. 성악 쪽에도 일가견이 있는지 본인이 작곡한 수도녀 프리데, 노예기사 게일 주제곡에 본인 목소리를 사용했다.
아머드 코어 20주년 방송에서 아머드 코어 V의 OST인 'V'를 입사곡, 'Vulture'를 점심 때 즐겨들었다고 하여 팬이 'Stain'은 퇴사곡이냐고 물으니 저녁식사 테마곡이라고. 엘든 링까지 작업한 후 2023년 8월 1일 프롬 소프트웨어에서 퇴사하여 프리랜서가 되었음을 밝혔다. # 이후에는 명일방주 OST에 참가, 에피소드 14 삽입곡인 RATIO ULTIMA와 Succession, Cries of Cinderbringer를 작곡했다.
- 스즈키 노부요시
기타 담당. 2014년 합류한 후 닌텐도로 이직.
- 미야자와 쇼이
기타, 매니퓰레이트 담당. 2016년에 들어온 막내로 Déraciné로 작곡을 시작했다.
3. 음반
- Armored Core Original Best Track: 1998년
- Armored Core 2 Original Soundtrack: 2000년
- Evergrace Original Soundtrack: 2000년
- Armored Core 3 Original Soundtrack: 2002년
- Armored Core 3 Silent Line Soundtrack Book: 2003년
- Armored Core Nexus Original Soundtrack: 2004년
- Armored Core 4 Original Soundtrack: 2006년
- Armored Core for Answer Original Soundtrack: 2008년
- Armored Core REPRISES: 2011년
- Armored Core V Original Soundtrack: 2012년
- SUNRISE: 2013년
- Armored Core Verdict Day Original Soundtrack: 2013년
- Day After Day: 2014년
- ARMORED CORE VI FIRES OF RUBICON (Orignal Game Soundtrack): 2023년
4. 여담
곡에 가사가 있을 경우 주로 영어인데, 영문법에는 일단 전혀 들어맞지 않거나 Spilit of Motherwill처럼 오탈자가 나기도 한다.[2] 가사가 그냥 단어들만 나열한다기보다는 무언가 게임 내에서 주어지는 의미를 담고 있어서 영어로는 안 되는데 일본어로 강제 번역하면 해석이 가능한 경우가 또 많다.팀명 FreQuency는 아머드 코어 버딕트 데이에서 표준 2각 파츠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는데, 이 때 본래 파츠 명칭이 Frequency인 것을 본 호시노 코타 씨가 즉각 q를 Q로 수정해줄 것을 요청, 직후 "성능 괜찮습니까?"라고 물어보았다는 일화가 있다.[3] DLC로 하이 디테일 파츠가 나오기도 하고 그렇지 않더라도 상당히 초반부터 획득 가능하기에 상당히 친숙할 수밖에 없는 파츠.
호시노 코타 본인이 보컬을 맡는 경우가 많은데, 라이브를 할 때 발성 면에서 삑사리가 나는 경우가 있어 코타로이드라는 별명이 붙어 있다. 게다가 2017년 12월 4일 방영된 AC 20주년 기념 방송에서 언급해 버리는 바람에 공식화.
[1] 합류 이후의 FreQuency 제작 음악에서 가끔 바이올린이 길게 삽입되었는데, 아머드 코어 버딕트 데이의 Day After Day 도입부의 강렬한 바이올린 선율이 유명하다.[2] 노래의 가사의 원류가 본질적으로는 시와 같은 운문인 점을 감안하더라도 그렇다.[3] 해당작 신규 파츠 중 꽤 쓸 만한 속도와 장갑을 겸비한 부품이라 채용률이 높다. 더구나 주연급 기체라 할 수 있는 VD의 (설정상) 주인공 기체와 매그놀리아 커티스의 기체는 공통적으로 이 다리에 코어는 말리셔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