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15:41:54

헬 플레임

<colcolor=#ffffff><colbgcolor=#ff905e>
파일:프로미넌쓰번.gif
헬 플레임
ヘルフレイム | Hell flame
사용자 토도로키 엔지
타입 발동계
[clearfix]
1. 개요2. 효과3. 기술
3.1. 혁작열권(赫灼熱拳)
4. 기타

1. 개요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에 등장하는 토도로키 엔지의 개성.

2. 효과

연소계 개성 중에서 최강의 화력을 자랑한다고 알려진 개성.[1]

아들 토도로키 쇼토가 한 쪽 개성을 사용하지 않을 때 느낀 것과 마찬가지로 개성을 사용하면 체온이 올라간다는 한계가 있다.[2] 강한 화력을 낼수록 체온이 격하게 오르기 때문에 상대의 방어력이 강할 수록 지구전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결정타를 날릴 때가 아니면 되도록 최소한의 화력으로 적을 제압하는 전법을 취한다. 상대가 강할수록 단기 결전으로 승부를 봐야 하는 개성. 그러나 설정 상으로는 기를 써도 결국 지구력을 가질 수는 없는 개성이라지만, 작중 묘사를 보면 신체에 과도한 열을 주는 것을 반복하면 열 용량이 늘어나는 등 개성이 신장되는 것으로 보인다. 작중에서의 모습을 보면 노우무 전→시가라키 토무라 전→올 포 원 전 순으로 신체에 열이 무리하게 쌓일 때마다 다음 전투에서 혁작열권의 사용횟수가 늘어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노우무 전에서는 혁작열권이 네 방 정도도 한계를 넘어서 사용하는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시가라키 토무라 전에서는 식히는 시간과 쇼토의 얼음이 있던 것을 감안해도 6번 정도를 무리없이, 프로미넌스 번까지 일곱 번을 사용하며, 올 포 원 전에서는 아예 전신에서 혁작을 뿜어내는데도 상당히 장기전을 지속한다.

애니 2기 17화에서 개성이 원작보다 상세히 묘사된다. 단순 위협 용도로 뿜은 불꽃도 사실상 무통증인 노우무가 아니었으면 까무러치는 저지력을 가졌고, 가죽이 통째로 벗겨지고 부러진 팔도 순간재생하는 검은 노우무는 일단 단순한 펀치만으로 날려버렸다가[3] 다가가서 시퍼런 불꽃으로 머리를 통째로 탄화시켜 제압, 날개 노우무가 누군가를 낚아채며 도망가자 불로 공을 만들어 던지고 발바닥에서 뿜는 불로 벽을 녹이는 것으로 발판을 만들며 타고 올라가서 불꽃 창을 던져 한쪽 눈을 꿰뚫고 떨어지는 인질을 안아든 뒤 발바닥에서 뿜는 불을 추진기 삼아 안전하게 착지했다.

엔데버는 토도로키 쇼토의 '반냉반열'이 자신의 상위호환이라고 평가하는데, 이는 쇼토가 개성 사용 시의 체온 변화를 반대쪽으로 상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아무리 단련을 거듭해도 자신은 얻을 수 없는 지구전 수행 능력을 쇼토는 손쉽게 확보할 수 있다.[4] 그러나 어디까지나 쇼토의 개성이 엔데버의 상위 호환이라는 거지, 쇼토 본인의 역량은 엔데버에 비해 너무나 부족하다. 경험치 차이가 있으니 당연하다면 당연한 일이지만 화력, 화염 형태 조절, 화염 범위 조절, 온도 조절 속도, 공격 발동 속도 등등 쇼토가 엔데버 이상의 전투력을 발휘하기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가 한둘이 아니며 쇼토는 화염뿐만이 아니라 얼음을 사용하는 것에도 숙달해야하므로 반랭반열을 완벽히 다루기 위해서는 다른 개성에 비해 상당한 기간동안 꾸준히 단련해야한다.

연소계 개성 중 최강의 것을 타고나 그것을 극한까지 단련한 달인이지만, 연소계 개성인 이상 물 등 연소를 방해하는 요소가 지속적으로 유입되거나, 진공이 된다면 당연히 약해지며, 316화에서 올마이트의 연락을 받고 갔더니 미도리야가 레이디 나강을 이미 제압한 뒤이자, 비에 쥐약이라 늦어서 미안하다고 본인이 언급한다.

3. 기술

개성이 두 개인 것이나 마찬가지인 아들보다 기술이 다양하다.[5] 올마이트를 따라잡기 위해 모든 경우의 수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만들어 둔 것으로 보이며, 엔데버의 끊임없는 노력의 결정체들이다.

3.1. 혁작열권(赫灼熱拳)[7]

불꽃을 초고온으로 압축해 잡아뒀다 뿜어내는 일격필살의 기술로, 젊은 날의 엔데버가 도달한 불의 극치. 화염의 수준을 아득히 뛰어넘어 레이저빔에 가까운 형태를 띌 정도로 초압축된 불꽃을 다양하게 응용하는 기술이다. 엔데버는 1인자를 뛰어넘기 위한 힘을 찾아 해매던 끝에 이 기술을 익혔지만 이를 익힘과 동시에 자신의 한계를 깨닫고야 만다.

다른 기술들과 달리 그야말로 엔데버의 '필살기'이며, 필살기가 많아도 두 개 이하인 히어로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이는 올마이트를 따라잡기 위해 극한의 노력을 했지만 역설적으로 올마이트를 따라잡지 못 했음을 말해주기도 한다.

격상의 상대에게도 통할 정도의 위력이나 그만큼 리스크도 막심해 몇 번 쓰지 못한다.[8] 제트 번만 해도 전투 지속 시간을 확 깎아먹으며 궁극기인 프로미넌스 번쯤 되면 쓰고 나서 몇 초 정도는 회피 동작 하나 제대로 못할 정도로 몸에 열이 쌓인다.

4. 기타

여담으로 그의 수염과 머리는 항상 불타고 있지만 주변에 불이 붙지는 않는다. 단행본에서 공개된 정보에 의하면 수염과 머리의 불은 온/오프가 가능하지만, 위압감을 주려고 항상 켜 놓는다고 한다. 반대로 스핀오프작 Vigilante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illegals에서는 오프된 모습이 더 많이 나온다. 본편에서도 올마이트라는 거대한 벽에 좌절하는 엔데버의 젊은 시절 모습이 몇 번 나오는데 이때도 불이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2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2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대외적인 것으로, 실질적인 최강의 화력은 이 인물이다.[2] 애니메이션에서는 이를 표현하고자 한 것인지 엔데버가 수염과 머리에 불을 켜두기만 한 체육대회 편과 달리 직접적으로 개성을 사용한 직장체험 편에서는 얼굴에 붉은 빛이 조금씩 진해지는 것을 볼 수 있다.[3] 연막 속에 기척을 숨기고 다가가 히어로 한 명을 기습하던 참이었다.[4] 워낙 실력 차가 크다보니 대부분의 빌런들과는 단기전으로 끝나 이러한 단점이 부각되지 않으니 상관 없지만 노우무나 시가라키, 올포원과 싸울 때는 이러한 단점이 부각되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구전으로 인해 리타이어한 적은 한 번도 없다.[5] 쇼토 같은 경우에는 고등학생이 될 때까지 화염 능력을 자의로 사용하지 않고 있었고 때문에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개성은 빙결 하나뿐이었다.[6] 작중에서는 미르코에게 사용했다.[7] 직역하면 빛나며 불태우는 뜨거운 주먹.[8] 다만 시간이 지나면 지날 수록 빌런의 위험도도 상당히 높아져서 현재는 계속해서 연발해서 쓰기도 한다. 물론 그만큼 체력이 소모되기는 한다.[9] 애니 한정으로 전면전쟁 편에서 시가라키 토무라에게도 사용했다.[10] 올마이트로 치면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오브 스매쉬정도로 생각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