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3-16 11:52:15

향병일기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4. 경상북도 유형 문화재 제64호

1. 개요

鄕兵日記. 임진왜란 당시 영남 북부 지역의 의병진을 총지휘하였던 의병장 근시재(近始齋) 김해(金垓, 1555년~1593년)가 1592년부터 이듬해인 1593년까지 약 1년여간 매일의 일상을 저술한 진중일기. 총 2책. 현재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의 광산 김씨 종가에서 관리하는 숭원각에 소장되어 있으며, 퇴계유묵(退溪遺墨), 전가보첩(傳家寶帖) 등의 전적들과 함께 "후조당유물"이란 명칭으로 묶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4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

경상북도 안동 출신의 문신인 김해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킨 후 판관 정기룡(鄭起龍)과 함께 향병(鄕兵)을 규합하여 개령(開寧)에서 왜군을 격파하고 상주성을 일시 탈환하는 전과를 올렸다. 이후 1593년에 물밀듯이 몰려오는 왜군에게 포위되어 경주의 의병 진영에서 장렬히 순국하였고 훗날 도승지에 추증되었다.

향병일기는 의병장 김해가 부산진 전투가 발발하던 1592년 4월 14일부터 경주에서 순국하기 바로 직전이던 1593년 6월 19일까지의 일을 직접 기록해놓은 일기로, 안동과 예안, 영주, 의성, 예천 등 영남 북부 지역에서의 의병 대장으로서의 활동과 예천, 용궁, 함창 등지에서 벌인 왜군과의 전투 과정과 각종 내역들, 그외 임진왜란 초기 영남 북부 지방의 의병 활동들에 대해 자세히 연구해볼 수 있는 사료로 인정받고 있다.

광산 김씨 예안파 문중에서는 근시재(近始齋) 김해(金垓, 1555년~1593년)가 1592년에 향병일기를 저술한 것을 시작으로, 그의 아들 매원(梅園) 김광계가 28년간 매원일기 18책을, 손자 묵재(默齋) 김염이 5년간 묵재일기 3책을, 증손자 과헌(果軒) 김순의가 42년간 과헌일기 6책을 대대로 기록했다. 그 외에도 김해의 종형제인 계암(溪巖) 김령이 39년간 계암일록 8책을, 김염의 동생 김선이 3년간 여온일기 2책을 남겼다.

현재 향병일기가 보관된 문중의 숭원각에는 조선 시대 서책 수백여점이 보관 중이다.

3. 외부 링크

4. 경상북도 유형 문화재 제64호

이 유물은 광산 김씨인 후조당 김부필(1577년~1644년)이 나라에서 시호를 내릴 때 받은 교지와 「퇴계유묵」, 『향병일기』, 『전가보첩』 등 4종 6점이다. 김부필은 퇴계 이황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났던 인물이다. 그가 죽은 후 순조 2년(1802년)에 오위 도총부 도총관에 증직되었고, ‘문순(文純)’이란 시호를 받았다.

그 밖에 광산 김씨의 유물로 문집, 서책 등 수백 점이 숭원각에 보호, 관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