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8 08:04:48

차이나모바일

CMLink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25년 4월 4일 기준 CompaniesMarketCap 집계
순위 기업 시가총액 (USD)
1 파일:텐센트 로고 블루.svg파일:텐센트 로고 화이트.svg 5,460.5억
2 파일:중국공상은행 로고 가로 단순.svg파일:중국공상은행 로고 가로 단순 화이트.svg 3,161.7억
3 파일:알리바바 그룹 로고.svg 2,784.6억
4 파일:마오타이 오성 로고.png 2,706.8억
5 파일:중국농업은행 로고.svg파일:중국농업은행 로고 화이트.svg 2,471.4억
6 파일:차이나모바일 로고.svg 2,351.5억
7 파일:중국건설은행 로고.svg 2,253.6억
8 파일:중국은행 로고.svg 2,133.9억
9 파일:페트로차이나 로고.svg 1,981.8억
10 파일:비야디 자동차 CI.svg 1,481.1억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상위 25위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중국 상위 10위 ·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영국 상위 10위 · [[대한민국|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연합 상위 20위 · [[유럽연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코스피 상위 25위 · 코스닥 상위 25위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의 이동통신사
중국 본토 홍콩 특별행정구 마카오 특별행정구
파일:차이나모바일 로고.svg
파일:차이나유니콤 로고.svg 파일:SmarTone 로고.svg
파일:차이나텔레콤 로고.svg 파일:3(이동통신사) 로고.svg
파일:1a1fc462f768f6f.jpg 파일:CSL 로고.svg 파일:CTM 로고.svg
<colbgcolor=#226699><colcolor=#fff> 中国移动通信集团有限公司
China Mobile Group Corporation Ltd
중국이동통신
파일:차이나모바일 로고.svg
정식 명칭 중국이동통신집단유한공사
종류 중앙국유기업(공기업)&유한공사(주식회사)[1]
별칭 CMCC
차이나모바일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본사 소재지 베이징시 시청구 진룽다제(금융대가) 29
北京市西城区金融大街29号
창립년일 2000년 4월 20일
업종 통신업
사업영역 유선전화망, 이동전화망, 인터넷서비스
사업지역 중국본토, 홍콩, 마카오
서비스
이동통신
2세대 GSM, 3세대 TD-SCDMA
4세대 LTE-TDD
5세대 NR
대표 양지에(楊杰)
슬로건 从心脏沟通。在移动通信行业专家
(마음으로부터의 의사소통. 이동통신업계의 전문가)
자본금 7조 2,740억 위안
상장 정보 중국이동통신집단유한공사: 비상장기업
중국이동통신유한공사: 상장기업
상장 시장 상하이증권거래소 600941
홍콩증권거래소 0941
주주 중국이동통신집단유한공사: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 100%
중국이동통신유한공사: 중국이동통신집단유한공사 72.72%
공식
사이트
파일:차이나모바일 로고.svg중국본토(간체)
파일:차이나모바일 로고.svg홍콩(영문)
1. 개요2. 이동통신 사업
2.1. 해외 진출
3. 기타4. 차이나모바일이 지분투자한 회사

1. 개요

중국이동(中国移动)

세계 최대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는 이동통신사. 중국 대륙 즉 본토와 홍콩, 마카오의 이동통신 사업자이다. 단 AT&T미국, 멕시코에서 모두 영업을 하고 있어도 로밍해야 하는 것처럼 로밍은 해야 넘어가 쓸 수 있다. 로밍 값이 저렴하고 포켓 와이파이도 그대로 쓸 수 있단 정도가 장점이다.

2. 이동통신 사업

중국 대륙홍콩, 마카오에서 이동통신 사업을 벌이고 있으며 중국본토 내 1위 사업자이며 중국 내로 국한시키지 않아도, 전 세계 1위 사업자이다. 미국-멕시코에 걸쳐 영업하는 AT&T와 같다. 물론 당연히 로밍해야 서로 넘어가서 쓸 수 있다. 로밍요금이 같은 통신사라서 쌀 뿐이다.

주가 되는 3세대 이동통신의 경우 중국에서는 TD-SCDMA를 서비스한다. 국제 규격이지만, 전 세계에서 차이나모바일 밖에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2세대 이동통신으로 GSM 900 / 1800 MHz를 사용하기 때문에 글로벌 로밍이 가능하다. 한국의 KT와 일본의 NTT 도코모하고 협정을 체결했기에 이 둘의 이용자가 중국에 입국시 로밍을 이용할 수 있다.

4세대 이동통신으로는 TD-LTE 1900 (band 39) / 2000 (band 34)[2] / 2300 (band 40) / 2500 (band 41)[3] MHz로 서비스하고 있다.

2015년 말에 VoLTE를 상용화를 시작하였다. 원문 영어 번역

5G 망의 경우 차이나텔레콤차이나유니콤이 공동으로 망 구축을 한 것 처럼 중국광전네트워크공동으로 망 구축을 한다.

2.1. 해외 진출

후술하겠지만 해외진출을 위해 CMLink라는 브랜드를 신설하였다.

3. 기타

4. 차이나모바일이 지분투자한 회사


[1] 중국 내부에서는 일단 공기업, 즉 중앙국유기업이나 일단은 형식상으로는 차이나모바일 내부에 주주가 있기에, 유한공사(주식회사)로 분류한다. 또한 일국양제인 홍콩 특별행정구와 마카오에서는 형식상이 아닌 진짜로 유한공사(주식회사)로 등록한다.[2] 1900 / 2000 대역은 TD-SCDMA 대역을 쪼개서 서비스하는 것이다. 즉 장기적으로 TD-SCDMA는 서비스 품질이 나빠질 거란 얘기되겠다.[3] 주파수 대역이 band 38을 포함하고 있어서 band 38 지원 기기로도 통신이 가능하다.[4] 중국 출시 기기 중 3G TD-SCDMA를 지원하는 기기를 해외 직구해와서 사용하거나, 아니면 아이폰 5s 중에서 모델명 A1530을 가진 모델, 아이폰 6 & 아이폰 6 Plus이상의 iPhone 시리즈 및 갤럭시 S7, 갤럭시 S7 엣지와 갤럭시 S7 액티브 모델 이상의 갤럭시 S 시리즈를 사용할 때 가능하다.[5] 중국에서는 이통사 회장들이 나라 이통사에 대해 발전이나 통신 시장에서의 중대한 공헌이나 성과 여부에 따라 국무부에서 심사하여 정년퇴직으로 인해 회장 이.취임식을 할 때 전임 회장에 감사장을 수여를 하도록 되어있다.[6] 착각하기 쉽지만 CMLink의 SIM과 eSIM은 해당 국가의 SIM이 아니라 중국 SIM이다. 때문에 PLMN을 조회해보면 46000으로 뜨며 국가 코드(country ISO Code)도 CN으로 뜬다. 즉 중국 SIM에 각국 이동통신사로 로밍이 되는 구조이다. 실제로 SIM을 꽂거나 eSIM의 경우 개통 과정으로 기기의 IMEI, SEID, EID등의 고유 정보가 마카오에 위치한 차이나모바일 서버로 전송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심지어 SIM Toolkit이라는 이름으로 멋대로 앱을 설치하기도 한다. 유출되거나 설치되는 앱이 상기한 것 이외에 더 있을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