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지방시대위원회 역대 위원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 (2003~2009)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초대 성경륭 | 제2대 이민원 | 제3대 최상철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지역발전위원회 위원장 (2009~2018)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초대 최상철 | 제2대 홍철 | 제3대 이원종 | 제4대 허남식 | 제5대 송재호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 (2018~2023)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1·2대 송재호 | 제3대 김사열 | 제4대 우동기 | ||||||
2023년 국가균형발전위원회 · 자치분권위원회 통합 | ||||||||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 (2023~현재) | ||||||||
<nopad> 윤석열 정부 | ||||||||
초대 우동기 | }}}}}}}}}}}} |
<colcolor=#fff> 대한민국 제2대 지역발전위원회 위원장 홍철 洪哲 | Hong Chul | |
| |
<colbgcolor=#003764> 출생 | 1945년 7월 17일 ([age(1945-07-17)]세) |
경상북도 포항시 | |
학력 | 서울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 / 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박사) |
경력 | 한국개발연구원 수석연구원 대통령비서실 경제비서관 건설교통부 기획관리실장 건설교통부 차관보 제8대 한국교통안전공단 이사장 제8대 국토개발연구원장 칭다오시 경제고문 제3대 인천대학교 총장 건설교통부 국토정비기획단 자문위원 대구경북연구원장 전국시도연구원협의회 회장 경제정의실천엽합 도시개혁센터 고문 제2대 지역발전위원회 위원장 (이명박 정부) 제25대 대구가톨릭대학교 총장 |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교육인, 공공기관인.2. 생애
1945년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태어나 서울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現 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마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한국개발연구원 등에서 수석연구원으로 재임하였으며 1984년 대통령비서실 경제비서관으로 발탁되어 공직에 들어섰고 이후 건설교통부(現 국토교통부)에서 기획관리실장, 차관보 등을 지낸 뒤 1997년 문민정부에서 건교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이사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1997년 다시 국토개발연구원(現 국토연구원)의 원장으로 재임명되어 1999년까지 재직하였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는 인천대학교 총장으로 재직하였으며 2004년부터 2011년까지는 대구경북연구원장을 맡으며 3연임하였다.
2011년 이명박 정부에서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現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어 2013년까지 재임하였다.
2013년 대구가톨릭대학교 총장으로 선임되어 2017년까지 재직하였다.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한국교통안전공단 역대 이사장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초대 조영길 | 2-3대 이필조 | 4대 이창구 | 5대 하소곤 | |
6대 강동석 | 7대 김창원 | 8대 홍철 | 9대 유직형 | |
10대 이승일 | 11대 김종희 | 12대 박남훈 | 13대 정상호 | |
14대 정일영 | 15대 오영태 | 16대 권병윤 | 17대 권용복 | |
18대 정용식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 국토연구원 역대 원장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초대 노융희 | 2대 김의원 | 3대 황명찬 | 4대 허재영 | 5대 이상룡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6대 이건영 | 7대 유상열 | 8대 홍철 | 9대 이정식 | 10대 이규방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11대 최병선 | 12·13대 박양호 | 14대 김경환 | 15대 김동주 | 16·17대 강현수 | |
<nopad> 윤석열 정부 | |||||
18대 심교언 | }}}}}}}}} |
인천대학교 총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6대 |
김형걸 | 김민하 | 민병기 | 서정홍 | 박재규 | |
<rowcolor=#fff>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
장윤익 | 장학식 | 황규복 | 김학준 | 홍철 | |
<rowcolor=#fff>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박호군 | 안경수 | 최성을 | 조동성 | 박종태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1970, #003278 20%, #003278 80%, #19197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d50000> 성 유스티노 신학교 | |||
샤르즈뵈프 | 페네 | 타케 | 리샤르 | |
최민순 (요한) | ||||
효성여자초급대학 > 효성여자대학 > 효성여자대학교 | 선목신학대학 > 대구가톨릭대학 > 대구가톨릭대학교 | |||
전석재 (이냐시오) | 김영환 (베네딕토) | 이종흥 (크리산도) | 정하권 (플로리아노) | |
박도식 (도미니코) | 정달용 (요셉) | 김영환 (베네딕토) | ||
<rowcolor=#d50000>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 대구가톨릭대학교 | ||||
제18대 김경환 (토마스) | 제19·20대 최한선 (예로니모) | 제21대 김경식 (보니파시오) | 제22대 김수업 (토마스 아퀴나스) | |
제23대 서경돈 (알베르토) | 제24대 소병욱 (프란치스코) | 제25대 홍철 (아우구스티노) | 제26대 김정우 (요한) | |
제27대 우동기 (파스칼) | 제28대 성한기 (요셉) | |||
<rowcolor=#d50000> 총장의 대수는 성 유스티노 신학교 시절부터 가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