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港 항구 항 |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水,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12획 |
| 고등학교 | |||
| 港[1] | |||
| 일본어 음독 | コウ | ||
| 일본어 훈독 | みなと | ||
| - | |||
| 표준 중국어 | gǎng | ||
1. 개요
港은 '항구 항'이라는 한자로, '항구(港口)'를 뜻한다. 일부 폰트에서는 신자체 자형으로 표시가 된다.2. 상세
|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fff,#1c1d1f>항구 |
| 음 | 항 | |
| 중국어 | 표준어 | gǎng |
| 광동어 | gong2 | |
| 객가어 | kóng | |
| 민동어 | gē̤ng | |
| 민남어 | káng | |
| 오어 | kaan (T2) | |
| 일본어 | 음독 | コウ |
| 훈독 | みなと | |
| 베트남어 | cảng | |
유니코드는 U+6E2F에 배당되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水廿金山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巷(거리 항)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인명
3.3. 지명
3.4. 역명
- 강첸역(港墘站)
- 난강전람관역(南港展覽館站)
- 난강역(南港車站)
- 난강소프트웨어단지역(南港軟體園區站)
- 다대포항역(多大浦港驛)
- 신코톳테이니시치쿠역(新港突堤西地区駅)
- 초아추캉역(蔡厝港站)
- 축항조차장역(築港操車場驛)
- 칫코역(築港駅)
- 하카타항역(博多港駅)
- 강청루역(港城路站)
- 린강다다오역(临港大道站)
3.5. 창작물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淃(돌아흐를 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