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17:00:28

세종 버스 B0

B0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CB2B2B><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
[[틀:세종특별자치시의 BRT|{{{#!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B2B2B; font-size: 14px"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바로타 BI_white.svg
자율주행
}}}}}}}}} ||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fff><tablewidth=310>
파일:바로타 BI.svg
행복도시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B0
내부순환 BRT
B1
대전역 - 오송역
[[세종 버스 B2|B2
오송역 - 반석역

정부세종청사(서)
]]
B3
청주국제공항 - 세종터미널
[[세종 버스 B4|B4
오송역 - 반석역

세종시청(동)
]]
B5
내부순환 보조BRT
B6
세종터미널 - 오송역
B7
집현동 - 비하종점
B8[개통예정]
한별동 - 공주터미널
[개통예정] 2026년 상반기 개통 예정
}}}}}}}}} ||
파일:세종 B0번 수소차량.jpg
파일:Sejong BRT B0 Outer circle line.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4.2. 시간표4.3. 노선
5. 연계 철도역

1. 개요

2018년 2월 3일에 개통한 세종특별자치시 바로타 노선. 세종도시교통공사가 운영하며 왕복 운행거리는 46km, 표정속도는 39.4km/h이다.

2. 노선 정보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BRT B0번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세종 바로타 B0 노선도.svg}}}}}}}}}
기점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세종버스터미널) 종점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세종버스터미널)
내선순환[1] 첫차 05:38 외선순환[2] 첫차 05:33
막차 00:43 막차 00:38
배차간격 4~15분 (1일 112회)
운수사명 세종도시교통공사 운행대수 12대[3]
노선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한솔동 - 새롬동·나성동 - 다정동 - 정부세종청사 - 도담동 - 해밀동,산울동 - 누리동 - 용호동 - 다솜동 - 산학연클러스터 - 집현동 - 반곡동 - 국책연구단지 - 소담동 - 세종시청·교육청·시의회 - 보람동·대평동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자율주행 실증 노선(이용불가) #===
아래 노선은 자율협력주행기술 실증용 노선으로써, 실제로는 여객영업을 실시하지 않는다.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BRT 자율C1~2번
기점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세종버스터미널) 종점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세종버스터미널)
C2[4] 첫차 10:15 C1[5] 첫차 10:00
막차 15:45 막차 16:00
배차간격 C1: 6회, C2: 3회
운수사명 세종도시교통공사 인가대수 ?대
노선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한솔동 - 새롬동.나성동 - 다정동 - 정부세종청사 - 도담동 - 세종충남대학교병원 - 해밀리 - 한별리 - 누리리 - 다솜리 - 산학연클러스터 - 집현리 - 반곡동 - 국책연구단지 - 법원.검찰청 - 소담동 - 세종시청 - 대평동 -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3. 역사

4. 특징

대전시 청주시 천안시 세종시
가장 빠른
첫차
1
05:25
511
05:17
1, 14
06:00
B2
05:00
가장 늦은
막차
B1
23:45
747
24:35
10
03:00
B0
24:43

4.1. 일평균 승차량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BRT B0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8년 1,109.49
2019년 2,063.03 △ 953.54
2020년 2,214.66 △ 151.63
2021년 3,244.14 △ 1,029.48
2022년 4,008.97 △ 764.83
2023년 4,215.32 △ 206.35
2024년 4,460.91 △ 245.59

4.2. 시간표

상하행 양방향 모두 해당 시간에 맞추어 동시 출발하며, 완전순환 개통 전 시간표는 147번째 리비전을 참고.
개선 이전 시간표는 172번째 리비전을 참고.
세종 버스 B0번 운행시간표
2024년 5월 11일 기준 / 출처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정부청사 방향 (내선) 시청 방향 (외선)
첫차 05:38 / 막차 24:43 / 편도 112회 첫차 05:33 / 막차 24:38 / 편도 112회
5시 38 48 58 5시 33 43 53
6시 08 18 33 43 58 6시 03 13 28 38 53 58
7시 03 13 23 33 38 43 47 57 7시 08 18 28 33 38 42 52
8시 07 17 27 31 41 51 8시 02 12 22 26 36 46 56
9시 01 11 26 41 51 58 9시 06 21 36 46 53
10시 06 21 31 41 46 10시 01 16 26 36 41 56
11시 01 11 21 33 43 58 11시 06 16 28 38 53
12시 13 23 33 43 53 12시 08 18 28 38 48 58
13시 03 13 23 33 43 53 13시 08 18 28 38 48 58
14시 03 13 23 33 43 58 14시 08 18 28 38 53
15시 13 23 33 43 53 15시 08 18 28 38 48 58
16시 03 13 23 33 43 53 16시 08 18 28 38 48 58
17시 03 13 17 27 37 47 57 17시 08 12 22 32 42 52 56
18시 01 11 21 31 41 56 18시 06 16 26 36 51
19시 11 23 36 48 19시 06 18 31 43 58
20시 03 13 28 43 53 20시 08 23 38 48 58
21시 03 13 23 33 43 53 21시 08 18 28 38 48 58
22시 03 13 23 33 43 53 22시 08 18 28 38 48 58
23시 03 13 23 33 43 53 23시 08 18 28 38 48 58
24시 03 13 23 33 43 24시 08 18 28 38
파란색으로 굵게 표시된 시간대는 순환
밑줄 표시된 시간대는 지하정류장 출발
}}}

4.3. 노선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BRT B0번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B0(터미널)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지상)
51012 · 51011
대평동
57018
대평동
57017
보람동.대평동
51107
보람동.대평동
51110
시청,시의회,교육청,세무서
51111
시청,시의회,교육청,세무서
51112
소담동 새샘마을
51117
소담동 새샘마을
51115
법원.검찰청,경찰청
57019
법원.검찰청,경찰청
57020
국책연구단지
57021
국책연구단지
57025
반곡동(수루배마을)
57024
반곡동(수루배마을)
57023
집현동
57030
집현동
57029
산학연클러스터
57028
산학연클러스터
57027
다솜동
64011
다솜동
64012
용호동
64109
용호동
64108
누리동
34057
누리동
31073
한별동
31053
한별동
31054
해밀동,산울동
31055
해밀동,산울동
31056
세종충남대학교병원
52065
세종충남대학교병원
52064
도담동
52009
도담동
52008
정부세종청사북측
52036
정부세종청사북측
52033
정부세종청사남측
52030
정부세종청사남측
52029
다정동
52018
다정동
51015
새롬동.나성동
51009
새롬동,나성동(청소년센터)
51007
한솔동
51049
한솔동
51048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지하)
51122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지하)
51121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지상)
51011 · 51012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B0(순환)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지하)
51122 · 51121
대평동
57018
대평동
57017
보람동.대평동
51107
보람동.대평동
51110
시청,시의회,교육청,세무서
51111
시청,시의회,교육청,세무서
51112
소담동 새샘마을
51117
소담동 새샘마을
51115
법원.검찰청,경찰청
57019
법원.검찰청,경찰청
57020
국책연구단지
57021
국책연구단지
57025
반곡동(수루배마을)
57024
반곡동(수루배마을)
57023
집현동
57030
집현동
57029
산학연클러스터
57028
산학연클러스터
57027
다솜동
64011
다솜동
64012
용호동
64109
용호동
64108
누리동
31057
누리동
31073
한별동
31053
한별동
31054
해밀동,산울동
31055
해밀동,산울동
31056
세종충남대학교병원
52065
세종충남대학교병원
52064
도담동
52009
도담동
52008
정부세종청사북측
52036
정부세종청사북측
52033
정부세종청사남측
52030
정부세종청사남측
52029
다정동
52018
다정동
51015
새롬동.나성동
51009
새롬동,나성동(청소년센터)
51007
한솔동
51049
한솔동
51048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지하)
51122 · 51121
}}}}}}}}} ||

5. 연계 철도역

없음.


[1] 정부세종청사>누리동>세종시청, 시계 방향.[2] 세종시청>누리동>정부세종청사, 반시계 방향.[3] 외선순환(반시계방향): 6대, 내선순환(시계방향): 6대. 방향별 굴절버스 4대, 일반저상버스(수소차량 포함) 2대.[4] 정부세종청사>누리리>세종시청, 시계 방향[5] 세종시청>누리리>정부세종청사, 반시계 방향[6] 2013년도 제3차 시내버스 노선개편 알림(정부청사2단계, 대우푸르지오A 등), 2013-11-29, 세종특별자치시[7] 시내버스 노선개편 알림(2014.2월 시행), 2014-02-06, 세종특별자치시[8] 세종시 내부순환 BRT 노선 개통... 3일 첫 운행, 2018-02-02, 뉴시스[9] 세종시 내부순환 BRT 노선 개통, 2018-02-02, 뉴시스[10] 세종시 '광역버스 노선' 확대 요구, ‘4생활권’으로 확산, 2019-04-25, 세종포스트[11] 〔세종시 시문시답〕4생활권 교통계획 및 버스증설은?, 2019-04-25, 충청뉴스[12] 지하정류장으로 통합해버리면 내선순환 기지입고차량이 대평동에서 운행을 종료해야하고, 외선순환 운행시작하는 차량이 대평동에서 운행을 시작해야한다.[13] 이는 세종시 유튜브에 업로드된 BRT 소개 영상에서 한 시민이 건의한 것이 적용된 것이다.[14] 일렉시티 스펙 상 최고 속도이기도 하다.[15] 07:00~09:00, 17:00~19:00에는 모든 문으로 승차 가능.[16] 라곤 하지만 서울 지하철 2호선을 자주 탄다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17] 도착 정보 안내판 기준으로는 B0(터미널)이라고 써있다.[18]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순환 노선도 있지만 기지 입고를 위한 성수행, 신도림행이 존재하는 것과 유사.[19] 7:25착-7:30발 / 7:35착-7:40발 / 7:45착-7:50발[20] 이전에는 B2번의 00:30 막차가 가장 늦었으나 2021년 4월 1일 시간표 개정으로 B0번에 00:40 막차가 신설되면서 타이틀을 뺏어왔고, 2024년 5월 11일에 시간표 개정으로 3분 더 늦어졌다.[21] 충청권 통틀어서는 천안 10번이 새벽 3시로 가장 막차가 늦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