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광역의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color:#FFD2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25px" | 1952 | 1956 | 1960 | 1991 | |||||
}}} {{{#!wiki style="margin: -6px -1px -25px" |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
민선 6기 | 민선 7기 | 민선 8기 | |||||||
}}} 광역의회의장}}}}}} |
1991년 지방선거 결과 총 866석 | |||||||||
민주자유당 | 신민주연합당 | 민주당 | 민중당 | 무소속 | |||||
564석 | 165석 | 21석 | 1석 | 115석 |
1. 비고
- 임기: 1991년 7월 1일 ~ 1995년 6월 30일
- 임기 중 정당 변동 사항 (1991.7.1~1995.6.30 기간 중 광역의원이 소속되거나 소속되었던 정당만 기재)
- 신민주연합당,민주당 → 민주당 으로 신설합당 (1991.9.16)
- 통일국민당 창당 (1992.1.3)
- 통일국민당 → 신민당 으로 흡수합당 (1994.7.8)
- 자유민주연합 창당 (1995.3.30)
- 신민당 → 자유민주연합 으로 흡수합당 (1995.5.31)
- 민중당 → 14대 총선 전국구 득표율 미달로 해산 (1992.3.24)
- 민선 5기 이전의 광역의원 당적 변동 정보는 정보 부족으로 인하여 부정확할 수 있음[1]
- 1995년 1월 1일을 기해 직할시가 광역시로 출범하면서 직할시의회의 명칭이 모두 광역시의회로 변경되었다.
2. 서울특별시
3. 부산직할시
4. 대구직할시
5. 인천직할시
6. 광주직할시
7. 대전직할시
8. 경기도
9. 강원도
10. 충청북도
11. 충청남도
12. 전라북도
13. 전라남도
14. 경상북도
15. 경상남도
16. 제주도
17. 둘러보기
1991~1995 광역의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
경북 | 경남 | 파일:제주특별자치도 구 휘장.svg제주 | }}}}}}}}} |
18. 관련 문서
[1] 1991년 지방선거의 경우 선거구역 (읍,면,동)에 대한 정보가 없다. 아마 선관위에 전산화로 기록되기 이전의 선거라서 그런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