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7:55:36

문관빈

Andil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안딜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크 소울 2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원죄의 탐구자 안 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102a3><tablebgcolor=#1102a3> 파일:DRX 로고(화이트).svgDRX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color: #012063; 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1102a3><colcolor=#fff> 감독 [[김상수(e스포츠)|김상수 {{{#!wiki
Ssong
]]
코치 [[김태일(프로게이머)|김태일 {{{#!wiki
Frozen
]]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원(1998)|이재원
Rich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배영준(프로게이머)|배영준
Sponge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손우현(프로게이머)|손우현
Uca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진성(프로게이머)|박진성
Teddy
]]
파일:베트남 국기.svg [[쩐바오민|쩐바오민
LazyFee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관빈|문관빈
Andil
]]
LCK 참가팀 로스터 }}}}}}}}}}}}
파일:DRX_Andil_2025_Split_1.png
<colbgcolor=#1102a3><colcolor=#fff> DRX
Andil[1]
문관빈 (Moon Gwan-bin)
출생 2002년 10월 5일 ([age(2002-10-05)]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ID DRX Andil #2025 #
poibos #KR2 #
포지션 서포터[2]
데뷔 2023년 7월 9일
2023 LCK 서머

(데뷔일로부터 [dday(2023-07-08)]일, [age(2023-07-09)]주년)
소속
[ 펼치기 · 접기 ]
GC Busan Ascension
(2020.09.06 ~ 2020.10.18)
NSR Academy
(2021.01.09 ~ 2021.05.14)
AF Academy
(2021.10.15 ~ 2021.11.29)
KDF Academy
(2022.03.16 ~ 2022.12.09)
KDF Challengers
(2022.12.09 ~ 2023.07.09)
KWANGDONG FREECS[3]
(2023.07.09 ~ 2024.11.26)
DRX
(2024.11.26 ~ 2025.11.17예정)
에이전시 아지트매니지먼트[4]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SOOP 아이콘.svg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선수 경력4.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DRX 소속 서포터.

2. 플레이 스타일

라인전에서부터 포인트를 따내 스노우볼을 굴리고, 한타 때는 공격적인 이니시와 메이킹으로 게임을 풀어나가는 호전적인 성향의 서포터이다. 이니시형 서포터들을 잘 다루지만 2024시즌부터는 레나타 글라스크와 나미 숙련도로 주목받았다. 절묘한 레나타의 악수(Q) 활용으로 드레이븐- 파이크 조합을 들고 온 데프트-베릴의 kt 바텀 듀오를 박살내거나, 갱을 당하는 상황에서 나미의 해일(R)로 상대 바텀듀오의 합류를 막아 아군 원딜이 점멸 없이 도망갈 수 있도록 상황을 설계하는 등 서부권 팀을 상대로도 좋은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강점 덕분에 줄타기 플레이에 능하고 우수한 스킬샷과 인게임 판단을 토대로 게임을 굴릴 줄 아는 원딜 과 상당히 좋은 호흡을 보여줬다.

다만 아직은 LCK 경험이 적은 선수라서 고점과 저점의 편차가 매우 큰 편이고, 그로 인해 상술한 장점을 꾸준히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기복이 심하기로 유명한 이상으로 하드 캐리와 하드 쓰로잉을 넘나들 정도로 기복이 매우 심한데, 특히 라인전을 공격적으로 운영하는 성향의 선수가 한번 말리기 시작하면 끝도 없이 던지게 되는 케이스가 딱 안딜의 모습에서 잘 드러난다. 광동 시절 태윤-불-리퍼로 원딜을 3번이나 거쳐보냈지만 세 원딜 모두 등판 초반에 포텐 있는 모습을 보여주다가도 몇주 지나면 거품 꺼지고 라인전 기량이 수직으로 굴러떨어지는 모습을 공통적으로 보여줬는데, 이러한 모습에는 안딜의 지분도 적지 않다. 일각에서는 세명이나 바꿔봤는데도 안되면 안딜이 문제인거 아니냐는 의혹의 눈초리를 보내기도 할 정도.[5]

본인이 주도적으로 경기를 운영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것도 단점. 쉽게 말하면 게임 이해도 자체는 우수한 편인데, 자기 스스로 판단하고 두뇌 역할을 해주지 못하고 타 선수의 운영능력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는 시야 장악이나 오브젝트 컨트롤 등 전반적인 운영의 기본 영역에 해당되는 이야기로, 특히나 정글의 오더력이나 운영 능력에 따라 본인과 팀의 게임 흐름이 많이 영향을 받는다. CL 시절에도 공격적인 성향으로 인한 뇌절과 부족한 운영 능력이 약점으로 꼽혔으며, 2023 시즌 처음 콜업되었을 때에도 영재와 함께 운영능력의 부족으로 같이 무너졌다. 그러나 2024 시즌에는 본인과 오랜 기간 합을 맞춰온 불이 콜업되면서 기량이 상승했고, 운영능력이 좋고 경험이 많은 커즈가 정글러로 합류하면서 광동 특유의 단단하고 화끈한 경기력에 상당부분 기여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이 인게임 문제라면, 인게임 외적으로는 이를 다 씹어먹을 더 심각한 문제가 있는데, 바로 유리몸. 광동의 2년 연속 선발전 탈락에는 안딜의 건강 문제 지분을 빼놓을 수가 없는데, 정확히 어디가 아픈건지는 공개된적 없지만 심각한 저체중에다가 정신적인 압박감까지 겹쳐서 마비가 왔다는 둥 지속적인 건강 이슈가 들려오고 있다. 게다가 시즌 초기에는 괜찮다가 순위 싸움이 치열해지는 2라운드 시점에서 건강 이슈가 터지며 드러눕는데, 이러면 당연히 팀 적으로는 엄청난 리스크다. 그렇다고 이를 감수하며 쓰기엔 안딜이 가능성을 확실하게 보여준 적이 없다. 똑같이 고질적인 지병으로 고통받은 폰과 우지는 아픈 와중에도 클래스를 꾸준히 보여줬는데, 특히 우지는 몸이 가장 아프고 힘들던 2018년, 2019년에 불꽃을 태우는듯한 미친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월즈 우승 없이도 역체원 후보로 거론된 바 있다. 그러나 안딜은 2라운드에 접어들며 한 번 아프기 시작하면 시즌 끝날때까지 1라운드의 좋은 폼을 회복하지 못한다.

정리하자면 씨맥의 '천재' 보증이나 고점에서의 모습을 보면 분명 포텐은 있어보이지만, 현재까지는 심한 기복 때문에 긁었을 때 터질만한 선수인지는 아직 검증이 필요한 상황이다. 라이너 뺨치는 정확한 스킬샷과 초반 지향적인 라인전, 교전 능력을 지니고 있고, 챔프폭도 나름 넓은데다 높은 게임 지능 덕분에 운영 능력 자체는 좋은 편이지만 메인 오더의 부재 상황에서는 무기력한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T1의 케리아와 비슷한 부분을 보여 '케리아 하위호환'이라는 평도 있다.

3.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관빈/선수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1] 前 Poibos[2] 서포터 → 탑 → 서포터[3] KDF Challengers
(2024.03.19 ~ 2024.06.07)
[4] #[5] 다만 태윤은 애초부터 본인의 위치선정과 포지셔닝 문제가 심각했고, 불은 챔프폭이 제한된 선수였기에 안딜에게 화살이 돌아가는건 가혹할 수 있다. 그나마 저런 약점이 없이 순수하게 그냥 분석당한 이후에 라인전을 못 이겨주는 리퍼의 경우 어찌저찌 동부 대전에선 라인전을 풀어가는 편.[6] 다만 프롬 소프트웨어의 게임 다크 소울 2의 등장인물 중에 '안 딜' 이라는 인물이 있어 이를 아는 사람은 이것으로 착각하기도 한다. 이 쪽은 Andil이 아니라 Aldia로 철자가 다르다.[7] 다만 태윤이 183cm로 키가 꽤 큰 편이라서 상대적으로 키 차이가 크게 보이는 부분이 있다.[8] 본인이 개인 방송에서 근황을 말할 때 직접 체중과 관련해 언급했다. 근육이 없어서 운동을 하고 있다고. 다만 가리는 음식은 딱히 없다고 한다. 나중에 12월 2일자 개인 방송에서 40kg대로 바꿔달라고 요청했다.[9] 두번째 영상에서 안딜은 탕수육,깐풍육,양파,단무지 모두 한 조각 한 그릇이 아니다, 짜장면(소) 반 그릇 그리고 콜라 한 잔을 먹었다.[10] 그래서 커뮤니티 등지에서는 말랑과 엮여서 종종 언급되는 편이다.[11] 매일 빠짐 없이 나가고 있으며, 못 간 날엔 달리기로 대신한다고 한다.[12] 그 외에 21년 당시 식스맨으로 있던 맵씨가 있다.[13] 중간에 튀르키예의 아카데미 리그에서 뛴 적도 있었다.[14] 현재는 다시 모함이 쓰고 있다.[15] 다만 2군에서 콜업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는 페이즈와는 달리 이쪽은 비유 대상이 엄연한 1군 베테랑이라는 차이점이 있긴 하다.[16] 개인 방송에서 본인이 직접 태윤과 같다고 언급했으며, 이후 안딜의 입맛찾기 2편에서 두두,태윤,안딜 모두 ISTP라고 한번 더 언급된다.[17] 사실 2023 시즌을 앞두고 해외로 이적하려고 했을 때 씨맥 감독이 직접 설득하여 팀에 남게 되었다고 한다. 2군에서 반 년 만에 콜업되어 합을 맞추게 된 것.[18] 흥미롭게도 경쟁자인 준 역시 자신 있는 챔피언으로 렐을 꼽았다.[19] 본인에 따르면 2군에 애착이 많이 가서 도와준 것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