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우럭(호주농어) Australian bass | |
학명 | Percalates novemaculeata Steindachner, 1866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강 | 조기어강 Actinopterygii |
목 | 검정우럭목 Centrachiformes |
속 | 페르칼라테스속 Percalates |
종 | 호주우럭 P. novemaculeata |
멸종위기등급 | |
|
[clearfix]
1. 개요
페르칼라테스속에 속하는 검정우럭목 물고기. 어떤 과에 속하는지는 불분명하다.2. 상세
호주 동부 해안의 강과 개울에서 발견되는 소형~중형 물고기다. 몸길이 평균 20~30cm, 무게 평균 0.4~0.5kg으로 남부 수역에서는 몸길이는 최대 55cm, 무게는 최대 2.5kg이며 북부 수역에서는 몸길이 최대 60~65cm, 무게 최대 3kg이다. 옆으로 압축된 적당히 깊고 길쭉한 몸을 가지고 있으며 꼬리지느러미는 갈라져 있으며 뒷지느러미는 각이 져 있고 등지느러미는 부드럽지만 가시가 있어 비교적 높고 튼튼하며 날카롭다. 중간 크기의 입을 가지고 있으며 눈이 커서 어두운 곳에서는 어둡게 보이고 밝은 곳에서는 밝게 보인다. 아가미덮개에는 사람의 손가락을 자를 수 있을 정도로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바닥이 맑은 모래로 되어 있는 곳에서는 금속성 금색을 띄지만 기질이 어둡거나 타닌 얼룩이 있는 곳에서는 청동색이나 청동색 계열의 녹색을 띈다.회유성 물고기로 9월에 산란 후 강의 하류로 재진입하며 10~11월에 중류 지역으로 이동하며 12~2월에 상류 지역으로 올라가며 3~4월에 산란을 위해 다시 내려가며 5월에 강어귀에 와서 산란을 하며 6~8월에 하구에 모두 모여 산란이 마무리된다. 적절한 토착 물가 식물과 하천 내 덮개가 있는 서식지를 필요로 한다. 낮에는 덮개 위에서 지내며 가라앉은 목재, 깎아지른 둑, 바위, 물 위로 늘어진 나무, 덤불 아래의 그늘, 두꺼운 수초밭 등을 덮개로 사용한다.
얕은 물과 수면에서 먹이를 사냥하며 매미 같은 육상 곤충, 털파리의 구더기 같은 수생 거대 무척추동물, 수생 갑각류, 납작머리송어(납작머리망둑어)와 같은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성장 속도가 느려서 매우 오래 산다. 수컷은 최대 크기가 1kg 이하인 반면 암컷은 대부분 1kg을 초과하며 최대 2.5~3kg이다. 수컷은 3세 이상, 암컷은 5~6세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암컷은 평균 440,000개의 알을 낳으며 하구에 있는 해초와 같은 식물들로 알을 지킨다. 치어는 2~3일 만에 부화한다.
유전자 분석 결과 강어귀우럭(강어귀농어)(Percalates colonorum)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