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아르헨티나 대통령 선거 | |||||||||
| 지역별 결선 결과 | |||||||||
| {{{#!wiki style="margin: -7px -12px" | 2011 대선 | → | 2015 대선 | → | 2019 대선 | }}} | |||
| 선거 일시 | 예선: 10월 25일 | ||||||||
| 결선: 11월 22일 | |||||||||
| 투표율 | 예선: 81.07%▲ 0.00%p | ||||||||
| 결선: 80.77%▲ 0.00%p | |||||||||
| 선거 결과 | |||||||||
| 후보 | [[정의당(아르헨티나)| 정의당 ]]다니엘 시올리 | [[공화주의제안당| 공화주의제안당 ]]마우리시오 마크리 | |||||||
| 예선 | |||||||||
| 37.08% 9,338,490표 | 34.15% 8,601,131표 | ||||||||
| 결선 | |||||||||
| 48.66% 12,309,575표 | 51.34% 12,988,349표 | ||||||||
| 당선인 | |||||||||
| | |||||||||
| 공화주의제안당 마우리시오 마크리 | |||||||||
1. 개요
2015년에 치러진 아르헨티나의 대통령 선거이다. 공화주의제안당의 마우리시오 마크리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아르헨티나 역사상 처음으로 페론당도 급진시민연합 계열도 아닌 후보가 당선되어 정권을 교체한 역사적인 선거이다.2. 결과
2.1. 1차 투표 결과
| 2015년 아르헨티나 대통령 선거 1차 투표 (2015. 10. 25.) | ||||||
| 순위 | 후보명 | 정당(정당연합) | 성향 | 득표수 | 득표율 | 결선 진출 여부 |
| 1위 | 다니엘 시올리 | 정의당(승리를 위한 전선) | 페론주의 좌파 | 9,338,490 | 37.08% | 진출 |
| 2위 | 마우리시오 마크리 | 공화주의제안당(변화를 위해 함께) | 중도우파 | 8,601,131 | 34.15% | |
| 3위 | 세르히오 마사 | 회복 전선(새로운 대안을 위한 연합) | 페론주의 중도 | 5,386,977 | 21.39% | 탈락 |
| 4위 | 니콜라스 델카뇨 | 사회주의노동자당(좌파와 노동자 전선) | 극좌 | 812,530 | 3.23% | |
| 5위 | 마가리타 스톨비제 | 국민적 만남을 위한 세대(진보주의자) | 중도좌파 | 632,551 | 2.51% | |
| 6위 | 아돌포 로드리게스 사아 | 연방 공약(연합 없음) | 페론주의 중도우파 | 412,578 | 1.64% | |
2.2. 결선 투표 결과
| 2015년 아르헨티나 대통령 선거 결선 투표 (2015. 11. 22.) | ||||||
| 순위 | 후보명 | 정당(정당연합) | 성향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위 | 마우리시오 마크리 | 공화주의제안당(변화를 위해 함께) | 중도우파 | 12,988,349 | 51.34% | 당선 |
| 2위 | 다니엘 시올리 | 정의당(승리를 위한 전선) | 페론주의 좌파 | 12,309,575 | 48.66% | 낙선 |
1차 투표에서 중도 페론주의 성향의 세르히오 마사후보의 지지가 마크리 후보로 몰려 아슬아슬하게 시올리 후보를 누르고 마우리시오 마크리가 당선되었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