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수자리#발견된 천체|궁수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루크바트 Rukbat | 베타성 아르카브1·2 Arkab Prior · Arkab Posterior | 감마성10(2번성) 궁수자리 감마1·2 γ Sgr1 · Alnasl | 델타성19 카우스 메디아 Kaus Media | |
엡실론성20 카우스 오스트랄리스B Kaus Australis | 제타성38 아셀라 Ascella | 에타성 궁수자리 에타 η Sgr | 세타성 궁수자리 세타1·2 θ Sgr | |
이오타성 궁수자리 이오타 ι Sgr | 카파성 궁수자리 카파1·2 κ Sgr | 람다성22 카우스 보레알리스 Kaus Borealis | 뮤성13 폴리스 Polis | |
누성32/35 궁수자리 누1·2 Ainalrami · ν Sgr2 | 크시성36/37 궁수자리 크시1·2 ξ Sgr | 오미크론성39 궁수자리 오미크론 ο Sgr | 파이성41 알발다 Albaldah | |
로성44/45 궁수자리 로1·2 ρ Sgr | 시그마성34 눈키 Nunki | 타우성40 궁수자리 타우 τ Sgr | 웁실론성46 궁수자리 웁실론 υ Sgr | |
피성27 궁수자리 피 φ Sgr | 카이성47/48/49 궁수자리 카이1·2·3 χ Sgr | 프시성42 궁수자리 프시 ψ Sgr | 오메가성58 테레벨룸 Terebellum | |
B: 가장 밝은 항성, 숫자: 플렘스티드 명칭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궁수자리 1 | 궁수자리 2 | 궁수자리 3 | 궁수자리 4 | |
궁수자리 5 | 궁수자리 6 | 궁수자리 7 | 궁수자리 8 | |
궁수자리 9 | 궁수자리 10B | 궁수자리 11 | 궁수자리 12 | |
B: 바이어 명칭에 있는 항성, 취소선: 항성이 아닌 것 | ||||
그 외 궁수자리에 속한 항성 | ||||
<colbgcolor=white,#1c1d1f> HD 165185 | HD 166937 | HD 168454 | HD 170693 | |
HD 171391 | HD 173669 | HD 174160 | HD 176803 | |
HD 177196 | HD 179324 | HD 180554 | HD 181475 | |
HD 182564 | HD 184930 | HD 186200 | HD 188310 | |
HD 189888 | 피스톨 별 | WR 104 | WR 124 |
}}}
- [ 심원천체 ]
틀:별자리 · 궁수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피스톨 별 Pistol Star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7h 46m 15.3s |
적위 | -28° 50′ 04″ | |
별자리 | 궁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밝은 청색 변광성 | |
분광형 | B | |
거리 | 25,114 광년 7,700 파섹 | |
반지름 | 306 ~ 420 태양반경[1] | |
질량 | 125 태양질량 | |
평균 온도 | 11,800-12,000 K | |
운동 | 시선속도 | +130 km/s |
자전 속도 | -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28 (V)[2] | |
절대 등급 | -[3] | |
광도 | 1,600,000 ~ 3,300,000 태양광도 | |
명칭 | ||
V4647 Sgr, qF 134, 2MASS J17461524-2850035 |
1. 개요
피스톨 별/Pistol Star피스톨 별(Pistol Star) 또는 권총 별은 우리 은하에서 가장 밝은 별중 하나로 우리 은하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2. 상세
우리 은하의 중심에 위치해 있으며 우리 은하 전체에서 가장 거대한 성단 중 하나인 다섯 쌍둥이 성단의 구성원이다.피스톨 별이라는 명칭은 피스톨 별 주변에 위치해 있는 성운인 피스톨 성운에서 유래되었으며,[4] 1990년대 초에 허블 우주 망원경이 이 영역의 우주먼지를 투과하는 적외선 파장의 빛을 관측하여 발견했다.[5] 그리고 그 실체는 태양과 비교할 수 없이 거대한 밝은 청색 변광성이었다. 처음 이 별의 존재가 알려졌을 때는 태양의 1천만 배에 이르는 밝기로 추정되었으나, 이후 그 수치는 크게 하향 조정되어 현재는 태양의 최소 160만 배, 최대 330만 배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현재 약 태양의 500만 배 정도의 밝기로 알려진, 우리 은하에서 가장 밝은 별 중 하나인 용골자리 에타의 70% 정도에 이르는 밝기다.
만약 피스톨 별과 태양 사이에 어떠한 성간먼지도 있지 않을 경우 피스톨 별은 약 4.5 ~ 5.5등급 정도의 별로 관측될 것이라고 추측되는데, 다르게 말하면 25,000 광년이라는 어마어마한 거리에도 불구하고 성운만 없으면 맨눈으로도 관측이 가능한 수준이라는 것이니[6] 얼마나 거대하고 밝은지 짐작할 수 있다. 당장 태양도 불과 1억 5천만 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별이라 굉장히 밝은 것이지 10파섹(32.6광년), 즉 절대등급 측정 기준 거리에서 보면 4.8등급 정도에 불과하다. 거리로만 보면 무려 800배나 가까운데도 말이다.[7][8]
피스톨 별 같은 LBV, 혹은 청색 극대거성들은 태양 질량의 약 80배에서 150배까지의 질량을 갖는 데 반해 수명은 300만 년 정도에 불과하다. 태양 같은 별들과는 활동 과정에서 내뿜는 항성풍과 별 내부의 핵융합 반응의 규모가 자릿수부터 다르기 때문. 기본적으로도 피스톨 별의 항성풍은 태양의 약 1천만 배 정도의 엄청난 규모이지만, 약 4천 년 ~ 6천 년 전에 격렬한 활동이 있었던 시절에는 태양 질량의 10배에 이르는 물질을 분출했을 것으로 예상된다.[9] 피스톨별의 정확한 나이와 이후 운명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대략 1백만 년에서 3백만 년 이후에 초신성 또는 극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피스톨 별을 포함하는 다섯 쌍둥이 성단에는 피스톨 별과 피스톨 별과 거의 동일한 질량을 가지고 있는 궁수자리 V4998, 궁수자리 V4650를 포함하는 3개의 LBV와 11개 이상의 볼프-레이에별이 위치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LBV나 WR은 우리 은하에서 순위권 안에 드는 성운에서도 1개 정도만 발견될 정도로 극히 희귀한 항성임에도 불구하고 단 하나의 성단에서 14개나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다섯 쌍둥이 성단이 은하 중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으로, 우리 은하 중심에 위치한 거대한 블랙홀인 궁수자리 A*와 은하 자체의 중력으로 인해 나선팔에 위치한 많은 성간가스들은 팽대부로 흡수되는데, 이렇게 흡수된 가스들이 최종적으로 도착하는 곳이 은하 중심이다. 즉, 은하 중심으로 모여든 어마어마한 양의 성간 가스들로 인해 은하 중심 근방에서는 극도로 폭발적인 별 형성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는 우리 은하가 아니더라도 안드로메다 은하나 삼각형자리 은하등의 주변 나선은하에서도 관찰되는 나선은하의 특성중 하나이다.
3. 관련 문서
[1] 관측된 광도와 표면 온도를 바탕으로 측정되는 값이므로 오차가 있을 수 있다.[2] 가시광선 파장에서는 관측이 거의 불가능하지만, 만약 피스톨 별과 태양계 사이에 성간물질이 하나도 없다면 약 4등급 정도의 별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3] 광도 측정 결과에 따라 상이해질 것으로 보인다. 애초에 쌍성계일 가능성도 부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100% 확신은 불가능하다.[4] 1980년대에 저해상도의 전파 망원경으로 피스톨 성운이 있는 자리를 관찰한 결과 권총과 비슷한 모양의 성운을 관찰할 수 있었던 점에서 유래되었다. 문서 상단 틀의 사진에서도 성운에서 상대적으로 밝은 ㄱ자 부분이 얼핏 보면 권총과 비슷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5] 문서 상단의 사진이 바로 그 당시의 관측 사진이다. 지구에서는 성운 이외에는 아무것도 없는 공간으로 보이는데, 너무 두터운 성운 탓에 가시광 영역에서 관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6] 5~6등급까지는 주변에 광원이 없고 대기가 깨끗하다는 가정하에 맨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7] 정말로 330만 배만큼 밝다고 가정한 절대복사등급은 약 -11.5로, 지구 밤하늘의 달과 비슷한 정도이다. 달은 밝아질 때는 태양이 버젓이 떠 있는 낮에도 그 모습을 볼 수 있을 정도인데 10파섹, 즉 200만 AU가 넘는 거리에서 저 정도로 밝게 보인다는 것이니 피스톨 별이 얼마나 밝은지 대략이나마 짐작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순수한 광도(볼로메트릭 광도) 차이에 따른 계산일 뿐, 피스톨 별과의 거리와 예상 겉보기 등급인 4.5 ~ 5.5등급을 기준으로 추산되는 가시광 영역에서의 밝기는 태양의 약 45만~113만 배로, 이를 절대등급으로 추산하면 -9.3 ~ -10.3 정도로 330만 배보다는 작다. 피스톨 별이 태양보다 훨씬 뜨거운 별인 만큼 자외선이나 감마선 영역에 해당하는 빛 방출 비중이 태양보다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8] 사실 우주 별의 70~80%는 불과 수 광년 떨어져 있음에도 맨눈으로는 관측이 불가능한 적색 왜성이기 때문에, 태양 정도만 돼도 어두운 별은 절대 아니지만 피스톨 별이 너무 넘사벽인 것.[9] 출처. 태양이 태양풍 등으로 잃는 질량을 초당으로 환산하면 약 100만 톤 정도인데, 엄청난 양이기는 하지만 태양 질량을 생각하면 이 정도 속도로 태양이 소멸하려면 약 6경 3400조 년 정도가 소요된다. 즉 사실상 태양풍으로 태양이 소멸하는 건 불가능하다. 그런데 고작 2천 년 사이에 태양 질량의 1배도 아니고 10배를 항성풍만으로 날려보냈다면 가히 짐작조차 어려운 규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