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1 01:38:35

하모닉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inx Club의 변신 폼에 대한 내용은 Winx Club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의 수록곡에 대한 내용은 ハーモニクス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지코와 박경이 소속인 2인 그룹에 대한 내용은 하모닉스(그룹)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바이올린족 악기의 하모닉스에 대한 내용은 바이올린족 악기들의 연주법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원리3. 종류
3.1. 자연 하모닉스3.2. 인공 하모닉스3.3. 태핑 하모닉스3.4. 피킹 하모닉스
4. 여담

1. 개요

하모닉스(Harmonics)기타족 현악기를 포함한 현악기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주법으로, 현의 기음(基音, Ground Note)을 뮤트시키고 배음(部音, Overtone)을 내보이는 주법이다.

2. 원리

파일:Harmonics1_Basics_Figure2-1024x350.png
진동하는 현의 정수비/하모닉스 포인트
1st partial은 주파수 비율 1:1을 가지는 위치(기음), 2nd partial은 주파수 비율 1:2를 가지는 위치(1차 배음, 옥타브), 3rd partial은 주파수 비율 1:3을 가지는 위치(2차 배음, 완전5도)이다. 이것들보다 작은 정수비를 가지는 나머지 주파수들도 모두 특정 음을 내는 하모닉스 포인트이다.
피타고라스 음률(순정률)에 따르면, 진동하고 있는 임의의 현의 정확히 한가운데를 누를 경우, 그 현의 진동수가 기존의 2배가 되면서 즉 한 옥타브가 올라간 음이 나오게 된다. 가령 440Hz의 진동수를 가지는 A4 음이 나오는 현의 정확히 한가운데 부분(1/2 지점)을 눌러주면 그 현의 정확히 두 배의 진동수를 가지는 음, 즉 한 옥타브 위에 해당되는 A5(880Hz) 음이 나오는 것이다. 동일한 원리로 임의의 현의 1/3 지점, 1/4 지점처럼 특정 정수비에 해당되는 위치를 눌러주면 그 정수비에 해당되는 음이 나오게 된다. 여기까지는 현악기가 음을 내는 기본적인 원리이다.

하지만 따로 현을 누르지 않고 음을 내더라도 자연적으로 진동하는 현의 정수비에 해당되는 음들은 그 크기가 작아 식별하기가 어려울 뿐이지, 여전히 기음 뒤에 숨어있는 상태로, 현이 울릴 때에도 그 주파수에 해당되는 음이 같이 나오고 있는 상태이다.[1] 하모닉스는 특정한 방법으로 이 기음을 죽이고 숨어있던 배음을 끌어올리는 주법인 것이다.
파일:harmonics-fretboard.gif
스탠다드 튜닝(EADGBe)으로 조율된 기타의 자연 하모닉스 포인트와 해당되는 음
기타의 하모닉스 포인트는 위 사진과 같다.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High E 개방현을 기준으로 스케일의 정중앙(1:2 지점)에 위치한 12프렛에서는 한 옥타브 높은 E 음(옥타브)이, 1:3 지점에 위치한 7프렛에서는 B음(완전5도)이, 1:4 지점에 위치한 5프렛에서는 두 옥타브 높은 E 음(2 옥타브)이, 1:5 지점에 위치한 4프렛에서는 G#음(장3도)가 나오고 있는 상태이다.

동일한 원리로 1:6, 1:7 등 배수에 해당되는 숫자의 크기를 늘리면 해당 진동비에 해당되는 하모닉스의 음정과 지판상에서의 위치를 산출해낼 수 있다.

3. 종류

3.1. 자연 하모닉스

자연 하모닉스
Natural Harmonics
자연 하모닉스는 개방현의 고유 하모닉스를 이끌어내는 주법으로, 마치 종소리같은 청아하고 맑은 소리가 난다. 해당되는 위치를 손가락으로 운지하고 현을 뜯는 것이 아닌, 왼손으로 해당 위치에 부드럽게 손가락을 올린 상태에서 현을 탄현하는 즉시 떼는 방식으로 내게 된다. 이렇게 되면 기음이 죽으면서 청아한 배음만이 남게 된다.

보통은 진동비가 낮은 5번, 7번, 12번 프렛에서의 소리가 가장 또렷하게 나지만 9번 등 다른 프렛에서도 하모닉스를 낼 수는 있다. 가령 3번 프렛에서의 하모닉스 소리는 어쿠스틱 기타나 클린 톤으로 세팅한 일렉트릭 기타에서는 엄청 작은 소리가 나지만, 기타 앰프나 드라이브 계통 이펙터를 사용하여 강한 왜곡을 준 일렉트릭 기타에서는 훨씬 또렷하고 큰 사운드가 나기에 자주 애용된다.

3.2. 인공 하모닉스

인공 하모닉스
Artificlal Harmonics
네추럴 하모닉스는 개방현의 자연적인 배음만을 사용하지만, 인공 하모닉스는 왼손으로 프렛을 눌러준 상태에서의 고유 진동비를 사용하여 하모닉스의 소리를 내는 주법이다. 예를 들어, 개방현에서는 5, 7, 12번 프렛에서 하모닉스를 낼 수 있지만, 1번 프렛을 눌러준 상태에서 인공 하모닉스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1프렛 더 높은 6, 8, 13번 프렛에서 시도해야 올바른 소리가 나온다.

하모닉스 포인트를 눌러주던 왼손으로는 지판을 운지해야 하기에 대신해서 오른손으로 하모닉스 포인트를 집고 동시에 탄현까지 해주어야 하는데, 이게 손 모양도 처음엔 익숙치 않고, 오른손의 각 손가락을 독립적으로 움직여야 하기에 익숙해지기 까지는 시간이 걸리는 편이다.

Li Jie가 니콜로 파가니니의 카프리스 24번을 연주한 영상 #이 좋은 예시. 1분 22초부터 보자.

3.3. 태핑 하모닉스

태핑 하모닉스
Tapping Harmonics | Tapped Harmonics
이름처럼 태핑과 하모닉스를 결합한 주법으로, 마치 태핑을 하듯 오른손으로 하모닉스 포인트를 때려서 소리를 내는 주법이다. 자연 하모닉스 포인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위 영상처럼 지판 상의 특정한 위치를 운지한 뒤 낼 수도 있다.[2]

소리를 크고 명확하게 내려면 정확한 위치에 적절한 손 부위로 때려야 한다. 때문에 검지보다는 손목 스냅의 힘이 집중되기 편한 중지나 약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3.4. 피킹 하모닉스

피킹 하모닉스
Pinch Harmonics | Picking Harmonics
주로 일렉트릭 기타에서 사용하는 주법. 일반적으로는 하모닉스는 청아한 종소리같은 음색을 내는 주법이지만, 기타 앰프나 드라이브 계통 이펙터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일렉트릭 기타에서 피킹 하모닉스를 사용하면 소리가 크게 왜곡되면서 마치 울부짖는 듯한 소리가 난다.

피킹 하모닉스의 원리는 피크로 현을 뜯으면서 거의 동시에 엄지손가락 측면부의 부드러운 살을 현에 살짝 대서 근음을 없애고 배음만을 남기는 것이다. 즉 위의 인공 하모닉스와 원리적으로는 완전히 동일한 기술.[3] 피크를 짧게 잡은 상태로 탄현하는 동시에[4] 엄지손가락 측면부의 부드러운 살을 곧바로 가져다 대는게 포인트. 익숙해지기 이전까지는 대단히 어려운 기술 중 하나지만, 특히 록 음악이나 메탈에서 특히 많이 쓰이기에 이러한 장르에서는 매우 중요하게 쓰이는 주법이다.

짧고 끝부분이 비교적 뾰족한 피크(흔히 재즈 피크라고 부르는 것)으로 연습하면 속주와 피킹 하모닉스를 하기가 매우 편해서 많은 속주 지향 기타리스트들이 재즈 스타일 피크를 애용하고 있다.

인공 하모닉스와 마찬가지로, 피킹 하모닉스 또한 현을 뜯는 위치(= 엄지 손가락을 대는 위치)마다 소리가 다르게 나므로 원하는 소리가 나는 지점을 잘 찾아내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그 외에 피킹 하모닉스에서 오른손만큼 중요한 것이 왼손의 비브라토인데, 메탈 음악에서 쩌렁쩌렁하게 울리는 소리의 핵심은 피치의 폭이 1음 이상으로 아주 넓은 격렬한 비브라토에 있다. 왼손의 비브라토가 엉성하다면 자칫 보컬이 고음 이탈하는 삑사리처럼 들릴 수도 있다.

4. 여담


[1] 사족으로 같은 현악기라도 음색이 서로 다르게 들리는 이유가 이 배음의 구성비와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2] 위 인공 하모닉스와 원리적으로는 동일하다.[3] 인공 하모닉스가 각각의 손가락으로 하모닉스 포인트를 터치하는 것과 탄현하는 것을 동시에 해결한다면, 피킹 하모닉스는 엄지손가락 측면부 살로 하모닉스 포인트를 터치하고, 피크로 탄현하는 것이라 보면 된다.[4] 충분히 숙달되면 길게 잡은 채로 칠 수도 있다.[5] 저 현들은 서로 완전5도 음정으로 튜닝이 되어 있다. 2번 ~ 3번 현은 서로 완전4도 음정으로 튜닝이 되어 있기에 제외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