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 호붕빵 아저씨 Mr. Tiger's Snacks | |
| <nopad> | |
| <colbgcolor=#FFFF00,#FFFF00><colcolor=#000000,#000000> 장르 | 드라마, 수인, 일상물 |
| 작가 | 정다운 |
| 연재처 | 네이버 웹툰 ▶ 네이버 시리즈 ▶ |
| 연재 기간 | 2024. 11. 12. ~ 연재 중 |
| 연재 주기 | 토 |
| 이용 등급 | 전체 이용가 |
| 관련 사이트 | |
1. 개요
한국의 웹툰. 작가는 정다운.2. 줄거리
||<table bordercolor=#000000,#000000><table bgcolor=#FFFF00,#FFFF00><table color=#000000,#000000> 귀여운 디저트를 판매하고 싶은 꿈을 가진 호랑이, 맹호석.
한때는 무서운 조직의 일원이었지만, 손을 씻고 시작한 건… 다름 아닌 붕어빵 장사!
하지만 새 삶도 결코 순탄하지 않은데…
선입견과 편견이 가득한 시선 속에서, 호석은 과연 동네 주민들과 잘 어울리고, 디저트 판매의 꿈을 이룰 수 있을까?
커다랗지만 순한 호랑이 아저씨 호석과, 귀여운 주민들이 만들어가는 따뜻한 일상 이야기! ||
한때는 무서운 조직의 일원이었지만, 손을 씻고 시작한 건… 다름 아닌 붕어빵 장사!
하지만 새 삶도 결코 순탄하지 않은데…
선입견과 편견이 가득한 시선 속에서, 호석은 과연 동네 주민들과 잘 어울리고, 디저트 판매의 꿈을 이룰 수 있을까?
커다랗지만 순한 호랑이 아저씨 호석과, 귀여운 주민들이 만들어가는 따뜻한 일상 이야기! ||
| 네이버 웹툰 / 네이버 시리즈 소개글 |
덩치가 크지만 누구보다도 순둥이인 주인공 호랑이 수인 호석와 귀여운 주민들이 만들어가는 따뜻한 일상 이야기.
3. 등장인물
호붕빵 아저씨/등장인물 참고.4. 배경 및 설정
현실의 서울특별시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1]4.1. 지역
4.1.1. 서울특별시 월묘구
주요 배경으로 나오는 지역. 해당 동네에서 남산서울타워가 근거리에 위치한 배경으로 나오거나 호석이 붕어빵 장사를 하는 장소의 근처에 위치한 다옹역에 묘사된 색깔이 서울 지하철 3호선과 똑같은 주황색인 것으로 보아, 월묘구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또는 중구를 모티브로 한 곳으로 보인다.4.1.1.1. 다옹동
- 다옹역
다옹동에 위치한 역. 호석이 장사를 하는 노점[2]이 이 역의 3번 출구 옆에 위치해 있다. - 엘 도라도
고층 아파트. 작중 묘사로는 다옹동 주민들 사이에서 부자 아파트로 통하고 있으며, 현재 호동이 어머니와 거주중이고 앵숙도 이곳에 거주하고 있다. - 다옹중학교
황삼순과 민초희가 다니는 중학교. - 다옹초등학교
백설기, 인절미, 홍루비, 이호동이 다니는 초등학교. - 이세계백화점
4.1.2. 금수동
현재 맹호석이 거주중인 지역. 다옹동 옆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느 구에 위치해 있는지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옆동네라는 작중 인물의 말로 보아 금수동도 월묘구에 있는 곳일 가능성이 높다.4.1.3. 백호동
Furmotion 등 IT기업이 입주해있는 지역.
4.1.4. 홍학동
황학동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홍학동 주방거리
22화에 등장. 호석이 노점을 리뉴얼하기로 계획하면서 사용할 주방 용품을 구입하기 위해 춘봉과 함께 방문한 곳이다.
4.1.5. 서울특별시 견산구
- 멍대병원
현재 정도만의 부친이 입원중인 대학병원으로, 개사관로에 위치해 있다.[3]
4.2. 설정
- 앵숙 및 일부 인물들의 반응[4]과 호석의 장사 초반에 타 인물들이 보인 반응을 보면 호랑이라는 종은 해당 세계관에서 좋지 않은 선입견에 씌어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호석의 비대한 덩치와, 소형 동물의 생존본능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으나, 작중 음식(육류) 및 동물(예:참새) 구분 묘사를 보면 생존본능과는 다른 문제일수도 있고, 나름 중형견인 춘봉이 호석에게 처음에 압도감을 느끼는 모습[5]에서 좀 다른 이유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앵숙의 해당 발언이 제일 의미심장하다.
- 작중에서 수인들의 식문화가 종 상관없이 현실의 인간처럼 잡식인 것으로 보이는데, 예를 들어 염소 수인인 하갑 할아버지가 계란빵을 즐기며,[6] 호랑이 수인인 호동이 팥 붕어빵을 좋아하는 등의 장면이 나온다. 다만 2화에서 미어캣 수인이 마트에서 밀웜을 사려고 하는 장면이 묘사되는 등, 현실 동물의 식생태를 반영한 듯한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
- 서로 다른 종이 결혼을 하면 부모의 형질을 전부 물려받는 것이 아니라 부모 중 한쪽의 형질만 물려받는것으로 보인다.[7] 다만 머릿수가 많은 경우를 포함해서, 대부분의 경우에는 같은 종족끼리 결혼하는 것으로 보인다.[8]
- 등장인물로 나오는 수인과 별개로 가축, 반려동물 등 일반적인 동물[9]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운동회 에피소드에서 나온 상품 중 하나로 '애완동물 AI 자동 화장실'이 나오기도 했으며, 고깃집에서 호석이 도만, 춘봉, 달수와 자주 모여 고기를 먹는 장면이 나오곤 한다.
5. 해외 연재
#!if ACCENT = "#20d45d", ACCENT_FONT = "#fff"
| |
| {{{#!wiki style="font-size: min(0.9em, 3vw);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
- 2025년 5월 7일부터 Mr. Tiger's Snacks라는 제목으로 WEBTOON의 영어 채널에서 번역 연재가 시작되었다.
6. 평가
수인을 차용한 힐링물에 가까운 일상물로[10] 현실적이고 한국적인 배경묘사와 가벼운 일상물 분위기를 띄고 있어 부담 없이 접근하기 좋다는 평가가 많다. 탄탄한 그림실력으로 다양한 체형의 수인캐릭터가 등장하는것도 호평요소.7. 기타
- 원래는 첩보물로 기획되었으나 힐링물로 노선을 바꿨다. 그래도 초반부까지는 초기 기획안과 스토리가 같다.
- 트위터와 베도 시절에는 4컷 형식의 연재로, 조직 컨셉의 옴니버스 에피소드였다. 이후 공모전에서 일반 웹툰 형식으로 리부트를 하면서 지금과 같은 스토리가 갖춰지며 설정이 조금씩 수정되었다.[11]
- 이 작품은 작가의 첫 정식 연재작이다. 초창기에 비교했을때 연재해가며 작화도 스토리도 점점 개선되는 것이 매력이다.
- 현재 웹툰 플랫폼에서 연재중인 수인 창작물 중 제일 대중성이 있다.[12]
- 해당 웹툰을 그린 정다운 작가는 같은 소속의 수인 캐릭터를 그린 적이 있는 박현욱과 정식 연재 전에도 친분이 있어서 서로가 자신의 작품 캐릭터 팬아트를 종종 주고받았고 합방한 적이 있다.[13]
- 연재 시작 전 작가의 평소 X를 보면, 퍼리 등 그림과 기타 예술, 서브컬쳐에 가방끈이 긴 것으로 느껴진다.
또한 작중에서 나오는 묘사를 보아, 다양한 분야에 몸담고 있었던 것으로도 느껴진다.[14]
[1] 작가인 정다운 본인도 서울에서 거주하고 있다.[2] 이후 같은 장소에서 노점을 컨테이너로 리뉴얼했다가 옆에 위치한 건물 1층에 새로 가게를 열었다.[3] 실제로 대사관로는 용산구와 성북구에 위치해 있는데, 언어유희로 이름을 지었다고 가정하면 견산구는 용산구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4] 호동을 보고는 호랑이면 부모가 무슨 일을 하겠냐는 식으로 험담했고, 대식 역시 12화에서 (비록 호석의 장사를 방해하기 위해 부리는 어거지이지만) 다들 대형종들이 무슨일하는지 대충 알지 않느냐고 외치기도 했다.[5] 다만 호석이 춘봉보다 상당히 덩치가 큰데다, 호석이 다른 조폭들 사이에서도 유명할 정도로 험상궃게 생겼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6] 다만 초식동물이 무조건 육식을 절대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7] 30화에서 호석이 미호와 데이트를 하다가, 미호와 결혼한 후 호랑이인 딸과 북극여우인 아들을 낳고 행복한 삶을 사는 모습을 상상하는 장면이 나온다.[8] 춘봉의 양부모님도 모두 토끼이며, 호동의 엄마가 호동에게 아빠도 엄마처럼 호랑이였다고 말해주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9] 작중에서는 개, 고양이, 비둘기 등 수인이 아닌 동물들이 묘사되었다.[10] 마냥 힐링물이라고 하기엔 맹호석의 과거나 편견등 여러가지 불안요소나 중간중간 등장하는 씁쓸한 부분들이 존재한다. 한국판 주토피아라는 평가도 있다.[11] 호석, 춘봉, 도만은 원래부터 아는 사이였고 비밀 요원으로써 붕어빵 장사를 하며 타겟을 감시하는 설정이었는데 그 타겟의 정체는 끝내 밝혀지지는 않았다. 다만 작중 시간이 흘러 봄이 되면서 호석이 붕어빵 장사를 그만두게 되며 주인공임에도 스토리에서 붕 떠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12] 수인 팬덤이 아닌 독자들도 선호하는 반응이 있다[13] 두 작가 모두 수인을 소재로 한 작품을 쓴 네이버 웹툰 작가이기도 하다.[14] 프로그래밍 묘사라던지, 세세한 부분에서 되게 고증이 꼼꼼하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