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6:41:28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학수학능력시험 및 모의평가 의견 문서
2025 수능 관련 의견 2026 수능 관련 의견
(2025.11.13.)
본 문서에서는 강조 목적의 굵기, 색상 문법과 여담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참고

1. 개요2. 본격화된 사탐런, 확통런3. 6월 모의평가 (2025.6.3.)
3.1. 국어 영역3.2. 수학 영역3.3. 영어 영역3.4. 한국사 영역3.5. 사회탐구 영역 · 과학탐구 영역3.6. 직업탐구 영역3.7. 제2외국어/한문 영역
4. 9월 모의평가 (2025.9.3.)
4.1. 국어 영역4.2. 수학 영역4.3. 영어 영역4.4. 한국사 영역4.5. 사회탐구 영역 · 과학탐구 영역4.6. 직업탐구 영역4.7. 제2외국어/한문 영역
5. 대학수학능력시험 (2025.11.13.)
5.1. 국어 영역5.2. 수학 영역5.3. 영어 영역5.4. 한국사 영역5.5. 사회탐구 영역 · 과학탐구 영역5.6. 직업탐구 영역5.7. 제2외국어/한문 영역

1. 개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의견 문서.

2. 본격화된 사탐런, 확통런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수학에서는 확통런, 탐구영역에서는 사탐런이 벌어져서 런을 선택한 학생들이 이득을 엄청나게 봤다. 이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이미 2025년 연초부터 입시판에 사탐런, 확통런 관련 유튜브 동영상들이 도배[1]가 되고, 심지어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연계해서 대놓고 얼른 미적 버리고 확통이나 해라는 식으로 입시판이 뒤집혀버렸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도 이미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때 확통런, 사탐런 추세와 학생과 학부모들의 여론을 일부 반영해서 미적분, 과학탐구 선택자들이 손해를 많이 보는 시험지를 출제한 바 있는데,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이 추세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3. 6월 모의평가 (2025.6.3.)

3.1. 국어 영역

3.2. 수학 영역

3.3. 영어 영역

3.4. 한국사 영역

3.5. 사회탐구 영역 · 과학탐구 영역

3.6. 직업탐구 영역

3.7. 제2외국어/한문 영역

4. 9월 모의평가 (2025.9.3.)

4.1. 국어 영역

4.2. 수학 영역

4.3. 영어 영역

4.4. 한국사 영역

4.5. 사회탐구 영역 · 과학탐구 영역

4.6. 직업탐구 영역

4.7. 제2외국어/한문 영역

5. 대학수학능력시험 (2025.11.13.)

5.1. 국어 영역

5.2. 수학 영역

5.3. 영어 영역

5.4. 한국사 영역

5.5. 사회탐구 영역 · 과학탐구 영역

5.6. 직업탐구 영역

5.7. 제2외국어/한문 영역


[1] 확통런: 황수환, 땅우(한상우), 김성은, 김민영 등, 사탐런: 윤도영, 김민영, 유니브클래스, 민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