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18:51:26

카우스 오스트랄리스

ε Sgr
카우스 오스트랄리스
Kaus Australis
파일:20_Sgr.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α) 18h 24m 10.32s
적위(δ) -34° 23′ 4.62″
별자리 궁수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B형 주계열성
분광형 B9.5 III
거리 466 광년
143 파섹
반지름 6.8 태양반경
질량 [math(3.52 \pm 0.14)] 태양질량
표면 온도 9 960 K
운동 시선속도 -15 km/s
자전 속도 236 km/s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m) [math(1.8 \pm 0.05)]
절대 등급(M) -1.41
광도 63 태양광도
기타 명칭
20 Sgr, HD 169022
본 표는 이 별의 A 항성을 기준으로 함.

1. 개요2. 상세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카우스 오스트랄리스/ε Sgr
궁수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며[1], 이중성이다. 상술한 표의 내용은 모두 ε Sgr A의 내용이다. B형으로 분류된다.

현재 이 별은 주계열성 단계를 벗어난 청색거성 단계이다.

2. 상세

카우스 오스트랄리스라는 이름은 '활의 남쪽'이라는 뜻이다. '카우스(قوس, qaws)'는 아랍어로 을, '오스트랄리스(Australis)'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남쪽이라는 뜻이다.[2] 다만 고전/교회 라틴어 공통으로 Australis는 '아우스트랄리스'라고 발음 및 표기하는 것이 맞지만, 통용되는 표기는 영어의 영향을 애매하게 받았는지 '오스트랄리스' 라는 표기가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3]

3. 관련 문서



[1] 정작 알파성인 루크바트보다 밝다. 요한 바이어가 왜 루크바트를 알파성으로 지정했는지가 의문.[2] 오스트랄리스(Australis) 부분은 라틴어로 단순히 남쪽을 뜻하는 단어이기에 궁수자리 엡실론 이외에도 팔분의자리 시그마성(폴라리스 오스트랄리스, 남극성)과 같은 다른 별의 이름에도 종종 쓰인다.[3] 실제 영어식 발음상으로는 커스 오스트레일리스(/ˈkɔːs ɔːˈstreɪlɪs/)로 발음된다.