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8-01 22:40:42

훈장(상훈)/중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훈장(상훈)
파일:훈장 아이콘.svg 각국의 훈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39A60><colcolor=#fff> 현존하는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해체된 국가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개별 문서로 분리된 '국가별 훈장' 이외 국가의 훈장은 훈장(상훈) 문서를 참조. }}}}}}}}}

1. 개요2. 종류
2.1. 무공훈장
2.1.1. 1950년대
2.1.1.1. 팔일훈장2.1.1.2. 독립자유훈장2.1.1.3. 해방훈장
2.1.2. 1970년대
2.1.2.1. 영웅모범장장2.1.2.2. 입공장장
2.1.3. 1980년대
2.1.3.1. 홍성공훈영예장2.1.3.2. 독립공훈영예장2.1.3.3. 승리공훈영예장
2.1.4. 2010년대
2.1.4.1. 영웅모범장장 (2011식)2.1.4.2. 입공장장 (2011식)

1. 개요

훈장의 종류가 매우 다양한 서방 국가들이나 방탄훈장으로 유명한 소련 등 과거 사회주의 국가들과 달리, 중국의 훈장은 가짓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심지어 소련과 북한, 베트남, 몽골 등에 존재하던 영웅 호칭도 없었다. 이는 국부마오쩌둥이 포상이나 상훈 같은 제도를 부정적으로 여겼기 때문으로 보이며, 군대도 탈계급/탈권위를 표방한 '인민의 군대'였기 때문인지 무공훈장도 비슷한 상황이다.

소련의 훈장이 훈장과 메달로 나뉘는 것처럼, 중국의 훈장 제도도 훈장과 장장(奬章)으로 크게 구분된다. 물론 훈격은 훈장이 높고 장장이 낮게 설정되어 있다. 다만 무공'훈장'의 경우 1955년과 1988년에 단기 수여되고 끝났기 때문에, 21세기 현재 군인들에게 수여되는 훈장이 모두 장장이라도 딱히 권위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파일:external/2a61593e96675b591a22c8edfa279aae205993a11be3897e32a7a910f4ab5ecf.jpg
사진의 인민해방군 해군 군관들처럼 약장을 가라로 적당히 짬에 따라 다는 악습이 아직 남아 있다. 자세히 보면 일정한 패턴으로 같은 배열의 약장이 이어서 달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같은 약장이 네개나 있다 가운데의 미 해군대장해군참모총장 시절 중국을 방문한 개리 러프헤드 제독이다.

2. 종류

2.1. 무공훈장

인민해방군에서 특출난 공을 세운 이들에게 수여하는 훈장. 크게 195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2010년대에 제정된 것들로 나눌 수 있다.

2.1.1. 1950년대

파일:중화인민공화국 훈장종류.jpg
펑더화이가 국방부장이던 1955년에 소련의 영향을 받아 계급제와 함께 제정했는데, 높은 순서대로 팔일훈장, 독립자유훈장, 해방훈장 세 종류가 있었다. 인민해방군의 소위 '10원수'나 '10대장'의 정복 사진에 있는 훈장 세 종류가 모두 저 훈장들이다.
2.1.1.1. 팔일훈장
정체자: 八一勳章 / 간화자: 八一勋章

인민해방군 공식 문장에도 새겨진, 난창 봉기 기념일인 1927년 8월 1일을 기념하는 훈장. 제정 당시 중국 최고 등급의 무공훈장이었다. 난창 봉기를 시작으로 제2차 국공합작이 이루어지는 1937년 7월 6일까지 벌어진 제1차 국공내전 기간 동안 전투에 참가해 공을 세운 이들에게 수여되었다. 1급~3급의 급수가 주어지는 훈장과 인민해방군의 직계 전신인 중국공농홍군 병사들에게 주어진 메달인 팔일장장(八一奬章)으로 나뉘었다.

훈장은 오각형 별 속에 인민해방군 공식 문장이 새겨지는 식으로 디자인되어 있고, 1급은 훈장 전체가 금장으로 되어 있다. 2급은 별의 톱니 모양 장식이 은장으로 제작되었고, 3급은 별 전체가 은장으로 제작되었다. 훈장 정장은 옷의 왼쪽(착용자 기준 오른쪽)에 달며, 모든 훈장보다 위에 가도록 패용한다. 약장은 급수 별로 적색 바탕에 황색 선이 정중앙에 급수 별로 한 줄(1급), 두 줄(2급), 세 줄(3급)씩 쳐져 있다.

1급 수훈자는 총 178명이었고, 계급 별로는 원수 10명, 대장 10명, 상장 49명, 중장 67명, 소장 35명, 대교 3명, 기타 4명에게 수여되었다.
2.1.1.2. 독립자유훈장
정체자: 獨立自由勳章 / 간화자: 独立自由勋章

중일전쟁에서 무공을 세운 이들에게 주어진 훈장. 역시 1~3급의 등급 분류가 있었고 사병들에게 주어진 메달인 독립자유장장(獨立自由奬章)이 있었다. 훈장은 팔각별 안에 중국 공산당의 혁명 사적지인 산시 성 옌안의 보탑산(바오타샨)과 그 정상에 솟아 있는 보탑이 금장 부조로 새겨져 있고, 보탑 위에는 붉은별이 들어가 있다.

1급 훈장은 훈장 전체가 금장으로 제작되었고, 2급은 테두리의 팔각별이 은장으로, 3급은 팔각별과 도안 주위의 장식이 은장으로 제작되었다. 약장은 녹색 바탕에 황색 선이 정중앙에 급수 별로 한 줄(1급), 두 줄(2급), 세 줄(3급)씩 쳐져 있다. 정장을 옷에 달 때는 옷 왼쪽에 패용하되, 팔일훈장도 받았을 경우 팔일훈장 밑에 가도록 부착한다.

1급 수훈자는 총 313명이었고, 계급 별로는 원수 10명, 대장 10명, 상장 51명, 중장 145명, 소장 89명, 대교 4명, 기타 4명에게 수여되었다.
2.1.1.3. 해방훈장
정체자: 解放勳章 / 간화자: 解放勋章

중일전쟁에 이어 벌어진 제2차 국공내전에서 무공을 세운 이들에게 주어진 훈장. 팔일훈장과 독립자유훈장이 중국공농홍군 군인들에게만 수여된 데 반해 이 훈장은 적군이었던 국민혁명군 출신 전향자에게도 수여되었다. 단, 공농홍군으로 전향해 최소 2년 이상 내전에 참전한 경력이 있는 이들만 받을 수 있었다. 역시 1~3급의 급수 구분이 있는 훈장과 메달인 해방장장(解放奬章)이 있었다.

훈장은 오각별 속에 천안문이 들어가 있고 그 위를 붉은별이 비추는 부조로 장식되어 있다. 1급은 훈장 전체가 금장으로 되어 있고, 2급은 오각별이 은장, 3급은 오각별과 부조 주위의 원 장식이 은장으로 되어 있다. 정장을 달 때는 역시 옷 왼쪽에 패용하며, 팔일훈장이나 독립자유훈장 수훈자일 경우 해당 훈장 아랫쪽에 단다. 약장은 황색 바탕에 적색 선이 정중앙에 급수 별로 한 줄 (1급), 두 줄(2급), 세 줄(3급)씩 쳐져 있다.

1급 수훈자는 총 993명이었고, 계급 별로는 원수 10명, 대장 10명, 상장 57명, 중장 177명, 소장 618명, 대교 100명, 기타 21명에게 수여되었다.

2.1.2. 1970년대

이상 세 가지 훈장은 모두 1955년 한 해만 수여되었고, 이후에는 수훈자가 없어서 사실상 폐지된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이후 문화대혁명으로 군 계급이 다시 폐지되면서 모든 훈장들도 사문화되거나 폐지되었고, 문혁 종결 후인 1979년에 가서야 군공훈장이 새로 만들어졌다. 다만 훈장으로 분류되던 기존의 세 훈장들과 달리, 이 훈장들은 장장으로 이름붙였다.
2.1.2.1. 영웅모범장장
정체자: 英雄模範奬章 / 간화자: 英雄模范奖章

1979년 3월에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에서 제정한 훈장. 그 당시 제정된 군공훈장 중에서는 상급으로 분류되며, 1~2급의 급수 분류가 있었다. 1급 정장은 10각형 금별 속에 인민해방군의 팔일 문장이 새겨져 있었고, 2급 정장은 육각형 금별 속에 천안문과 인민해방군 군기가 새겨져 있었다. 약장은 녹색, 황색, 백색, 적색 네 가지 색으로 만들어져 있었고, 중앙에 들어가는 적색 선의 개수로 1급과 2급을 구분할 수 있었다.
2.1.2.2. 입공장장
정체자: 立功奬章 / 간화자: 立功奖章

역시 1979년 3월에 중앙군사위원회에서 제정한 훈장. 영웅모범장장보다는 아랫 단계로, 1~3급의 급수 구분이 있었다. 1급 정장은 오각별 금장 중앙에 인민해방군 문장이 들어갔고, 2급 정장은 별과 오각별을 겹친 금장 위에 천안문 부조가, 3급 정장은 역시 별과 오각별을 겹친 금장 위에 인민해방군 문장이 들어갔다. 약장은 흑색, 백색, 적색 세 가지 색으로 만들어져 있었고, 중앙의 적색 선 개수로 1~3급을 구분했다.

2.1.3. 1980년대

1988년에는 다시 군 계급이 부활하면서 세 등급의 무공훈장이 새로 제정되었다. 다만 이 훈장들도 1950년대 제정된 것들과 마찬가지로 장기 복무자들이나 참전용사들에 대한 1회성 포상의 성격이 짙었고, 그 해 수여된 후 수여자가 나오지 않고 있어서 사실상 사문화된 것으로 간주된다.
2.1.3.1. 홍성공훈영예장
정체자: 紅星功勳榮譽章 / 간화자: 红星功勋荣誉章
2.1.3.2. 독립공훈영예장
정체자: 獨立功勳榮譽章 / 간화자: 独立功勋荣誉章
2.1.3.3. 승리공훈영예장
정체자: 勝利功勳榮譽章 / 간화자: 胜利功勋荣誉章

2.1.4. 2010년대

2010년대 들어서는 군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상시 수훈되는 무공훈장의 개편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중앙군사위원회에서는 1970년대 말에 제정한 영웅모범장장과 입공장장의 디자인을 대폭 개편해 2011년에 새로 제정했다. 이에 따라 2011년 이후 수여되는 영웅모범장장과 입공장장은 2011식으로 별도 구분된다.
2.1.4.1. 영웅모범장장 (2011식)
정체자: 英雄模範奬章 / 간화자: 英雄模范奖章

2011년에 개정된 영웅모범장장은 급수 별로 디자인을 달리 했던 1979년의 것과 달리 금색 오각별에 월계수잎, 붉은기와 금색 인민해방군 문장이 차례로 겹쳐지는 것으로 통일시켰다. 급수 구분은 월계수잎과 오각별 아래의 톱니 장식의 재질 차이와 훈장 위의 문구로 하는 것으로 바뀌었는데, 1급은 훈장 전체가 금장이고 정장 지지대 위에 '一级英模'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2급은 월계수잎과 톱니 장식이 은장으로 되어 있고 정장 지지대 위에 '二级英模'가 새겨져 있다. 약장은 적색 바탕에 이파리와 별이 겹쳐진 금속 장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1급은 장식이 금장으로, 2급은 은장으로 만들어져 있다.
2.1.4.2. 입공장장 (2011식)
정체자: 立功奬章 / 간화자: 立功奖章

입공장장 역시 2011년 개정판은 오각별+오각형 바탕에 월계관과 적색 인민해방군 문장이 차례로 겹쳐지는 디자인 하나로 통일되었고, 훈장의 색에 따라 1~3급을 구분한다. 1급은 훈장 전체가 금장이고 2급은 오각별 밑의 오각형과 월계관이 은장, 3급은 오각형과 월계관이 동장으로 되어 있고 역시 정장 지지대에 각각 '一等功','二等功','三等功'이 각각 새겨져 있다. 약장 구분은 황색 바탕 약장 위의 적색 선 개수와 금속 장식 재질 차이로 확인할 수 있는데, 1급은 적색선 1+금장식, 2급은 적색선 2+은장식, 3급은 적색선 3+동장식으로 구분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