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18:15:31

황병근


'''1 이윤오 · 2 김민호 · 3 김지훈 · 4 이창용
C
· 5 김영찬 · 6 박종현 · 7 마테우스 · 8 김정현 · 9 모따
10 야고 · 11 최성범 · 13 한가람
VC
· 14 이민수 · 15 박정훈 · 16 최규현 · 17 강지훈 · 18 이동현 · 19 김운
20 이상용 · 21 에두아르도 · 22 김동진
VC
· 23 장정우 · 24 김보경 · 28 문성우 · 31 김다솔 · 32 이태희
33 전보민 · 37 리영직 · 41 황병근 · 55 토마스 · 71 채현우 · 77 임승겸 · 88 김성동 · 99 주현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병훈 {{{#!folding 스태프 더보기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황병근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황병근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21230; margin:-6px -1px -11px"
<rowcolor=#f9d800> 초대 2대 3대 4대 5대
장윤호
(2022)
황병근
(2022)
홍장우
(2022)
박창우
(2023)
유예찬
(2023)
<rowcolor=#f9d800> 6대 7대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워드마크.svg
박규민
(2024)
이준호
(2025~ )
}}}}}}}}} ||
}}} ||
파일:2025황병근.png
<colbgcolor=#4f1b87><colcolor=#ffffff> FC 안양 No. 41
황병근
黃秉根 | Hwang Byung-geun
출생 1994년 6월 14일 ([age(1994-06-14)]세)
대전광역시 대덕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3cm / 체중 93kg
포지션 골키퍼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4f1b87><colcolor=#ffffff> 선수 전북 현대 모터스 (2015~2022)
상주 상무 FC (2019~2020 / 군 복무)
전북 현대 모터스 B (2022)
부산 아이파크 (2022~2024)
부산 아이파크 퓨처스 (2023)
FC 안양 (2025~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f1b87><colcolor=#ffffff> 학력 대전목상초등학교 (졸업)
중리중학교 (졸업)
대구공업고등학교 (졸업)
국제사이버대학교 (학사)
}}}}}}}}} ||

1. 개요2. 선수 경력3. 대회 기록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같이 보기

1. 개요

대한민국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골키퍼.

2. 선수 경력

2.1. 전북 현대 모터스

2015년 K리그 드래프트에서 전북 현대 모터스에 추가 지명되며 다니던 국제사이버대를 중퇴하고 프로에 입단하였다.

시즌 초반 김태호의 부상으로 명단에 들기도 했지만, 당시 전북은 국가대표 골키퍼 권순태가 확고한 주전이었고 홍정남에게 밀려 서드 골키퍼 신세였던 황병근은 결국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하고 2015 시즌을 마감했다.

그래도 2016 시즌을 앞두고 전북과 재계약을 체결했고, 2016년 8월 17일 인천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프로 데뷔전을 치러 팀의 승리를 이끌었으며 이후에도 2경기에 출전하며 2016 시즌 3경기 출장을 기록했다.

2017 시즌을 앞두고 권순태가시마 앤틀러스로 이적하면서 세컨드 골키퍼가 되었으며, 5월 6일 대구 FC전에서 시즌 첫 출전을 기록했다. 이후 홍정남에게 밀리는 듯 했지만 9월 24일 대구 FC전에 다시 선발 출전하고 이후 스플릿 직전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경기를 무실점으로 승리하고 그 이후 스플릿 라운드부터는 주전으로 활약하였다.

하지만 2018 시즌을 앞두고 신인 골키퍼 송범근이 영입되며 주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었고, 2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홈 경기에서 선발로 나왔으나 최악의 경기력을 보여 준 데다 실책으로 결승골을 헌납하며 패배의 원흉이 되었다.

이 여파로 이후에는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다가 송범근의 아시안게임 차출, 홍정남의 부상으로 다시 기회를 잡았다. 하지만 FA컵 32강 부산교통공사 축구단과의 경기에서 캐칭 미스 후 PK를 내줘 실점하는 등 여전히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8월 15일, 포항 스틸러스전에서는 5실점하며 2:5로 대패했고, 8월 25일 상주 상무전에서는 답이 없는 실책성 플레이로 주민규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역적이 되었다.

8월 29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AFC 챔피언스 리그 8강 1차전 홈 경기에서 3실점을 했고, 팀은 0:3으로 대패했다. 이날 수원 삼성의 유효슈팅은 단 3개에 불과했다. 상대팀 골키퍼는 이날 유효슈팅 4개를 온몸을 던져 막아냈지만....

전북이 2018 시즌 리그에서 38경기 31실점을 했는데 황병근이 7경기에 나서 13실점을 했다. 스탯뿐 아니라 위에 서술되어 있듯이 실제 경기에서도 실점과 직결되는 실책을 많이 저질렀는데, 이는 송범근이 수비 빨만으로 스탯을 쌓고 실력을 인정받는 건 아니라는 증거였다.

2019 시즌에는 지난 시즌 강원 FC에서 활약했던 국가대표 출신 이범영이 영입되면서 4순위까지 밀려 버린지라 방출이 유력했으나 이범영이 입단한 지 일주일 만에 아킬레스건 파열로 드러눕는 바람에 거취는 미궁으로 빠졌다.

이후, 2019년 3월 발표된 상주 상무의 추가 모집에 응시한 것이 확인되었고,# 상무도 골키퍼가 필요한 상태라 무난하게 합격하면서 후반기부터는 상무 소속으로 뛰게 되었다.

2.2. 상주 상무 FC (군 복무)

상무에서도 주전 골키퍼 윤보상과 세컨드 키퍼 권태안에 밀려 서드 골키퍼 신세는 계속되었다. 그나마 윤보상이 시즌 중 장기 부상을 당하며 세컨드로 올라오기는 했지만 출전 기회는 거의 잡지 못했다.

2020 시즌 개막 전 윤보상권태안은 전역했지만 지난 시즌 제주에서 활약한 이창근이 입대하면서 험난한 주전 경쟁을 예고하였다.

일단은 예상을 깨고 1라운드 울산 현대전에 출전했다. 선방도 있었지만 상대의 압도적인 화력에 못 이겨 전후반 각각 2골씩 허용하며 4실점, 팀은 0:4로 대패했다.

2라운드 강원 FC전에서는 상대가 결정적인 찬스들을 죄다 날려 버리고 골대 불운에 시달리며 운 좋게 클린시트를 기록했다. 팀은 2:0으로 승리.

3라운드 광주 FC전에서도 상대가 유효 슈팅을 거의 못 하는 바람에 무난하게 클린시트를 기록했다. 80분 볼 처리 과정에서 쇄도하던 김효기의 머리와 황병근의 무릎이 충돌하며 큰 부상을 입혔지만, 고의성이 없었기에 반칙은 선언되지 않았다.

4라운드 대구 FC전에서는 홍정운의 결정적인 슛과 에드가의 헤딩을 막는 등 여러 번 선방을 기록했고 공중볼 처리도 아주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세징야의 환상적인 힐킥에 실점해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지만 2020 시즌 들어 안정감이 확실히 늘어난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5라운드부터는 이창근이 계속 출전하여 주전을 뺏겼다.

울산시민축구단과의 FA컵 3라운드 경기에 출전하여 수많은 선방쇼로 골문을 든든하게 지키며 클린시트를 기록했다. 팀은 2:0으로 승리하여 16강에 진출했다.

FA컵 16강 포항 스틸러스전에서도 출전했으나 전후반에 각각 1골씩 내주었고, 이후 2:2로 연장전에 돌입했으나 박병현의 자책골로 패배했다.

2.3. 전북 현대 모터스 2기

파일:223629198_543049276741645_3462712928582151287_n.jpg

2021년 전역하고 전북으로 복귀하였으며, 데뷔할 때부터 달던 등번호 41번을 다시 배정받았다.

2021년 7월 4일에 열린 AFC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4차전 템파인스 로버스 전에서 골키퍼 장갑을 꼈고, 몇번의 불안불안한 상황이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클린시트를 지켜내며 팀의 4:0 완승에 기여했다.

2021 시즌 전북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 ACL을 포함해 도합 1경기 출전 클린시트 1회.

2022 시즌에는 전북 현대 모터스 B에서 선발로 자주 출전했으며, 1군으로 올라와 벤치를 지키기도 했다.

2.4. 부산 아이파크

2022년 7월 1일, K리그2 부산 아이파크로 이적했다. 박진섭 감독이 전북 현대 모터스B 감독으로 있던 시절 자주 선발로 출전시켰기 때문에 중용받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2022년 7월 3일, 충남아산축구단과의 맞대결에서 교체 출전으로 데뷔했다. 등번호는 31번.

2022년 7월 6일, 김포 FC와의 경기에서는 3실점 1PK 헌납을 하며 험난한 리그 데뷔전을 치렀으나, 본인이 내준 PK를 본인이 멋있게 막아내며 체면치레를 했다.

2023 시즌에는 전북에서 달았던 등번호 41번을 달고 뛰게 되었다. 하지만 구상민이 전경기 풀타임을 소화하는 바람에 기회를 받지 못했다.

2024 시즌을 앞두고 부산과 재계약을 체결했으며, 2024 시즌 역시 구상민에 이어 세컨 골리로 활약했고, 시즌 종료 후 FA로 풀려 팀을 떠나게 됐다.

2.5. FC 안양

2.5.1. 2025 시즌

2025 시즌을 앞두고 K리그1 승격팀 FC 안양에 합류하며 약 3년 만에 K리그1을 복귀했다. 등번호는 전북에서 달던 41번을 달았다.

7라운드 강원 FC 홈경기에서 김다솔의 퇴장 공백으로 인해 선발 기회를 잡으며 5년 만에 K리그1 출전이자 안양 데뷔전을 치뤘다. 위협적인 헤더가 골대를 맞는 등 약간의 행운도 따랐지만 어쨌든 클린시트를 기록하며 팀의 2:0 승리 및 역사적인 창단 첫 K리그1 홈 첫 승에 일조했다. 개인적으로 지난해 8월 24일 김포전 이후 약 8개월 만의 클린시트를 거뒀다.

3. 대회 기록

4. 플레이 스타일

기본적인 선방력이 좋아 슈퍼 세이브를 자주 연출하며 PK 선방 능력 또한 장점으로 꼽힌다. 다만 시야와 킥력의 문제로 캐칭 후의 볼 방출에 있어서 답답한 모습을 보인다.

5. 여담

6. 같이 보기

<nopa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1f0149,#cda55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C 안양 2025 시즌 스쿼드
파일:2025이윤오.png 파일:2025김민호.png 파일:2025김지훈.png 파일:2025이창용.png 파일:2025김영찬.png
1 2 3 4(C) 5
이윤오
Lee Yunoh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1999.03.23
2024~
김민호
Kim Minho
[U-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3.01.09
2024~
김지훈
Kim Jihun
[U-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4.10.14
2025~
이창용
Lee Changyo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0.08.27
2022~
김영찬
Kim Youngch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3.09.04
2024~
파일:2025박종현.png 파일:2025마테우스.png 파일:2025김정현.png 파일:2025모따.png 파일:2025야고.png
6 7 8 9 10
박종현
Park Jonghy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0.11.24
2022~
마테우스 올리베이라
Matheus Oliveira

파일:브라질 국기.svg | MF
1997.09.28
2024~
김정현
Kim Jeonghy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3.06.01
2022~
브루누 모타
Bruno Mota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1996.02.10
2025~
야고 세자르
Yago Cesar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1997.05.26
2023~
파일:2025최성범.png 파일:2025한가람.png 파일:2025이민수.png 파일:2025박정훈.png 파일:2025최규현.png
11 13(VC) 14 15 16
최성범
Choi Sungbu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1.12.24
2023~
한가람
Han Kara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8.02.09
2024~
이민수
Lee Minso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2.01.11
2024~
박정훈
Park Jeonghun
[U-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4.08.21
2024~
최규현
Choi Gyuhye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0.09.19
2024~
파일:2025강지훈.png 파일:2025이동현.png 파일:2025김운.png 파일:이상용_2023.png 파일:2025에두아르도.png
17 18 19 20 21
강지훈
Kang Jih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7.01.06
2025~
이동현
Lee Donghyeon
[U-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5.10.05
2024~
김운
Kim W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4.11.15
2024~
이상용
Lee Sangyo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4.03.19
2017~
에두아르도 자신토
Eduardo Jacinto

파일:브라질 국기.svg | MF
1997.01.09
2025~
파일:2025김동진.png 파일:2025장정우.png 파일:2025김보경.png 파일:2025문성우.png 파일:2025김다솔.png
22(VC) 23 24 28 31
김동진
Kim Dongj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2.12.28
2022~
장정우
Jang Jungwoo
[U-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4.11.09
2025~
김보경
Kim Bokyu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89.10.06
2025~
문성우
Moon Seongwoo
[U-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3.05.15
2023~
김다솔
Kim Daso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1989.01.04
2024~
파일:2025이태희.png 파일:2025전보민.png 파일:2025리영직.png 파일:2025황병근.png 파일:2025토마스.png
32 33 37 41 55
이태희
Lee Taehe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2.06.16
2023~
전보민
Jeon Bom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0.05.10
2022~
리영직
Ri Yongjik

파일:북한 국기.svg | MF
1991.02.08
2024~
황병근
Hwang Byungge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1994.06.14
2025~
토마스 오데 코테
Thomas Oude Kotte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1996.03.20
2025~
파일:2025채현우.png 파일:2025임승겸.png 파일:2025김성동.png 파일:2025주현우.png 파일:FC 안양 로고.svg
71 77 88 99
채현우
Chae Hyunwoo
[U-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4.08.19
2024~
임승겸
Lim Seunggyeo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5.04.26
2021~
김성동
Kim Sungdo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2002.03.23
2023~
주현우
Joo Hyunwo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0.09.12
2020~
<colbgcolor=#cda55f> 구단 정보
구단주: 최대호 / 감독: 유병훈 / 홈구장: 안양종합운동장
출처: FC 안양 공식 웹사이트, K리그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2월 19일

[U-22] [U-22] [U-22] [U-22] [U-22] [U-22] [U-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