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19:37:23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중학교/과학 1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2 개정 교육과정/과학과/중학교
2022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중학교군 ('25~ 中1)
중학교 1학년 중학교 2학년 중학교 3학년
※ 교과·영역 뒤에 붙은 1, 2, 3는 교과용도서의 분권 표기이며, 행정상 공식 과목 표기는 ‘중학교 1~3학년군 과학’이다.
■ 고등학교 과목 틀: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과 과목
■ 이전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과 과목


1. 개요2. 성취 기준
2.1. (1) 과학과 인류의 지속가능한 삶2.2. (2) 생물의 구성과 다양성2.3. (3) 열2.4. (4) 물질의 상태 변화2.5. (5) 힘의 작용2.6. (6) 기체의 성질2.7. (7) 태양계

1. 개요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시기의 과학과 학습 내용 체계를 다룬다. 교육과정 해설서 원문에는 2015 개정 교육과정 때처럼 '중학교 1~3학년군'의 내용들을 일괄하여 성취 기준 및 내용 요소를 제시했다. 이 문서는 행정상 과목명을 엄밀히 따른 것은 아니지만, 학년별로 나눠진 교과용도서의 체계로 문서를 분리 서술한 것이다.

2. 성취 기준

■(을)를 눌러서 상세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1. (1) 과학과 인류의 지속가능한 삶

성취 기준
[9과01-01] 과학적 탐구 방법을 이해하고, 일상생활의 문제에 대한 과학적 해결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9과01-02] 과학의 발전이 인류 문명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고, 인공지능 등 첨단 과학기술이 가져올 미래 사회의 변화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9과01-03] 인류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과학기술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해 토의하고, 개인과 사회 차원의 활동 방안을 찾아 실천할 수 있다.
{{{#!folding ■ 탐구 활동• 주변에서 탐구할 문제를 발견하고 탐구 계획서 작성하기}}}
{{{#!folding ■ 성취기준 해설• [9과01-01] 간단한 탐구 실험을 제시하여 탐구 절차 및 방법을 익히도록 하며, 학생이 스스로 발견한 문제를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탐구하여 해결해 보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 [9과01-02] 과학적 탐구 방법을 통해 얻은 과학 지식과 방법이 인류 문명과 문화 발달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학습하고, 원리보다는 활용 측면에서 첨단 과학기술 사례를 함께 다룬다.
}}}
{{{#!folding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 초등학교 3∼4학년군 ‘기후변화와 우리 생활’, 5∼6학년군 ‘자원과 에너지’와 연계된다.
• 인류 문명 발달 과정에서 과학적 원리 발견, 기술 발달, 기기 발명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토의하도록 지도할 수 있다. 과학 개념과 원리가 기술, 공학, 예술, 수학 등 과학 외의 교과와 관련 있음을 사례를 통해 이해하도록 한다.
• 조사와 토의⋅토론 등의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첨단 과학기술 사례를 찾고, 이 과정에서 과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알게 한다.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미래 생활의 모습을 예측하도록 하고, 이를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하여 관련 내용을 평가할 수 있다.
• 인류가 직면한 에너지나 환경 문제와 같은 과학 관련 쟁점을 알고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과학적으로 제시하게 한다.
}}}
{{{#!folding ■ 여담 · 변경된 점• 인공지능과 첨단 과학기술 관련 내용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사실상 도입부이므로 실질적인 자연과학 내용은 (2)단원부터 시작된다.
• 지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단원명이 ‘과학기술과 인류 문명’이었고 ‘과학 3’, 고등학교 일반 선택 과목 생명과학Ⅰ에서 다루었다.
}}}

2.2. (2) 생물의 구성과 다양성

성취 기준
[9과02-01] 세포는 생명 활동이 일어나는 기본 단위임을 이해하고, 세포의 구조와 기능의 관계를 추론할 수 있다.
[9과02-02] 생물의 유기적 구성 단계를 이해하고, 동물과 식물을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다.
[9과02-03] 생물다양성을 이해하고, 변이와 생물다양성의 관계를 추론할 수 있다.
[9과02-04] 종의 개념과 분류 체계를 이해하고, 생물을 계 수준에서 분류할 수 있다.
[9과02-05] 생물다양성 보전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한 방안을 조사하고 실천할 수 있다.
{{{#!folding ■ 탐구 활동• 세포 관찰하기
• 생물다양성 보전 놀이 활동하기
}}}
{{{#!folding ■ 성취기준 해설• [9과02-01] 세포의 구조는 세포벽, 세포막, 핵, 엽록체, 마이토콘드리아를, 세포의 특징으로는 생명 활동을 유추할 수 있는 세포(적혈구, 신경세포, 상피세포 등)를 다룬다.
• [9과02-04] 종은 생물학적 종 개념만을, 생물 분류 체계는 5계만을 다루도록 한다.
}}}
{{{#!folding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 초등학교 3∼4학년군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생물과 환경’, 고등학교 <통합과학1>의 시스템과 상호작용, <통합과학2>의 변화와 다양성과 연계된다.
• 생물다양성 이해를 위해 우리 학교(마을)의 생물을 관찰하여, 우리 학교(마을) 생태 지도 만들기 및 생물 분류 활동을 할 수 있다.
• 생물다양성 보전 놀이 활동을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의 필요성을 이해하도록 하고,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생물다양성 유지 방안을 조사하고 이를 실천하며, 이 과정에서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생태전환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
{{{#!folding ■ 여담 · 변경된 점 관련 단원이다.
• 지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단원명이 ‘생물의 다양성’이었다.
• 중학교 과학 과정에 세포소기관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었다.
• ‘미토콘드리아’ 용어가 ‘마이토콘드리아’로 변경되었다.
}}}

2.3. (3) 열

성취 기준
[9과03-01] 온도와 열평형 과정을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들의 배치나 움직임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9과03-02] 열은 전도, 대류, 복사로 전달됨을 알고, 열전달 과정을 모형 등을 사용하여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9과03-03] 물질에 따라 비열과 열팽창 정도가 다름을 알고, 이러한 성질이 일상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됨을 인식할 수 있다.
{{{#!folding ■ 탐구 활동•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물체에서 열의 전도 비교하기
•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액체의 비열 비교하기
}}}
{{{#!folding ■ 성취기준 해설• [9과03-01] 온도가 다른 두 물체가 열평형에 도달하는 과정을 시간-온도 그래프 등을 활용하여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 [9과03-02] 열의 이동 방식을 주변 도구나 신체를 이용하여 비유적으로 다양하게 표현하고, 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
{{{#!folding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 초등학교 5∼6학년군 ‘열과 우리 생활’, 고등학교 <역학과 에너지>의 열과 에너지와 연계된다.
• 온도를 측정하거나 열의 전도를 관찰하는 활동에서 온도 센서 등 디지털 탐구 도구를 활용하도록 한다.
• 비열과 열팽창 실험에서 가열 장치로 실험할 때 화상이나 화재 등 안전사고에 유의하도록 안전 교육을 실시하고, 안전장치나 안전 장구가 갖추어진 상태에서 실시하도록 한다.
}}}
{{{#!folding ■ 여담 · 변경된 점 관련 단원이다.
• 지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단원명이 ‘열과 우리 생활’이었고 ‘과학 2’에서 다루었다.
• 더 이상 열량과 비열을 정량적([math(Q = cm \Delta T)])으로 다루지 않는다.
}}}

2.4. (4) 물질의 상태 변화

성취 기준
[9과04-01] 확산 및 증발 현상을 관찰하여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가 운동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9과04-02] 물질의 세 가지 상태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를 입자 모형으로 표현할 수 있다.
[9과04-03] 여러 가지 물질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고, 이를 입자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9과04-04] 물질의 상태 변화와 열에너지 출입 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여 과학의 유용성을 인식할 수 있다.
{{{#!folding ■ 탐구 활동• 확산 현상 관찰하기
• 물질의 상태 변화 시 질량과 부피 변화 측정하기
• 상태 변화 실험에서 가열 곡선 또는 냉각 곡선 그리기
}}}
{{{#!folding ■ 성취기준 해설• [9과04-02] 물질의 상태를 나타내는 입자 모형은 입자 사이의 상대적 거리, 입자 배열의 불규칙한 정도, 입자의 운동성 등을 비교한 내용을 포함한다.
• [9과04-03] 여러 가지 물질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여 융해, 응고, 기화, 액화, 승화를 구분하고, 물질의 상태가 변할 때 부피는 변하고 질량과 물질의 성질은 변하지 않는 이유를 입자 모형으로 설명한다.
• [9과04-04] 물질의 상태 변화 시 온도가 일정한 이유를 상태 변화 과정에서 출입하는 열에너지와 관련지어 설명한다.
}}}
{{{#!folding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 초등학교 3∼4학년군 ‘물의 상태 변화’, 고등학교 <물질과 에너지>의 물질의 세 가지 상태와 연계된다.
• 질량은 물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양임을 설명한다. 질량은 무게를 측정하여 확인하고, 기체의 질량을 저울로 측정할 때는 부력이 측정값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유의한다.
• 상태 변화 시 열에너지의 출입으로 입자의 배열과 운동이 달라지는 실험 결과를 입자 모형을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 녹는점, 끓는점, 어는점의 정확한 개념은 중학교 1∼3학년군 ‘물질의 특성’에서 학습하므로 각 상태 변화가 일어나는 온도라는 측면에 주안점을 둔다.
}}}
{{{#!folding ■ 여담 · 변경된 점 관련 단원이다.}}}

2.5. (5) 힘의 작용

성취 기준
[9과05-01]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화살표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힘의 평형을 이루는 조건을 설명할 수 있다.
[9과05-02] 중력, 탄성력, 마찰력, 부력을 이해하고, 각 힘의 특징을 크기와 방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9과05-03] 알짜힘이 0이 아닐 때 물체의 운동 상태가 변함을 알고, 그 예를 조사하여 분류할 수 있다.
[9과05-04] 다양한 사례에서 작용하는 힘과 힘의 평형 관계를 설명하고, 일상생활에서 힘의 특징을 이용한 기구나 장치를 설계할 수 있다.
{{{#!folding ■ 탐구 활동• 용수철의 탄성력 측정하기
• 물속에서 부력 측정하기
• 장난감이나 놀이 기구에서 힘의 작용 탐구하기
}}}
{{{#!folding ■ 성취기준 해설• [9과05-01] 힘의 정의를 알고 힘을 크기와 방향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하며, 나란한 힘의 합력만을 다루도록 한다.
• [9과05-02] 중력을 지도할 때, 질량과 무게를 구별하도록 한다.
• [9과05-03] 물체가 힘을 받았을 때 물체의 운동을 속력이 변하거나 운동 방향이 바뀌거나 두 가지가 모두 변하는 사례로 분류하도록 한다.
• [9과05-04] 바닥에 놓인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설명할 때, 중력과 함께 바닥이 물체를 떠받치는 힘을 도입한다.
}}}
{{{#!folding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 초등학교 3∼4학년군 ‘힘과 우리 생활’, 고등학교 <통합과학1>의 시스템과 상호작용, ‘물리학’의 힘과 에너지와 연계된다.
•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힘의 개념을 글, 그림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하도록 하여 과학적인 힘의 개념이 형성되도록 지도한다.
• 힘의 작용에 대한 이해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물체가 힘을 받았을 때 속력이 변하거나 운동 방향이 바뀌거나 두 가지가 모두 변하는 사례를 조사하고, 포스터 발표, 보고서 작성 등 다양한 형태의 산출물을 제작하도록 할 수 있다.
}}}
{{{#!folding ■ 여담 · 변경된 점 관련 단원이다.
• 지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단원명이 ‘여러 가지 힘’이었다.
• 지난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1학년 내용에서 대폭 축소되었던 힘과 운동 사이의 관계가 다시 복귀하였다.
}}}

2.6. (6) 기체의 성질

성취 기준
[9과06-01] 압력의 의미를 알고, 기체의 압력을 입자의 운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
[9과06-02] 기체의 압력과 부피 관계를 실험 결과로부터 알아내고, 이를 입자 모형으로 해석할 수 있다.
[9과06-03] 기체의 온도와 부피 관계를 실험 결과로부터 알아내고, 이를 입자 모형으로 해석할 수 있다.
{{{#!folding ■ 탐구 활동• 기체의 압력과 부피 관계와 기체의 온도와 부피 관계를 실험으로 알아보기}}}
{{{#!folding ■ 성취기준 해설• [9과06-01] 압력의 의미는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예시로 설명하고, 기체의 압력은 일정한 면적에 입자의 충돌로 가해지는 힘의 수준에서 다룬다.
• [9과06-02∼03] 기체의 압력과 부피, 기체의 온도와 부피를 측정한 각각의 실험 결과에서 두 변인 간 관계를 찾고 그 이유를 입자 모형으로 설명한다.
}}}
{{{#!folding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 초등학교 3∼4학년군 ‘여러 가지 기체’, 고등학교 <물질과 에너지>의 물질의 세 가지 상태와 연계된다.
• 기체의 압력과 부피, 온도와 부피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생활 속 현상을 찾아 발표하는 활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수식을 활용하여 변인 사이의 양적 관계를 계산하는 정량적 내용은 고등학교 '물질과 에너지'에서 다루므로 입자 모형을 이용한 정성적 설명에 주안점을 둔다.
• 탐구 활동 수행 시, 의사소통과 협업 능력을 키우기 위해 여러 모둠의 데이터를 공유하여 탐구 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 공유 시 공유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다.
•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시각화할 때 다양한 센서와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디지털 소양을 함양하도록 지도한다.
}}}
{{{#!folding ■ 여담 · 변경된 점 관련 단원이다.}}}

2.7. (7) 태양계

성취 기준
[9과07-01] 태양계를 구성하는 천체의 특징을 알고, 행성을 목성형 행성과 지구형 행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9과07-02] 태양의 표면과 대기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알고, 태양의 활동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추론할 수 있다.
[9과07-03] 지구 자전에 의한 천체의 겉보기 운동과 지구 공전에 의한 별자리 변화를 이해하고, 밤하늘 천체에 호기심을 가진다.
[9과07-04] 달을 관측하여 달의 위상변화 원리를 이해하고, 일식과 월식을 설명할 수 있다.
{{{#!folding ■ 탐구 활동• 망원경을 이용하여 달, 행성 관측하기
• 태양계 천체 자료 수집 및 분석하기
• 모형을 이용하여 달의 위상변화 관찰하기
}}}
{{{#!folding ■ 성취기준 해설• [9과07-01] 태양계를 구성하는 천체인 태양, 행성, 왜소행성, 소행성, 위성, 혜성을 개괄적으로 학습하며, 자세한 특징은 다루지 않는다.
• [9과07-03] 관측자의 위치(고위도, 저위도, 중위도)에 따른 일주운동은 다루지 않는다. 지구의 자전과 공전을 우주에서 바라보는 관점으로 설명한다.
}}}
{{{#!folding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 초등학교 3∼4학년군 ‘밤하늘 관찰’, 5∼6학년군 ‘지구의 운동’, ‘계절의 변화’, 고등학교 <통합과학1>의 물질과 규칙성, <지구과학>의 태양계 천체와 별과 우주의 진화, <행성우주과학>의 우주탐사와 행성계와 연계된다.
• 태양, 달, 행성을 천체 망원경으로 관측할 기회를 제공하도록 한다. 지역 천문대나 과학교육원 등을 활용할 수 있다.
• 야간에 별이나 행성 등을 관측할 때 안전 사항을 준수하도록 하고, 특히 태양의 흑점, 일식 등을 관찰할 때는 눈으로 직접 보지 않고 필터 등을 사용하도록 지도한다.
• 태양계 학습 시 디지털 탐구 도구, 최신 관측 자료, 천체 관측 프로그램, 앱 등을 적절하게 활용하도록 한다.
• 일식과 월식은 천체 관측 프로그램이나 모형 등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작도 중심의 수업 활동은 지양한다.
}}}
{{{#!folding ■ 여담 · 변경된 점 관련 단원이다.
• 지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과학 2’에서 다루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