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한 사이트 : 출처(동아일보, 1970. 3. 30, 8p)
1. 개요
1970년 4월 1일부로 시행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의 개편에 대하여 소개하는 문서이다. 당시 개편에서는 <좌석버스, 급행버스, 일반버스> 등 3개 등급으로 운영했던 노선들을 <급행버스, 일반버스, 시영버스>의 새로운 형태의 등급으로 바꾸는 방식의 '대개편'이 시행되었다. 기존에 운행하던 좌석버스들은 전부 입석(도시형)으로 전환되었다.이 때 시행되었던 개편이 2004년 7월 1일 서울 대중교통 개편까지 유지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1] 34년 간 수 많은 노선의 신설과 폐선, 개편 등으로 상당수의 흔적이 사라졌다.
1970년 개편 당시에는 차후 신설될 노선들을 대비해 일부러 중간중간에 공번을 두었지만, 이마저도 70년대 중반 이후 다 차버리는 바람에 '-1, -2'와 같은 파생번호가 쓰이게 되었다. 정릉 기점으로 시계방향으로 부여하는 규칙도 기종점 변경, 좌석버스 신설 및 도시형 전환, 노선권 매각, 업체들의 자의적인 번호 부여 등등으로 인해 금방 무의미해졌으며 거기에 시영버스 출신 노선을 의미하는 200번대, 70년대 중후반 이후 사용된 순수 신설노선 전용 번호대인 300번대, 어린이대공원 경유 노선 번호대인 500번대, 80년대 신설된 좌석버스 번호대인 700번대[2], 지하철 연계 순환버스 800번대가 한데 뒤섞여 10년만에 분류가 완전히 무너져내렸다.
2. 개편 노선 목록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ffffff 20%, #ffffff 80%, #ffffff);" | <tablealign=center><tablewidth=40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970년 개편 노선 |
기존 번호 | 개편 번호 | 기점 | 종점 |
71번 (좌석) | 1번 | 정릉동 | 연희동 |
72번 (좌석) | 2번 | 서강 | |
71번 (입석) | 3번 | ||
11번 (급행) | 7번 | 수유리 | 홍익대학교 |
13번 (급행) | 8번 | 망원동 | |
13번 (입석) | 9번 | 서울역 | |
12번 (급행) | 13번 | 의정부시 | 의정부시 |
14번 | |||
16번 (입석) | 15번 | 도봉동 | 종로5가 |
12번 (입석) | 18번 | 창동 | 후암동 |
11번 (좌석) | 19번 | 쌍문동 | 마포구 |
15번 (입석) | 20번 | 서울역 | |
13번 (좌석) | 23번 | 삼양동 | 용산동 |
15번 (좌석) | 24번 | 영등포 | |
17번 (좌석) | 25번 | 미아국민학교 | 효창동 |
10번 (급행) | 26번 | 삼양동 | 시흥군 안양읍 |
17번 (입석) | 27번 | 서울역 | |
10번 (좌석) | 31번 | 장위동 | 북아현동 |
12번 (좌석) | 32번 | 후암동 | |
11번 (입석) | 33번 | ||
23번 (좌석) | 37번 | 이문동 | 염리동 |
23번 (입석) | 38번 | 석관동 | 원효로 |
35번 (좌석) | 39번 | 경희대학교 | 서울역 |
25번 (좌석) | 43번 | 상계동 | |
24번 (좌석) | 45번 | 불암동 | 종로5가 |
26번 (좌석) | 48번 | 망우리 | 응암동 |
56번 (입석) | 49번 | 중랑교 | 문문화촌[3] |
22번 (급행) | 50번 | 면목동 | 연희동 |
57번 (입석) | 51번 | 문화촌 | |
21번 (좌석) | 54번 | 전농동 | 마포구 |
22번 (좌석) | 55번 | 답십리 | 봉천동 |
22번 (급행) | 56번 | 이촌동 | |
22번 (입석) | 57번 | 효창동 | |
91번 (입석) | 60번 | 마장동 | 구평동 |
33번 (좌석) | 62번 | 성수동 | 동교동 |
36번 (좌석) | 63번 | 경마장 | 효자동 |
37번 (급행) | 64번 | 뚝섬 | 서울역 |
36번 (입석) | 65번 | ||
31번 (좌석) | 68번 | 천호동 | |
37번 (좌석) | 69번 | ||
31번 (급행) | 70번 | ||
31번 (입석) | 71번 | ||
56번 (좌석) | 74번 | 옥수동 | 홍은동 |
57번 (좌석) | 75번 | 갈현동 | |
45번 (급행) | 76번 | 금호동 | 신길동 |
41번 (입석) | 78번 | 한남동 | 서울역 |
38번 (좌석) | 79번 | 금호동 | 보광동 |
42번 (입석) | 80번 | 보광동 | 서울역 |
81번 | 응봉동 | ||
81번 (좌석) | 84번 | 중앙대학교 | 경동중학교 |
82번 (좌석) | 85번 | 동작동 | 성북동 |
82번 (급행) | 86번 | 남성동 | 홍릉 |
81번 (급행) | 87번 | 동작동 | 중곡동 |
83번 (급행) | 88번 | 중화동 | |
81번 (입석) | 89번 | 남성동 | 신흥사 |
62번 (좌석) | 92번 | 상도동 | 창신동 |
42번 (좌석) | 95번 | 신림동 | 미아동 |
65번 (입석) | 96번 | 중앙청 | |
39번 (좌석) | 98번 | 신길동 | 마장동 |
41번 (좌석) | 99번 | 문농대앞[4] | |
91번 (좌석) | 101번 | 대림동 | 독립문 |
89번 (급행) | 103번 | 시흥군 안양읍 | 중앙청 |
89번 (좌석) | 104번 | 삼청동 | |
83번 (급행) | 107번 | 동작동 | 중화동 |
80번 (좌석) | 109번 | 영등포 | 영등포 |
87번 (좌석) | 110번 | 양남동 | 청계6가 |
87번 (입석) | 111번 | 중앙청 | |
86번 (좌석) | 112번 | 문래동 | 을지로6가 |
86번 (급행) | 113번 | 약수동 | |
86번 (입석) | 114번 | 서울역 | |
84번 (좌석) | 118번 | 구로동 | 을지로6가 |
84번 (급행) | 119번 | 중앙청 | |
84번 (입석) | 120번 | ||
85번 (좌석) | 123번 | 오류동 | 청계6가 |
85번 (급행) | 124번 | 중앙청 | |
85번 (입석) | 125번 | ||
80번 (급행) | 128번 | 화곡동 | 중곡동 |
88번 (좌석) | 129번 | 김포군 | 중앙청 |
88번 (급행) | 130번 | ||
20번 (입석) | 132번 | 홍릉 | 합정동 |
21번 (입석) | 133번 | 노고산 | 회기동 |
78번 (입석) | 135번 | 염리동 | 구평동 |
75번 (좌석) | 136번 | 서강[5] | 쌍문동 |
72번 (입석) | 137번 | 자유센터 | |
61번 (좌석) | 139번 | 봉원동 | 동대문 |
61번 (급행) | 141번 | 남가좌동 | 마장동 |
64번 (입석) | 142번 | 상도동 | |
53번 (좌석) | 145번 | 화전동 | 서울역 |
52번 (급행) | 146번 | 수색동 | 이문동 |
53번 (입석) | 147번 | 서울역 | |
55번 (좌석) | 150번 | 북가좌동 | 봉천동 |
51번 (급행) | 152번 | 역촌동 | 역촌동[A] |
51번 (입석) | 155번 | 갈현동 | 옥수동 |
52번 (입석) | 156번 | 고양군 신도면 구파발리 | 고양군 신도면 구파발리[A] |
51번 (급행) | 157번 | 갈현동 | 답십리동 |
158번 | 갈현동[A] | ||
56번 (급행) | 161번 | 문화촌 | 장위동 |
57번 (급행) | 162번 | 수유리 | |
26번 (입석) | 164번 | 홍릉 | 양주군 진접면 장현리 |
27번 (입석) | 165번 | 양주군 미금면 금곡리 | |
서울특별시 시영버스 (200번대) | |||
103번 (입석) | 207번 | 시흥동 | 시청 |
115번 (입석) | 209번 | 영등포구청 | 한양대학교 |
113번 (입석) | 215번 | 도봉동 | 서울역 |
113번 (좌석) | |||
102번 (좌석) | 228번 | 화곡동 | 용두동 |
102번 (입석) | 229번 | 개화동 | 영등포구청 |
111번 (좌석) | 233번 | 구평동 | 공무원아파트[9] |
104번 (입석) | 243번 | 상계동 | 서울역 |
104번 (좌석) | |||
105번 (입석) | 271번 | 거여동 | 시청 |
108번 (입석) | 272번 | 송파동 | 서울역 |
109번 (입석) | 273번 | 광주군 동부면 신장리 | 을지로5가 |
110번 (입석) | 274번 | 하일동[10] | 서울역 |
116번 (입석) | 275번 | 광주군 중부면 수진리 | 천호동 |
106번 (입석) | 288번 | 원지동 | 시청 |
[1] 체계가 유지되었다는 얘기지 노선이 유지되었다는 얘기는 아니다.[2] 좌석버스(미니버스) 제도 시행 초창기인 1977년에는 두자리 수 번호를 사용했으나, 대략 80년대 초반 이후에는 차량 대형화와 도시형버스와 노선이 비슷한 좌석버스의 확대 등등의 사유로 700번대까지 사용하게 되었다.[3] 서대문구 홍제3동 일대에 있는 마을로, 인왕산 자락에 있는 산동네이다. 과거 제일여객 등의 차고지가 위치해 있었다.[4] 1970년 당시 '농대앞'은 두 장소로 유추해볼 수 있는데, 한 곳은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했던 서울대학교 농과대학과 서울시립대학교의 당시 명칭인 서울농업대학이다. 그러나 당시의 교통상황을 볼 때 시외버스와 기차로만 갈 수 있던 수원까지 서울시 시내버스가 운행되었을 확률은 매우 낮아 후자의 확률이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교통이 매우 발달한 현재에도 서울 시내버스는 의왕시까지만 운행한다.[5] 지금의 서강대역 인근을 말하며, 6716번처럼 루프형 회차 방식으로 운행했다.[A] 명동을 경유한 뒤 서울역에서 회차하는 방식이었다.[A] [A] [9] 현재 이촌동 한가람아파트[10] 게내(고덕천)의 아래쪽에 있었다고 하여 '하일리'였으며, 과거 경기도 광주군 구천면 하일리였다. 1963년 서울특별시 성동구 하일동으로 편입되었으며, 1979년 현재 행정구역인 강동구 하일동으로 분리되었다. 2000년대 들어 강동지역 재개발 붐에 맞추어 '하(下)'라는 글자가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아 2000년 강일동으로 개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