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p1="style=\"display: flex; width: min(calc(100% / 4), 100px); height: 95px; padding-bottom: 5px; border-radius: min(10px, 1.5vw); flex-grow: 1; background: #f5f5f7\" dark-style=\"background: #272829\""
#!if p2="style=\"margin: auto auto 0\""
- [ 펼치기 · 접기 ]
- ||<-4><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333>하드웨어 제품
#!wiki {{{#!wiki [[Mac(컴퓨터)|[[파일:Mac 심볼.svg|width=80&theme=light]][[파일:Mac 심볼 다크.svg|width=80&theme=dark]][br]{{{#333,#ddd Mac}}}]] }}}
#!wiki {{{#!wiki [[iPhone|[[파일:iPhone 14 Pro 심볼(1).svg|width=20&theme=light]][[파일:iPhone 14 Pro 심볼(1) 화이트.svg|width=20&theme=dark]][br]{{{#333,#ddd iPhone}}}]] }}}
#!wiki {{{#!wiki [[iPad|[[파일:iPad Pro 아이콘 라이트.svg|width=40&theme=light]][[파일:iPad Pro 아이콘 다크.svg|width=40&theme=dark]][br]{{{#333,#ddd iPad}}}]] }}}
#!wiki {{{#!wiki [[틀:Apple 디스플레이 라인업|[[파일:Pro Display XDR 심볼(1).svg|width=55&theme=light]][[파일:Pro Display XDR 심볼 화이트.svg|width=55&theme=dark]][br]{{{#333,#ddd Display}}}]] }}}
#!wiki {{{#!wiki [[Apple Watch|[[파일:Apple Watch 심볼.svg|width=22&theme=light]][[파일:Apple Watch 심볼 다크.svg|width=22&theme=dark]][br]{{{#333,#ddd Watch}}}]] }}}
#!wiki {{{#!wiki [[AirPods|[[파일:AirPods Pro 심볼.svg|width=45&theme=light]][[파일:AirPods Pro 심볼 화이트.svg|width=45&theme=dark]][br]{{{#333,#ddd AirPods}}}]] }}}
#!wiki {{{#!wiki [[Apple TV|[[파일:Apple TV 4K 3rd 심볼.svg|width=42&theme=light]][[파일:Apple TV 심볼 다크.svg|width=42&theme=dark]][br]{{{#333,#ddd TV}}}]] }}}
#!wiki {{{#!wiki [[HomePod|[[파일:HomePod 2세대 심볼.svg|width=60&theme=light]][[파일:HomePod 2세대 심볼 화이트.svg|width=60&theme=dark]][br]{{{#333,#ddd HomePod}}}]] }}}
#!wiki {{{#!wiki [[Apple Vision Pro|[[파일:Vision 심볼.svg|width=60&theme=light]][[파일:Vision 심볼 화이트.svg|width=60&theme=dark]] [br]{{{#333,#ddd Vision}}}]] }}}
#!wiki {{{#!wiki [[AirTag|[[파일:AirTag 심볼.svg|width=50&theme=light]][[파일:AirTag 심볼 다크.svg|width=50&theme=dark]][br]{{{#333,#ddd AirTag}}}]] }}}
#!wiki {{{#!wiki [[Apple/액세서리|[[파일:Magic Keyboard 심볼.svg|width=63&theme=light]][[파일:Magic Keyboard 심볼 화이트.svg|width=63&theme=dark]][br]{{{#333,#ddd 액세서리}}}]] }}}
#!wiki {{{#!wiki [[Apple Silicon|[[파일:Apple Silicon 심볼.svg|width=35&theme=light]][[파일:Apple Silicon 심볼 화이트.svg|width=35&theme=dark]][br]{{{#333,#ddd Silicon}}}]] }}}
기타 단종 제품군|Apple Car | 스티커| 소프트웨어 <colbgcolor=#333><colcolor=#fff>OS iOS | iPadOS | watchOS | macOS | tvOS | visionOS App iOS 앱 | Watch 페이스 AI MLX | Apple Intelligence | OpenELM 디자인 시스템 Aqua | Liquid Glass 서비스 프로그램 Apple Trade In | AppleCare+ | Apple 베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이벤트 Apple 이벤트 | WWDC Apple Store 한국 | 미국 | 일본 | 영국 | 싱가포르 | 태국 | 인도 | 대만 결제 및 구독 Apple One | Apple Pay | Apple Gift Card 캠퍼스 쿠퍼티노 Campus | Apple Park 오스틴 Riata Vista Circle | Austin Campus 관계사 자회사 Beats | Shazam 인물 창업주 CEO 이사회 의장 경영진 이사진 기타
1. 개요
Apple에서 개발자 베타(Developer beta)[1] 이후, 일반인 대상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2] 일반 소비자보다 빠르게 운영 체제를 사용할 수 있고 주로 베타 2가 되면 공개 베타(Public beta)로 풀리는 경우가 있다.[3] 설치하면 피드백이라는 앱이 기본으로 설치된다.[4]2. 운영 방식
새로운 iOS, iPadOS, macOS, tvOS, watchOS가 출시되면 2주 또는 한 달 뒤에 버전 업데이트가 있고 그 뒤에 개발자 베타부터 공개한 뒤 일반인한테도 공개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다. 예전 사례를 보면 보통 한 달 정도 걸렸지만 요즘에는 개발에 집중하고 있어서 그런지 자주 공개되는 편에 속한다. 다만 주의할 점이 있다면 본인이 가지고 있는 기기가 어느 운영 체제까지 지원하는지 꼭 알아야 한다.[5]2.1. 설치 방법
- 홈페이지에서 Apple 계정으로 가입하면 된다.[6]
- 프로파일이 설치되었다면 재시동 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이동한다.[7]
- 업데이트가 완료될 때까지 여유있게 기다려준다.
2.2. 다운그레이드 방법(iOS, iPadOS)
최신 버전이 아닌 그 이하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하고 싶으면 IPSW 파일을 따로 구해야 해서 웬만하면 최신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하는 것이 안전하면서 그나마 쉬운 방법이다. DFU 복구 모드로 돌려서 해도 되지만 iPhone X 이상부터는 버튼을 누르는 타이밍이 중요하기 때문에 어려우니 웬만하면 iTunes 복구 모드로 돌리는 것이 제일 쉽지만 기기에 따라 버튼을 누르는 방법이 다르다.- 백업을 한 경우
- 백업을 안 한 경우
- 여기서 짚고 가야되는 부분은 본인이 따로 백업은 안 했다고 할 지라도 iCloud에 자동으로 백업 되는 경우가 있어서 로그아웃 전에 iCloud에 들어가서 한번 더 백업을 해주는 것을 권장한다. 만약 백업을 하기 싫다면 백업 파일을 지워도 상관 없지만 일부가 유실되면 엄밀히 본인 책임이다. 백업을 하지 않은 경우에도 하는 방법은 동일하다.
2.3. 다운그레이드 방법(macOS)
iOS, iPadOS보다 그나마 쉬운 방법이 존재하는 운영체제는 macOS이다. 참고로 watchOS는 자가 다운그레이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다른 사람들의 리뷰를 보고[10] 업그레이드 할 지 아니면 그대로 둘 지 선택해야 된다. 그리고 macOS는 자동 백업이 아닌 수동 백업을 채택하고 있다. 조심해야 되는 부분은 로그아웃 안 하고 진행할 시 나중에 iOS, iPadOS에서 설정 - 메시지, 설정 - 전화에 들어가면 기기가 2대로 등록되니 반드시 로그아웃해야 된다.[11]- 백업을 한 경우
- 1. 인텔 Mac의 경우, 우선 재부팅을 한 후 Apple 로고가 나오기 전 바로 Command + Option + R을 누르면 인터넷 복구로 들어가게 된다. Apple Silicon Mac은 전원을 끄고 전원 버튼을 꾹 누르면 된다. 간혹 Wi-Fi 인식이 안 되어서 Wi-Fi를 선택하라고 나오는데 걱정할 것 없이 선택해주면 된다. 그렇게 모든 과정이 완벽하게 끝나면 macOS 유틸리티로 들어가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다만 최신 macOS 버전을 가지고 와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빠르면 20분에서 늦으면 30분 정도 걸리니 그 시간에 다른 것을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 2. macOS 유틸리티에 들어왔으면 디스크 옵션에 들어가서 포맷을 해주고[12] 기본 설정 값이 macOS 저널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바꿔줘야지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렇게 끝나면 다시 macOS 유틸리티로 들어와서 Install macOS 항목을 누르고 약관 동의를 한 뒤 설치를 해주면 인터넷 속도에 따라 1시간 30분 - 2시간 정도 뒤에 최신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 된다.
- 백업을 안 한 경우
- iOS, iPadOS와 달리 저장소에 저장되는 정보가 많기 때문에 Time Machine 기능을 지원한다. 별도의 외장하드디스크에 연결하면 백업을 권장하는 멘트가 나오는데 강제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하고 싶은 사람은 하면 되고, 하기 싫은 사람은 안 해도 된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파일이 있으면 클라우드 서비스에 저장해야 파일 유실을 막을 수 있다. 그렇게 하지 않고 초기화를 진행했는데 파일이 유실된다면 본인 책임인 점을 잊지 않아야 한다.
3. 기타
- Apple 지원에서는 개발자 대상으로 이용되는 프로그램이라고 설명한다.
- 보안 기밀이라고 한다. 가입 후 블로그 및 공공게시판 등에 캡쳐를 하면 안 된다고 하니 참고하자. 사실 대놓고 올리기는 한다.[원문]
- 꽤 안정성이 좋지 않은 상황 에서 설치할 경우 예전 같으면 자동 재부팅되는 문제가 있었고 최근 같으면 일부 애플리케이션이 튕기는 문제[14]가 있어서 분노를 일으킬 수도 있으니 리뷰를 반드시 참고해야 된다. 사실 애초에 베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자체가 이러한 앱 문제를 수정하기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다. 사실은 앱이 튕기거나 문제가 발생하는게 당연한 것. 그걸 수정하기 위해 베타가 존재하는 것이니 말이다.
- 정식 버전이 나온 후 한 동안 업데이트가 없는 경우도 있고 아니면 바로 다음 베타 버전을 공개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만약 다음 베타 버전을 설치하기 싫다면 프로파일을 삭제하면 된다. 업데이트 소식을 이메일로 알려주면 좋겠지만 언제 업데이트 될 지 회사 측에서도 잘 모르기 때문에 방심하면 다음 날 아침에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는 경우도 있으니 조심해야 된다.
- 매번 그렇지 않지만 새로운 운영체제가 출시되고 나서 그 다음에 베타 버전이 나오면 대부분 버그 수정을 하는데 만약 그 이전 베타 버전에서 버그가 심각한 경우 그대로 가지고 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설치를 하나 마나 똑같다. 베타 버전 마지막에는 OTA 업데이트를 진행하는데 빌드 넘버가 바뀌지 않는다면 그 버전이 정식 버전이니 안심해도 된다. 새로운 운영체제가 출시되기 전에 나오는 베타 버전은 성능 향상(Performance) 또는 일부 버그 수정, 새로운 이모티콘 또는 기능 추가 등이 이루어진다.
- 베타 버전을 설치하면 앱스토어에 리뷰를 남길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베타 버그를 앱 개발자에게 따지는 일이 많은 듯하다. 물론 개발자 쪽에서 최신 버전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데 간혹 안 하고 넘어갈 때도 있어서 항의하지만 개발자 쪽이 아닌 소프트웨어 문제가 클 가능성이 높다. 예시로 iOS 14 베타 버전에서 초기에는 튕김 현상이 있다가 사라진 경우도 있었다.
[1] 메이저 업데이트(버전의 소수점 앞자리가 바뀌는 업데이트)는 보통 해마다 열리는 WWDC 첫째날에 공개 후 바로 개발자 베타 1을 배포한다. 마이너 업데이트(버전의 소수점 뒷자리가 바뀌는 업데이트)는 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정식 업데이트 배포 직후에 다음 버전의 개발자 베타 1이 배포되는 경우도 있다.[2] 개발자 베타는 비영리 단체, 정부에서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면 수익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무조건 프로그램 가입 비용을 지불해야 된다.[3] 베타 2는 1에서 어느 정도 안정성을 보강하고 출시하는데 반면 개발자 베타와 같이 출시하는 경우도 있다.[4] 정식버전 업데이트될 때까지는 삭제할 수 없고 그대로 둬야 하는 것이 단점이지만 iOS 14 이후부터는 앱 보관함에 넣을 수 있다.[5] 만약 iOS 12까지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기가 있다면 iOS 13 베타 설치는 불가능하다.[6] 설치 튜토리얼은 홈페이지에 있으니 참고하자.[7] 여기서 피드백 앱이 자동으로 설치된다.[8] 현재는 Windows 또는 macOS Mojave 이하 버전에서만 지원한다.[9] 본인 소유 기기인지 확인하기 위한 절차이고 엄밀히 보안상 원칙 사항이다.[10] 영상도 좋지만 블로그에 상세히 적혀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블로그를 추천한다.[11] iMessage, FaceTime은 Apple 계정에서 로그아웃한다고 같이 진행되지 않으니 반드시 확인하고 Apple 계정 로그아웃을 진행해야 된다.[12] 간혹 포맷이 안 되는 경우가 있는데 보기 방식을 전체 보기로 한 뒤 제일 위에 있는 하드디스크 항목을 누르고 포맷을 해줘야 한다. 주의할 점이 있다면 APFS 방식으로 맞춰야 한다.[원문] “ 공개 베타 소프트웨어는 Apple 기밀 정보입니다. 공개 베타 소프트웨어를 사용자가 직접 관리하지 않거나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시스템에 설치하면 안됩니다. 스크린샷을 블로그, 트위터에 올리거나 공개 베타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공공 게시판에 올리면 안됩니다. 또한 공개 베타 소프트웨어에 관한 내용을 의논하거나 Apple 베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에게 공개 베타 소프트웨어를 보여주면 안됩니다. 하지만 Apple이 공개 베타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술 정보를 공개한 경우 더 이상 기밀 정보로 다루지 않습니다.”[14] 대부분 개발자 쪽에서 수정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