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GC CN에서 1위를 차지한 CE가 비자 문제로 인해 참가할 수 없게 되면서 3위를 차지한 SPT가 대신하게 됐다. CE는 프로 무대 데뷔 첫 시즌에 1위를 차지한 신성 팀이었던 만큼 국제무대에서의 모습도 기대됐었는데, 이번에도 어김없이 반복된 비자 문제로 참가가 불발되어 아쉬움이 더 남는다.
우승과 준우승을 유럽 팀인 Fnatic과 Team Dignitas가 차지하며, HGC의 패권이 2016시즌 3개의 글로벌 대회를 3개 팀이 돌아가면서 우승했던 한국에서 유럽으로 넘어간 대회로 평가받는다. 한국의 L5와 MVP Black은 이 유럽 2팀이 보여주는 새로운 메타에 어려움을 겪으며 각각 3, 4위에 머물렀다.
그룹 스테이지 경기는 스톡홀름에 마련된 별도의 스테이지에서 진행되고, 피닉스 브래킷부터는 지난여름, 서머 글로벌 챔피언십이 열렸던 드림핵 서머에서 열린다. 현장 관람은 스톡홀름에서 치러지는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불가하며, 옌셰핑에서 진행되는 드림핵 경기만 가능하다.
[1] KST 기준[2] 1차 그룹 스테이지는 스톡홀름에서 치러진다.[3] 약 2억 8천만 원 (2017년 6월, 원-달러 환율 기준)[4] Gclef란 닉네임을 사용하며 글로벌 중계 해설을 맡고 있다.[5] marsterleauge.net과 리퀴피디아에 나온 국적이 서로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