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h Science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458,#2d2f34><colcolor=#fff,#fff>대기과학 Metorology | 기상학 · 기단 · 기압(고기압, 저기압, 기압계, 기압골) · 기후학 · 나비 효과 · 날씨 · 대기권(성층권, 중간권, 열권, 외기권) · 대기 대순환(편서풍) · 열대성 저기압(태풍, 허리케인) · 제트기류 · 토네이도 · 용오름 · 푄 현상 · 쾨펜의 기후 구분((A)열대 기후, (B)건조 기후, (C)온대 기후, (D)냉대 기후, (E)한대 기후 · 고산 기후) |
지질학 Geology | 지질학자 · 고생물학 · 광물학 · 지구의 구조(지각, 맨틀, 외핵, 내핵) · 대륙이동설 · 암석학 · 층서학 · 지사학 · 지구물리학 · (지진, 지진파) · 판 구조론 · (화산, 마그마, 용암) · 지질학 관련 정보 | |
해양학 Oceanography | 균형조석론 · 기조력 · 바다 · 음향 측심법 · 조석 · 파도 · 해류(난류, 한류) · 해일 및 쓰나미 · 세부 분과(물리해양, 화학해양, 생물해양, 지질해양, 외계해양) | |
지구과학 연구 | 지구환경과학과(대기과학과, 지질학과, 해양학과) · 한국지구과학연합회(한국기상학회, 한국우주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질과학협의회, 한국천문학회, 한국해양학회) · 기상청(대한민국 기상청, 미국 연방해양대기청, 일본 기상청, 중국기상국, 홍콩 천문대, 필리핀 기상청, 노르웨이 기상청)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 ·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 |
기타 | 지구를 연구하는 타 학문(자연지리학 · 생태학 · 환경과학) |
1. 개요
필리핀 기상청(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PAGASA)[1]은 필리핀의 날씨와 기후를 예측, 보고하는 국가기관이다. 웹사이트2. 역사
1972년 12월 8일 설치되었다.3. 특징
- 태풍의 이름을 정할 때 국제표준을 따르지 않고 독자적으로 A~Z까지 이름을 붙인다. 영문 위키백과에서는 국제표준 옆에 필리핀 기상청이 붙인 명칭을 대체로 부기하고 있다.
[1] 정식 명칭은 필리핀 대기 지질 천문 관리국쯤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