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20:57:36

A321 MPA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현대 프랑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008080> 프랑스 항공우주군
Armée de l'Air et de l'Espace

프랑스 해군 항공대
Aéronavale
회전익기 <colbgcolor=#008080> 공격헬기 HSS-1육/해/공/R, SA 313B 알루에트 II육/해/R, SA 341F 가젤, SA 342M 가젤, AS565 AA해/공, AS565 AB/CA해/공, 타이거 HAP, 타이거 HAD
다목적 헬기 알루에트 III육/해, AS332 쉬페르 푸마해/공, AS565 팬서해/공 AS532 쿠거
수송헬기 SA 321쉬페르 프렐롱 해/공/R, AS330 푸마육/공, EC725 카라칼, NH90 TTH 카이만, SE.3000R
대잠헬기 AS332F 쉬페르 푸마, AS532 SC, NH90 NFH 카이만
프롭 전투기 스핏파이어 LF.Mk. IXR, Ki-43원정군/C/R, A6M2-N원정군/C/R, 시파이어해/R , F8F-1B해/R, F4U-7해/R
제공 전투기 1세대 M.D.450 우라강R, S.O. 4050 보투르 NR, F-84F/GR, 미스테르 IIR, 미스테르 IVR, 아퀼롱 203해/R
2세대 F-100DR, F-86KR, 쉬페르 미스테르 B.2R, 에탕다르 IVM해/R, F-8E (FN)해/R
3세대 미라주 III C/ER, 미라주 F1R
4세대 미라주 2000
4.5세대 라팔 C 스탕다르 F3/F3R, 라팔 M
6세대 {FCAS}
공격기 SB2C-5, A-1 스카이레이더R, 1050 알리제해/R, S.O.4050 보투르 IIAR, 재규어 AR, 쉬페르 에탕다르해/R, 미라주 V, 미라주 2000 N/D,
폭격기 PB4Y-2해/R, S.O.4050 보투르 IIBR, 미라주 IVR, AAS 01X
수송기 C-160R, C-119R, C-124, C-130(H/H-30/J-30), A400M 아틀라스, NC.701R
지원기 조기경보기 E-2C 호크아이, E-3F 센트리
대잠초계기 아틀란틱해/R, 아틀란틱 II, {A321 MPA}
정찰기 브레게 1150 아틀란틱, 다쏘 팔콘, Fi 156해/공/R
신호정보 수집기 C-160G 가브리엘
공중급유기 A330 피닉스, C-135FR, KC-130J
무인기 UAV 캠콥터 S-100, VSR700
UCAV MQ-9, 다쏘 뉴론, {유로드론}
훈련기 EMB 312FR, 푸가 CM.175 제피르R, Ar 96R, 무드리 CAP 10해/공, 미라주 2000B-S5, 다쏘-도르니에 알파 젯, SIPA S.10R
다목적기 다쏘 팔콘 10M
기타 Nord SS.10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1. 개요2. 개발3. 운용국
3.1. 프랑스

1. 개요

에어버스 디펜스 앤 스페이스에서 A321XLR을 기반으로 개발 중인 차세대 대잠초계기.

2. 개발

프랑스는 독일과 차세대 해상 감시 체계 MAWS 사업을 진행했으며, 해당 체계를 위해 A320neo 기반의 A320 MPA를 계획하고 있었다. 그러나 독일이 P-3 오라이언 노후화로 인해 임시용 초계기 도입 사업을 진행해서 P-8을 선정하면서 MAWS 사업은 위기에 놓이게 된다.

이후 프랑스는 2022년 말부터 자체적인 차세대 대잠초계기 사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했는데, 당시 후보는 MAWS 사업 당시부터 거론되던 에어버스의 A320neo와 다쏘의 팔콘 10X였다.#

그러다 유로나발 2024에서 에어버스에서 A321 MPA를 새롭게 제시하며, A320neo가 아닌 해당 기종을 아틀란틱 대체 사업의 후보로 제시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2025년 2월 4일, 에어버스와 프랑스 DGA가 2년 기간의 차세대 대잠초계기 사업 위험성 연구 계약을 체결하면서 A321 MPA가 사업에서 승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위험성 평가 결과 문제가 없다면 2026년부터 본격적인 개발 및 양산 단계에 돌입할 예정이라고 한다.#

3. 운용국

3.1. 프랑스

개발국으로, 2030년에서 2040년 사이 동안 A321 MPA를 도입해서 노후화된 아틀란틱을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